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OL Feb 15. 2022

20년 지난 중등국어 임용고시 합격수기

내가 중등임용고시를 치뤘던 때는 2004년이다. 거의 20년 가까운 시간이 흘렀다. 그러니 구체적인 내용은 많이 달라졌을 것이다. 하지만 그때의 내 공부방법이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까 싶어 기억을 더듬어본다.


이런저런 이유로 나는 남들보다 조금 늦게 공부를 시작했다. 아마 2004년이 시작되는 1월에도 마음을 정하지 못했던 것 같다. 시험이 12월 초에 치뤄지므로, 나는 약 10개월정도 공부하고 합격한 셈이다. 합격률이 그리 높지 않은 시험임에도 불구하고 10개월정도의 짧은 공부기간으로 합격할 수 있었던 것은, 그 시험이 나랑 잘 맞는 시험이었기 때문이다.


나는 서술형 시험에 유리한 사람이다. 대학 1학년 때 과학교육과에 다니는 사촌언니와 우연히 같은 교육학 수업을 들었다. 그때 언니는 2학년이었고 나는 1학년이어서 그랬는지, 그냥 언니 과 친구들은 성실하고 우리 과 친구들은 노는 걸 좋아해서였는지 모르겠지만, 언니 과 사람들은 아주 성실하게 수업을 들었고 우리 과 친구들은 거의 농띠를 부렸다. 그런데 시험결과는 정반대로 우리 과 친구들이 상의권이었고 언니 과가 하위권으로 형성되었다. 언니는 내 시험 성적을 듣고는 교수님께 배신감을 느껴했다. 그 이유를 생각해보니 우리 과는 글짓기에 뛰어난 데 비해, 과학교육과 사람들은 핵심내용만 적고 글짓기를 안 했던 것이다.


중등임용시험은 서술형 시험이다. 일단 글짓기가 중요하다. 하지만 내 전공과목인 국어는 모두가 글짓기가 뛰어난 사람이 모여있는 과목이다. 그러니 글짓기만으로는 안 된다. 아니 심사하는 분들은 이미 핵심없는 글짓기에 질려있을 수도 있다. 국어과 시험에서는 글짓기 보다 "핵심"을 적어내는 게 관건 같았다.





나는 준비기간이 짧았으므로, 다양한 책을 보는 것을 포기했다. 당시 내가 선택한 학원강사의 교재를 중심으로 하되, 그 한 권만으로는 편협한 내용이 될 수 있으므로 참고할 만한 책 두 세권을 더 보는 것으로 정했다. (그 당시 주위 친구들은 보통 열 권이 넘는 책을 다양하게 봤던 것 같다) 중점으로 보는 한 권의 책에, 참고하는 다른 책의 내용을 덧붙여 적어서, 결국에는 딱 한 권만 보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딱 그 한 권만 외우듯이 봤다. 그래서 나는 국어과의 방대한 양에서 핵심적인 부분을, 내 머리속에 완전히 기억했다. 핵심내용만이다. 그 핵심내용만 기억한 뒤, 나머지는 나의 특기인 글짓기가 보충해주리라 믿었다.


실제로 시험에 어떤 내용이 나올지 알 수 없다. 문학만 해도 고대부터 현대까지 너무나 많았고, 그 외 문법과 국어지식까지 국어과는 범위가 정말 방대하다고 할 수 있는데, 그 내용들을 다 외우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니 핵심만 봐야한다. 내가 시험볼 때 현진건의 유명하지 않은 초기 작품이 문제로 나왔는데, 아마 그 작품을 공부했던 사람은 무척 적을 것이다. 현진건의 유명한 작품이 얼마나 많은데, 왜하필 유명하지 않은 초기작이 시험에 나왔을까. 하지만 나는 어차피 핵심만 기억했다. 현진건 초기작들의 핵심적인 특징. 초기작의 핵심 특징이 그 작품에도 드러났을 거라 믿고, 또 출제위원이 그 한 작품에 대한 지식보다는 현진건 작품세계 전반 속에서 그 작품에 대해 물을거라 생각하고, 마치 그 작품을 읽은 양 글짓기를 했다.


요약하면, 국어과 임용시험에서 모든 작품을 다 본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중요한 것은 핵심이다. 핵심은 머리속에 완전히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문학의 경우 고대부터 현대까지 시대별 특징, 작가별 특징 등의 가장 기본 핵심. 그리고 그걸 바탕으로 글짓기를 잘 하면 되었다.





나는 엉덩이를 오래 붙이는 일은 잘해서 기본 하루 12시간 넘게 공부했던 것 같은데(기억이 가물가물하지만), 내 공부에서 가장 중요한 시간은 잠자기 전 30분이었다. 침대에 누워 반드시 했던 일이 있다. 잠자기 전 침대에 누워 눈을 감은 뒤, 머리속으로 오늘 하루 공부한 내용을 한 페이지에 요약하고 잠들었다. 여기서도 역시 핵심을 잘 기억해두려고 한 것 같다. 무조건 한 페이지 정도로, 내 눈에 그려질 듯이, 오늘 공부한 내용을 요약하고 잠을 잤다. (그러면 꿈에서도 막 그 내용들이 떠다니는 듯했다) 그리고 다음날 아침 일어나자마자 내가 머리속으로 요약한 내용을 종이 위에 다시 써봤다. 생각날듯 말듯한 내용은 다시 책을 펴서 보충했다. 그렇게 해서 나는 요약에 요약을 거듭했다.


한때 유행했던 <시크릿>류의 책들을 보면 간절히 원하는 바가 있다면 눈에 그려질 듯 생생하게 묘사하고 머릿속으로 그려보라고 한다. 나는 그 책을 읽기 전이었지만, 공부에 있어 그 방법을 썼던 것 같다. 한 페이지로 내 공부의 내용을 눈에 보일 듯 그려보는 것이었다. 오늘 밤에도 자기 전에 이 일을 해야 했으므로, 오늘 공부하는 내내 한 페이지로 요약할 핵심적인 내용을 염두하면서, 또 그걸 꼭 기억해내겠다고 다짐하면서 공부했다. 암튼 나중에 내가 <시크릿>을 읽고, 나는 나의 이 공부방법이 생각나서 신기했다.





국어과는 정말 봐야할 내용이 방대했다. 국어지식, 문법, 문학. 그 분야별로 다양한, 유명한, 꼭 봐야할 책들 많았다. 하지만 나는 내가 선택한 학원강사가 만든 책 한 권을 중심으로, 다른 몇 권의 책을 참고하여, 내가 볼 책은 딱 한 권으로 만들어두었다. 그리고 그 한 권의 책을 머릿속에 완전히 집어넣으려고 했는데, 그 양만으로도 방대했기에 또 나만의 방식으로 핵심내용을 중심으로 요약에 요약을 거듭했던 것이다.


그래서 시험날 나는 자신이 있었던 것 같다. 내 머리 속에 방대한 범위의 핵심들이 정리가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다른 친구들의 경우 특별히 자신있는 파트가 있었을 것이고, 또 미처 공부하지 못한 파트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나는 특별히 자신있는 파트는 없었지만, 어떤 부분이 나와도 다 어느정도는 적어낼 자신이 있었다. 그래서 나는 시험 시간이 정말로 부족했다. 어떤 한 문제도 포기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거의 모든 문제에 대한 답을 다 적어낼 수 있었다. 앞서 말했듯 현진건의 유명하지 않은 초기작품에 대한 문제에도 나는 꽤 길게 답을 적어낼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나는 준비한 시간에 비해서 우수한 성적으로 시험에 합격했다. 그때 나의 합격소식이 너무나 의아했는지, 내가 국가유공자 가산점으로 합격했다는 헛소문까지 돌았다. 내가 합격할 수 있었던 것은 이 시험이 나랑 궁합이 잘 맞는 시험이었기 때문이다. 나는 기본 글짓기가 되는 사람이었는데, 거기다가 방대한 내용의 핵심은 머릿속에 다 저장이 되어 있었으니, 어떤 문제가 나와도 두렵지 않을 수 있었던 것이다. 이 방법을 알면, 중등국어임용시험을 치루는 데는 도움이 될 것 같다. (벌써 다 아는 내용인가?)



하지만 나는 수능은 망한 케이스이다. 오지선다의 정확한 답을 도출해내는 능력이 내게는 부족하다. 특히 나는 물리에서는 머리가 하애지는 것 같다. 물리는 몇 번을 다시 돌아가도 잘할 수 없을 것이다. 운전면허 시험도 그리 높은 성적이 아니었던 것 같다(참고로 내 친구는 100점을 맞았다). 아마 공무원 시험을 봤더라도 좋은 성적을 못 거두었을지도 모른다(공무원 오지선다 맞나?). 본인에게 잘 맞는 시험 스타일이 있는 것 같은데, 나는 그런 면에서 운이 좋았다. 혹시 매번 시험에 실패하는 중이라면 그 시험 스타일이 본인과 맞지 않을 수도 있을 것 같다.




매거진의 이전글 어떤 결정을 앞두었을 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