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동민 Apr 25. 2024

[과학] 철학, 과학, 그리고 우주 (3)

현대의 과학

이 글은 AI를 활용하였고,  내용 검증과 퇴고를 거처 작성하였습니다.


옛날 고대 철학자들은 밤하늘을 보며 우주에 대해 궁금해했습니다. 중세 시대에는 신학과 과학이 어우러져 우주의 이해를 깊게 했지요. 그리고 현재, 현대 과학이 우리 앞에 새로운 차원의 문을 열어주고 있습니다. 이전 시대에서는 상상조차 하지 못했던 방식으로 우주를 탐험하게 되었습니다.


현대 과학은 우주를 바라보는 창을 새로이 만들었습니다. 우리는 더 이상 맨눈으로 밤하늘을 바라보며 우주를 상상만 하는 것이 아니라, 첨단 기술을 통해 우주의 신비를 직접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이제 우리는 우주의 시작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더 나아가 미래까지도 생각해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번에는 우리의 우주 이해를 극적으로 변화시킨 현대 과학은 어떤 것이 있는지, 그리고 우리가 어떻게 이러한 지식을 확장해 나가고 있는지 살펴볼 것입니다. 우리는 이제 고대 철학자들이 꿈꾸던 것 이상을 실현하고 있으며, 그 여정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습니다.



빅뱅 이론

우주의 시작은 한 점에서의 폭발이었고, 그 폭발이 모든 것을 만들어냈다.



빅뱅 이론은 우주의 시작을 설명하는 이론 가운데 가장 설득력 있는 가설로 꼽히지만, 아직 여러 가지 한계가 있는 이론입니다. 때문에 그 한계를 보안하는 가설들도 종종 제안되고 있기에 완벽하다거나 혹은 증명이 완료된 이론은 아닌 것이죠. 이 이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두 명의 과학자, 에드윈 허블과 조지 가모프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먼저, 에드윈 허블은 1920년대에 우주를 관찰하면서 매우 중요한 발견을 했습니다. 그는 멀리 떨어진 은하들이 우리 은하에서 점점 멀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죠. 이것은 마치 빵 안의 거품이 팽창하면서 빵이 커지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은하들이 멀어지고 있다는 것은 곧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뜻이었어요. 그리고 이 발견은 나중에 '허블의 법칙'으로 불리게 되며,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강력한 증거로 여겨지게 됩니다.


조지 가모프는 1940년대에 한 걸음 더 나아가 우주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에 대한 이론을 제안했습니다. 가모프는 우주가 매우 뜨겁고 밀집된 상태에서 시작되어 시간이 지나며 팽창했다고 주장했지요. 이 이론은 마치 거대한 폭발, 즉 '빅뱅'이 우주의 시작이었다고 설명합니다.


가모프의 이론은 우주가 초기에 얼마나 뜨겁고 밀집되었는지,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우주가 팽창하면서 온도가 낮아지고 밀도가 감소했다고 설명해 줍니다.


이 두 과학자의 발견과 이론은 우리가 우주를 이해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었습니다. 더욱 놀라운 것은, 이들의 이론이 제안된 지 수십 년이 지난 후에도 여전히 현대 우주학의 기초가 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우주의 시작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계속해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에드윈 허블과 조지 가모프의 업적은 그 여정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업적입니다.



우주 망원경

우주 망원경은 시간을 거슬러 우주의 비밀을 들추는 열쇠이다.



우주를 탐사하는 일은 마치 시간 여행을 하는 것과 같습니다. 우리는 먼 별을 바라보며 과거로 눈을 돌립니다. 이렇게 신비로운 여정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은 바로 우주 망원경입니다. 여기서 두 가지 중요한 우주 망원경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팽창 우주론을 제창했던 에드윈 파월 허블의 이름을 따온, 허블 우주 망원경은 1990년에 우주로 발사되어 우주의 다양한 비밀들을 밝혀냈습니다. 허블의 눈을 통해 우리는 우주의 나이가 약 138억 년임을 알게 되었고, 우주가 어떻게 생겨났으며 어떻게 확장되고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얻었습니다.


허블 망원경은 대기권의 간섭을 거의 받지 않기 때문에, 지상에서는 얻기 힘든 선명한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허블 망원경보다 2~3배 더 큰 지상의 거대 망원경들에 비해서도 30년 전에 쏘아 올린 허블 망원경의 해상도를 따라갈 수 없을 정도니, 대기의 간섭을 받지 않는 허블은 지난 30년간 우주 탐사의 눈이 되어주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허블 우주 망원경의 바통을 이어받아, 우리 우주의 가장 초기 상태와 가장 먼 거리에 있는 천체들을 관측할 목적으로 설계된 차세대 우주 망원경입니다. 2021년 말에 발사된 이 망원경은 우주 탐사의 새 장을 열었습니다.


허블 망원경이 주로 가시광선과 근접 적외선 영역에서 우주를 관측했다면, 제임스 웹은 더 넓은 적외선 스펙트럼을 이용해 더 멀고 옛날 우주를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우주의 탄생 직후, 즉 빅뱅 이후의 초기 우주 상태를 연구하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지요.


제임스 웹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그 크기에 있습니다. 이 망원경은 지름이 약 6.5미터(약 21.3피트)에 달하는 거대한 주 거울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허블의 주 거울보다 훨씬 큽니다. 지구로부터 약 150만 킬로미터 떨어진 제2 라그랑주 점(L2)에 위치하게 되어, 지구의 열과 빛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적외선 관측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조건 덕분에 더 멀리, 그리고 더 오래된 우주를 관측할 수 있는 제임스 웹 망원경으로 우주의 첫 별과 은하가 형성되는 과정, 행성의 대기 조성, 그리고 우리 태양계 밖에 있는 다른 행성들을 더 자세히 탐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다양한 과학적 시도

우주의 신비를 풀기 위한 과학의 여정은, 별들 사이를 걷는 꿈을 꾸는 인류의 영원한 도전이다.



우주의 탄생을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우주 배경 복사'입니다. 이것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우주가 시작된 그 순간, 즉 빅뱅에서 나온 엄청난 에너지가 지금도 우주 곳곳에 마이크로파 형태로 남아 있는 것을 말해요. 마치 우주의 오래된 사진처럼요.


이런 마이크로파를 처음 발견한 것은 1965년, 아르노 펜지아스와 로버트 윌슨이라는 두 과학자였어요. 그들은 당시 통신 회사인 벨 연구소에서 일하면서, 우주에서 오는 미세한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을 하고 있었죠. 하지만 실험 중에 예상치 못한 잡음을 발견했습니다. 처음에는 그 잡음의 원인을 찾기 위해 방송국의 간섭, 장비의 고장, 심지어는 장비 안에 둥지를 튼 비둘기의 배설물까지 의심했지요. 하지만 결국 그 잡음이 장비의 문제가 아니라 우주 자체에서 오는 신호라는 것을 알게 되었죠.


그렇게 우연히 발견한 이 마이크로파는 빅뱅 이론을 뒷받침하는 결정적인 증거가 되었어요. 이 발견으로 빅뱅이라는 거대한 폭발로 우주가 시작됐다는 이론이 많은 과학자들 사이에서 받아들여지게 되었고, 펜지아스와 윌슨은 1978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받게 되었답니다.


‘대형 입자 가속기’는 마치 우리가 우주의 비밀을 풀기 위해 만든 거대한 도구입니다. 이 중에서도 대형 강입자 충돌기(LHC)는 스위스와 프랑스의 국경에 자리 잡고 있는 대형 실험실인데, 우주의 가장 작은 구성 요소들을 연구하는 데 사용됩니다.


가장 작은 요소들을 연구하려면 그것을 만들고 관측해야 하는데, 자연 상태에서는 확인이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대형 강입자 충돌기를 만들어 입자들을 서로 충돌 후 폭발시켜서 그 결과를 관측하는 것이죠. 이 충돌은 매우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며, 거의 빛의 속도에 가깝습니다. 이 충돌을 통해 새로운 입자들이 생성되고, 이를 관찰함으로써 우주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우주의 가장 기본적인 법칙들이 무엇인지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을 이해하기 쉽게 비유해 보자면, 마치 레고 블록을 가지고 무언가를 만들다가, 블록을 높은 곳에서 떨어뜨려 그 충돌로 인해 새로운 형태의 레고 작품이 만들어지는 것을 관찰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물론, 실제 입자 충돌은 훨씬 더 복잡하고, 새로운 입자들은 우리 눈에 직접 보이지 않으며, 고도의 기술로 만들어진 검출기를 통해서만 간접적으로 관찰됩니다.


LHC의 가장 유명한 업적 중 하나는 2012년에 힉스 보손 입자의 발견입니다. 이 입자는 우주에 질량을 부여하는 메커니즘과 관련이 있으며, '신의 입자'라고도 불립니다. 힉스 보손의 발견은 우주의 기본 구조에 대한 이해를 한 단계 끌어올렸으며, 이는 과학계에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대형 입자 가속기와 LHC는 우리가 우주를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과학자들이 이 거대한 기계를 사용하여 우주의 비밀을 하나씩 풀어가는 모습은 마치 끝이 없는 우주 탐험과도 같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연구를 통해 우주의 신비를 조금씩 밝혀나가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 많은 발견이 기대됩니다.









이전 07화 [과학] 철학, 과학, 그리고 우주 (2)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