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2023년 글로벌 스타트업 생태계 보고서 읽기

스타트업 지놈(Startup Genome), GSER 2023 발간


미국의 스타트업 정책자문회사인 스타트업 지놈(Startup Genome)에서 올해도 GSER 2023, 글로벌 스타트업 생태계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이 주제로 글로벌 수준에서 꾸준히 발간하는 보고서가 희소하고, 도시 기준의 랭킹을 내주다보니, 국내에서도 많이 인용하고 있는 보고서인데요. 한번 본문의 주요 내용을 랭킹 지표를 중심으로 읽어보겠습니다.


* 링크 보기 : https://startupgenome.com/report/gser2023


요약해서 보면, 2020년부터 상위 3개 도시, 실리콘밸리(1위), 뉴욕/런던(공동 2위)는 계속 같은 위치였고, 올해는 LA와 텔아비브(이스라엘)이 보스턴과 베이징을 누르고 올라섰네요. 우리 서울은 10위에서 12위로 내려왔고, 싱가포르가 작년 대비 대폭 상승해 10위권 안으로 들어왔네요. 싱가포르는 10억 달러 이상 투자유치가 4건으로 2배 증가, 그랩 등 400억 달러 수준의 높은 기업가치, 유니콘도 11개에서 18개로 증가, 초기 투자 건수도 33% 증가했다 하네요.


[GSER 2023에서 보여준 Top 13 도시들 시계열 순위]


20년부터 상위 3개 도시, 실리콘밸리(1위), 뉴욕/런던(공동 2위)는 계속 같은 위치였고, 올해는 LA와 텔아비브(이스라엘)이 보스턴과 베이징을 누르고 올라섰네요. 우리 서울은 10위에서 12위로 내려왔고, 싱가포르가 작년 대비 대폭 상승해 10위권 안으로 들어왔네요. 싱가포르는 10억 달러 이상 투자유치가 4건으로 2배 증가, 그랩 등 400억 달러 수준의 높은 기업가치, 유니콘도 11개에서 18개로 증가, 초기 투자 건수도 33% 증가했다 합니다.


[ GSER 2023의 Top 20 도시의 각 평가요소별 점수표 ]


위의 표는 올해의 Top 20개 도시의 순위 및 비교척도 점수입니다. 그 디테일을 보면, 비교 기준으로 사용된 주요한 척도들은, 통계적인 데이터로 아래와 같습니다.


1. Performance (5천만 달러 이상 / 10억 달러 이상 엑싯 수와 엑싯 성장율, 2년 반 동안 생태계내 총 엑싯 및 스타트업 가치, 초기/후기 단계의 성공한 스타트업 숫자) / (가중치 30%)

2. Funding (초기 단계 펀딩 규모 및 성장, 투자자 수/경험/활동 수준 등) / (가중치 25%)

3. Market Reach (국가 GDP대비 현지 시장규모, 생태계의 스케일업 대비 유니콘의 수준, 지식재산권 사업화의 정책 수준) / (가중치 15%)

4. Connectedness (지역내 기술 밋업의 건수, 글로벌 연결성(해외지사를 둔 스타트업과 생태계내 투자한 해외 투자자 비율) / (가중치 5%)

5. Talent & Experience (기술 인재 및 경험 성공 요인) / (가중치 20%)

6. Knowledge (특허의 양/복잡성/잠재특허 양, 연구생산량) / (가중치 5%)


서울은, 각 10점 만점에 Performance 7점, Funding 9점, Connectedness 7점, Market Reach 1점, Knowledge 8점,  Talent & Experience 7점이 나왔습니다. 유독 낮은 지표가 Market Reach였는데요. (1점이라니…) 디테일을 보니, 로컬 시장 규모(3점)와 유니콘 수준(7점), 지식사업화의 정책 수준(3점)으로 나왔습니다. 


한번 위 5개 지표 별로 어떤 Index가, 어떻게 나왔는지 보겠습니다. 각 Index 계산법은 본 보고서 p.343의 Methodology를 참조했습니다. 저 같은 정책 연구자 입장에서, 아래와 같은 지표 계산법들은 퍽 흥미롭네요.



1. Performance 

본 인덱스는 투자 밸류 및 Exit을 중심으로 각 도시별 혁신 생태계의 주요한 성과 지표를 아래와 같이 3가지 인덱스에 각각 가중치를 두어 합산하여 도출했습니다. 아래 "조사기간"은 2020 하반기~2022년 하반기 동안을 말합니다.


(1) 50% 생태계 가치

   - 조사기간 동안의 모든 Exit 및 예상 스타트업 가치의 로그 합계입니다.


(2) 37.5% Exit

   - (80%) 조사기간 동안의 Exit 규모(5천만 달러(약 650억원) 이상 Exit 수의 80% 로그, 10억 달러(약 1조3천억원)  이상 Exit 수의 20% 로그).

   - (20%) 2019~2020년 대비 2021~2022년 20%의 Exit 성장 지수(1부터 10까지 점수화).


(3) 12.5% 스타트업 성공지표

   - (60%) 조사기간 중 성장 단계 성공 (시리즈 C 대 A 스타트업 비율)

   - (30%) Exit 속도 (조사기간 중 Exit 시점 기업 평균 연령 50% + IPO 시점 기업 평균 연령 50%).

   - (10%) 초기 단계 성공률 (시리즈 B 대 A 스타트업 비율).


[ Performance Index별 Top 40 도시 랭킹 ]

서울은 Exit 5점 / Ecosystem Value 8점 / Startup Success 5점으로 나왔습니다.  위 Index들의 성격을 관찰해보면, 여기서 Series C 이상 대규모 exit들이 늘어나야 Exit 와 Startup Success 인덱스가 늘어나는 구조입니다. 전체 밸류의 총계라 할 수 있는 Ecosystem Value에 비해 위 지표가 낮다는 점은, 여전히 대규모 회수(최소 650억원대 이상)의 부족을 보여줍니다. 


위 지표에서 가운데 Ecosystem Value가 낮은데 양쪽의 Exit과 Success 지표가 상대적으로 높다면, 초기 스타트업 대비 성장, 회수가 활발하다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보면, 도쿄(15위, 4/3/10), 샌디에고(16위, 9/6/8), 시카고(19위, 7/4/9), 뭄바이(31위, 5/4/9) 같은 곳이 눈에 띄는군요. 

물론, 절대치 역시 무시할 수 없기에, 실리콘밸리(1위 10/10/7), 런던(2위 10/9/9), 텔아비브(5위, 10/9/8) 등은... 여전히 세계적인 수준의 성과를 보여주고 있겠지요.


2. Funding 

본 인덱스는 초기 단계 스타트업 성공의 핵심인 투자 지표를 측정했으며, 아래와 같이 2가지 인덱스를 각각의 가중치를 두어 합산하여 도출했습니다. 아래 "조사기간"은 2020 하반기~2022년 하반기 동안을 말합니다.


(1) 90% Access (초기투자 접근성)

   - (90%) 초기 단계 투자 규모 (80% 건수 + 20% 총 투자 규모 로그합)

     * 조사기간은 Seed 라운드는 2019. 7. 1 ~ 2021. 12. 31 / Series A 라운드는 2020. 7. 1 ~ 2022. 12. 31.

   - (10%) 초기 단계 투자 성장율 (2018-2019 대비 2020-2021)


(2) 10% Quality & Activity (투자의 질과 활동)

   - (70%) 투자자 숫자 (2022년 기준 VC와 CVC 숫자 로그합 50% + 1억불 이상 자산 규모 투자자 숫자 로그합 50%)

   - (10%) 투자자 경험 (평균 Exit 비율 상회 투자자 숫자 50% + 투자자 평균 경험 연수 50%)

   - (20%) 신규 투자자 (신규 및 활동 5년 미만 투자자 숫자 50% + Active 투자자 비율 50%)


[ Funding Index별 Top 40 도시 랭킹 ]

서울은 Access 7점 / Quality & Activity 8점으로 나왔습니다.

투자규모와 투자자 숫자 등의 양적 지표가 70% 이상 비중을 차지하는 지표라, 상대비교보다, 절대치가 좀더 유의미해보입니다. Top 3 실리콘밸리, 뉴욕, 런던 등은 뭐 절대적인.. 전부 10점 만점으로 언급할 필요는 없고, 우리는 도쿄(7점/8점), 베를린(8점/7점), 토론토(8점/7점)와 유사한 수준이니 선진국 수준의 창업 생태계임은 부인할 수 없겠습니다. (국뽕 원샷!)


3. Market Reach 

본 인덱스는 초기 단계 스타트업의 고객과 시장에 대한 접근성을 평가한 지표로, 성장과 잠재적 글로벌 진출을 가능케 하는 척도입니다. 아래와 같이 3가지 인덱스를 각각의 가중치를 두어 합산하여 도출했습니다. 아래 "조사기간"은 2020 하반기~2022년 하반기 동안을 말합니다.


(1) 60% 글로벌 선도 기업

   - (50%) 조사기간 중 GDP 대비 10억 달러(약 1조3천억원) 이상 기업가치 스타트업 비율

   - (30%) 도시 인구 대비 5천만 달러(약 650억원) 이상 기업가치 스타트업 Exit 비율

   - (10%) Series A 스타트업 펀딩 대비 5천만 달러(약 650억원) 이상 기업가치 스타트업 Exit 비율 (Series A는 2020~2022 상반기 기준 / 5천만 달러 스타트업은 2020~2022 하반기 기준)

   - (10%) 2012년 이후 창업한 테크 스타트업 중 해외 지사를 보유한 비율


(2) 30% 로컬 시장 접근성

   - 국가 GDP 로그값


(3) 10% 시장의 질

   - 2022년 기준 유형 IP 자산의 사업화 수준 (국제 지식재산권 인덱스의 국가수준 측정값 1점~10점)


[ Market Research Index별 Top 40 도시 랭킹 ]

서울은 Local Market Reach 3점 / Globally Leading Companies 7점 / Quality 3점으로 나왔습니다. 로컬 시장 규모야 항상 나오는 이야기지만, 똑같이 작은 로컬 시장(1점대)인 텔아비브와 싱가포르가 유니콘 수준, 지식사업화 정책수준에서 10점 만점을 받은 것과 대비되네요. 로컬 극복을 위한 글로벌 진출, 그리고 R&D에서 사업화 촉진에 더 신경써야할 시사점이라 보여집니다.



4. Connectedness 

본 인덱스는 지역 연결성과 혁신 인프라 차원에서 혁신생태계가 얼마나 활성화되고 글로벌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측정합니다. 아래와 같이 2가지 인덱스를 각각의 가중치를 두어 합산하여 도출했습니다. 


(1) 60% 지역 연결성

   - (55%) Meetup.com에 등록된 밋업 그룹 숫자 로그값

   - (15%) 인구 대비 밋업 그룹 참여자 비율 (Meetup.com 등록 기준)의 로그값

   - (30%) 액셀러레이터 및 인큐베이터 숫자 로그값


(2) 40% 글로벌 연결성

   - (90%) 해외 지사 보유 테크 기업의 로그값

   - (10%) 해외투자자의 로그값


[ Connectedness Index별 Top 40 도시 랭킹 ]

서울은 Local Connectedness 8점 / Global Connectedness 6점으로 나왔습니다. 본 인덱스는 사실 자료대로라면, (무척 생소한) Meetup.com에 등록된 밋업 건수/비율 등으로 측정하였는데, 그럼에도 그리 낮지 않은 8점이 나왔습니다. 우리나라에 등록된 많은 숫자의 창업기획자(액셀러레이터) 숫자*가 지역연결성지표의 30% 숫자를 끌어올린 것은 아닌가 싶습니다.

  * 액셀러레이터 등록 숫자, 2022. 5월 기준 375개사 (출처 : 창업진흥원)


수치상으로는 아직 지역내 연결성(8점)에 비해 글로벌 연결성(6점)은 상대적으로 낮다 나왔는데, 해외 진출 수준 및 해외 투자 유치 차원에서 Top-tier 대도시 대비 아직 높을 리는 없습니다. 장기적으로 정책적으로 신경쓸 지표이며, 글로벌화 수준에 비례하여 나올 output이라 생각됩니다.



5. Talent & Experience 

본 인덱스는 해당 지역 혁신생태계 안에서 초기 스타트업이 활용 가능한 인적자원과 경험의 수준을 평가합니다. 아래와 같이 2가지 대분류 인덱스 및 총 7가지 하위 인덱스(많네요...)를 각각의 가중치를 두어 합산하여 도출했습니다.


(1) 37.5% 인적자원

   - (80%) 기술 인력 

     * (90%) 양과 질 - (70%) 2013년~2022년도 5천만 달러(약 650억원) 이상 exit 건수

                              + (10%) 2023년 1월 기준, Top 레벨의 Github 코딩인력/전체 

                               Github 코딩인력 비율 + (10%) 동일 기간 중 10명 이상 팔로어 보유

                               Github 코딩인력 숫자 + (10%) 2022년 기준 영어 숙련도 수준

     * (10%) 비용(Cost) - (50%) 소프트웨어 기술인력 급여 수준(낮을수록 좋다고 간주) 

                                    + (50%) 펀딩 런웨이 - 조사기간 중 Series A 투자금 중간값 

                                       대비 소프트웨어 기술인력 급여 수준

   - (20%) 생명과학 인력

     * (50%)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학생 수

     * (40%) 생명과학 공급처 - (생명과학 분야 학과(disciplines) 수 70% + 생명과학 관련 교육기관 숫자 30%)

     * (10%) 품질 - (상하이랭킹 기준 CNCI , Top, IC, PUB 평균 점수를 각 25%씩 반영)


(2) 62.5% 경험

   - (80%) 스타트업 경험치 - 2013년-2022년간 Series A 펀딩 건수

   - (20%) 성장 경험치 - 혁신생태계 안에서 창업한 스타트업 중 10년간 5천만 달러 이상 및10억 달러 이상의 유의미한 누적 투자유치 건수

      * (60%) 10억 달러(약 1조 3천억원) 이상 exits 수

      * (40%)  5천만 달러(약 650억원) 이상 exits 수


[ Talent & Experience Index별 Top 40 도시 랭킹 ]

서울은, 인력 분야에서는

- Quality & Access(기술인력 양과 질) 5점

- Cost(기술인력 비용) 6점 

- STEM Access(생명과학 학생수) 10

- LS Access(생명과학 공급처) 9점 

- LS Quality(생명과학 품질) 2점

그리고 경험치 분야에서

- Scaling Experience(성장 경험치) 6점

- Startup Experience(스타트업 경험치) 8점으로 나왔습니다.


(ㅎㅎ) 양과 질 5점 / 품질 2점 VS 학생수 10점 / 공급처 9점이라...

사실 STEM 학생 수는 상위 30개 도시가 거의 다 10점 만점이고, 생명과학 공급처는 적지 않은 편인데, 품질(상하이랭킹) 면에서 많이 쳐지네요. 사실 이 지표는 응용과학보다 기초과학 비중이 높고 노벨상/필즈상 등 수상자 비중이 높기(30%대)에, 우리에게 매우 불리한 평가지표라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표/숫자에 일일이 토는 달진 말고 시사점만 보죠. 사실 위 지표와 비중들이 얼마나 객관성/대표성을 갖는지는 의구심도 들고, 그 수준/값에 대해서도 반론의 여지는 많습니다만, 인력/경험치 평가수단의 관점 중 하나로 보며, 상대적인 우열 등을 참고하여 시사점을 얻으면 될 것입니다. 양적 지표에 비해 질적 지표에서 우리가 아직 좀더 분발할 필요가 있습니다.


6. Knowledge

마지막으로 본 인덱스는 연구 및 특허 활동을 통한 혁신의 정도를 측정합니다. 아래와 같이 2가지 인덱스를 각각의 가중치를 두어 합산하여 도출했습니다. 


(1) 80% 특허 활동

   - 본 지역 혁신생태계에서 생산된 모든 특허의 양, 복잡성 및 잠재력을 평가합니다.

   - (50%) 2012~2021년 혁신생태계의 모든 특허 건수

   - (30%) 모든 특허의 3년 이동 평균 성장률 30%.

   - (10%) 기술 잠재력- 전 세계 기술 등급(technology class) 수준 대비 각 생태계가 생산하는 기술 수준을 비교

       * (20%) 페이지랭크 알고리즘에 기반한 기술 등급 복잡도 20%.

       * (30%) 기술 등급의 글로벌 성장률 30%.

       * (50%) 2012~2021년 기술 등급의 규모(등급 내 글로벌 특허 수 로그).

   - (10%) 페이지랭크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복잡한 기술 등급의 특허를 생산하는 혁신

              생태계의 역량을 측정하는 특허의 복잡성 점수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진 않았네요)


(2) 20% 연구 활동

   - 출판 영향력의 척도인 H-인덱스를 활용해 1996~2021년 국가 단위의 모든 연구 생산량을 측정하여 평가합니다.

[ Knowledge Index별 Top 40 도시 랭킹 ]


서울은 Patent 9점 / Research 2점으로 나왔습니다. 리서치 지표가 이리 바닥이라니... H 인덱스가 단일 평가 기준이었던 탓에, (여전히) 우리나라에서 SCI급 이상 인용되는 논문 숫자가 부족한 탓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산업계에서 특허의 필요성, 정부 지원 정책상 다양한 특허 취득 지원 덕인지, 양적 지표 중심의 특허 숫자는 모자라지 않아 보이네요.


이정도로, 좀 세세한 평가지표의 기준과 실제 점수 및 순위를 들여다보았습니다. 또한 보다보니 많은 지표들이 객관성/대표성에 대해 반론의 여지는 많아 보입니다. (Github나 Meetup.com 등의 데이터 비중이 높은 해당 지표들이 우리나라에서 얼마나?...) 다만 그런 개별 Index 숫자값에 연연할 필요는 없고, 상대 척도로서 타 도시나, 유추되는 실제 fact들을 기반으로, 시사점들을 추려낸다면 의미가 있을 것입니다. (어차피 좀 불완전하더라도, 같은 기준으로 타 도시들을 함께 병렬 비교했을테니까요)




이번에는 서울을 설명한 주요 지표와 설명을 따로 보겠습니다.  글로벌 평균과 비교하여 보여주는데, (서울 / 글로벌 평균)으로 비교하여 보니까, 아래와 같네요.


(1) 글로벌 수준 대비 높은 지표

  - 생태계 가치 (2,100억 달러 / 세계평균 346억 달러) (2020 하반기~2022)

  - 유니콘 숫자 (17개 / 세계평균 4개) (2020 하반기~2022)

  - 초기 투자 (36억 달러 / 세계평균 9.7억 달러) (2020 하반기~2022)

  - 생태계 성장율 (100% / 세계평균 47%) 

    (2018 하반기~2020 하반기 대비 2020 하반기~ 2022 하반기)

  - 전체 벤처투자 (340억 달러 / 세계평균 66억 달러) (2018~2022)

  - Exit 총계 (940억 달러 / 세계평균 113억 달러) (2018-2022)


(2) 글로벌 수준 대비 유사 지표

  - 소프트웨어 기술자 임금 수준 (연 51,000 달러 / 세계평균 46,000 달러) (2022)

  - Seed 투자액 평균값 (841,000달러 / 세계평균 821,000달러)  (2020 하반기~2022)

  - Exit 도달 기간 (8.5년 / 세계평균 9년)  (2018-2022)


(3) 글로벌 수준 대비 낮은 지표

  - Series A 투자액 평균값 (340만 달러 / 세계평균 900만 달러) (2020 하반기~2022)


[ 숫자로 보는 서울 생태계 지표 (2020-2022) ]


전체적으로, Top 12에 들어가는 혁신 생태계를 품은 도시 답게, 대부분의 지표는 글로벌 평균 상회, 또는 유사 수준입니다. Series A 투자 중간값만 다소 하회하는데, 아마 세계 평균값에 Series A 티겟값이 높은 미국/유럽의 비중이 매우 높은 탓*이라 생각합니다.

  * 참고 - 2022년 4/4분기 글로벌 벤처투자 기준, 미국 기반 자본이 48%, 유럽이 19% 비중 차지(CB Insight 2022)

[참고 : CB Insight - CB Insights 2022 State of Venture Report p.14]


더하여, 한국 생태계의 매력 포인트로, (새삼스럽지만) 높은 수준의 교육(QS 세계대학랭킹 29위 서울대학교), 혁신 인프라 및 허브(글로벌 혁신지수 4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5조 2,400억원 규모 R&D 투자, 대기업-오픈이노베이션 활성화, 인구 천만 규모의 서울 시장 및 중국/일본/홍콩 등 아시아 시장 진출 허브로 매력, 높은 외국인 직접투자 신뢰지수(AT Kearney, 2022년 16위) 등을 꼽았습니다.

참고로 GSER 2023 리포트의 서울쪽 주요 지표/자료의 공급 파트너는 SBA(서울경제진흥원)입니다. 감사합니다.



흥미롭게 본 또다른 장표는 신흥 혁신생태계입니다. 동일한 척도에 앞서 서울 등 상위 생태계와 가중치만 좀 다르게 했다 하네요. (초기 단계 자금 조달 관련 지표들에 더 중점을 뒀다고..)

각 Index별로 달라진 가중치는 앞서 Top 40와 비교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Performance40%   (Top 40는 30%)

• Funding30% (Top 40는 25%)

• Market Reach12.5% (Top 40는 15%)

• Talent & Experience12.5% (Top 40는 5%)

• Connectedness2.5% (Top 40는 20%)

 Knowledge: 2.5% (Top 40는 5%)


보니까, 코펜하겐, 홍콩, 디트로이트, 바르셀로나, 더블린, 맨체스터, 브뤼셀 등의 순으로 나오네요. 이미지를 첨부하니 한번 보시기 바랍니다. 나중에 해외진출을 생각하는 스타트업이나 관련 지원을 검토 중인 하우스, 유관기관 입장에서도 참고할 수 있겠습니다.


관심있는 분은 위 링크 통해 원문을 보시며, 흥미로운 인사이트들을 발굴해보시기 바랍니다.

부족한 글과 해석에 대한 의견이나 댓글은 항상 감사합니다. 


(위 글은 작성자의 소속 기관 공식 입장과 무관한 개인 연구가의 의견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혁신의 씨앗 스타트업, 정의와 의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