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단팥 Sep 13. 2018

악필, 하지만 마음이 보여요

우리 학과의 T.A는 담당 수업의 출결을 주로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아직 학부 학생들의 얼굴을 잘 모르고, 어색하기 때문에 이전 결석자의 이름을 칠판에 썼는데... 참 글씨를 못 쓴다는 생각을 했다. 뭔가 학생들이 내 글씨를 보면서 '정말 악필이네...' 라는 생각을 했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에 교실을 나오고 부끄러워졌다.


그러고 보니, 연필을 들고 본격적으로 글이란 것을 쓴지가 참 오래됐다는 생각을 했다. 어렸을 때는 잘 깎이는 연필 깎이를 모셔두고, 연필 깎을 때의 드르륵- 하는 소리를 경쾌하게 여기곤 했었다. 엄마가 손수 칼로 깎아주는 연필의 정교함을 내심 신기해하기도 했었다. 문방구에서도 일제 샤프와 국산 샤프를 두고 어떤 것이 글씨가 잘 써지는 지 고민을 하곤 했었는데 - 


연필 잡은지가 오래됐다. 모든 일상 생활은 다 마우스와 키보드이다. 사소한 메모도 윈도우에 있는 메모장을 켜놓고, 원노트에 자주 정리를 한다. 필통은 어느새 '필요없는 통'이 되버려서 가끔 쓸 때 필요한 펜만 간단하게 가방에 넣어놓는다. 오히려 급하게 쓸 때면 이제 아이패드와 펜 기기를 사용한다. 머지않아, 샤프와 연필을 박물관에서만 볼 수 있는 물건이 되지 않을까? 오늘날 할머니들이 아이들에게 옛날에는 다리미 대신 인두를 썼다고 회상하듯 얘기하는 것처럼 말이다. 


하지만, 컴퓨터가 입력하는 글씨체와 사람이 입력하는 글씨가 어떻게 같을 수 있을까. 사랑을 꾹꾹 눌러담아 뒷장에까지 자국이 남은 것을 보며 어렴풋이 미소짓는 순간이, 컴퓨터를 통해 온 이메일과 같을 수 있을까. 


아, 역시 연필과 종이는 없어지면 안되겠다. 아니 없어지게 하면 안되겠다.

작가의 이전글 현실과 가상현실의 간극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