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OJEONG Jun 02. 2024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

당당하게 말하게 할 수 있는 리더십

생쥐는 고양이를 무서워한다. 

그래서 고양이가 오는 소리를 듣고 미리 도망갈 수 있도록 목에 방울을 달고 싶어 했다. 

그러나 아무도 선뜻 나서지 않았다.

직장 생활을 하다 보면 으례히 맘에 들지 않는 상사 험담을 하고, 회사에 대한 불평불만을 이야기한다. 

그런데 대부분 딱 거기까지다. 회사에 이야기하고 상사에게 이야기해 봤자 나에게 돌아올 후환이 두렵기 때문이다. 낙인이 찍힐까 두렵고, 괜한 혼란만 가중시켜 의도와 다르게 비난을 받을까 걱정도 된다. 어차피 이야기해 봐야 변할 건 없을 테니 그냥 넘어가기로 한다. 그저 술안주 거리일 뿐이다.

해외 영화나 드라마에서 보면 조그마한 문제가 발생해도 상사에 이야기하거나 직접 이야기하거나 하면서 갈등은 생기지만 결국 해피엔딩으로 끝나는 모습을 본다. 물론 그들이라고 우리와 다를 바가 있을까 싶지만 어쨌든 때로는 부럽기도 하다. 

신뢰에 관한 문제다.

직장인 치고 신뢰가 중요하고, 신뢰가 이루어지려면 소통이 잘 되어야 하고, 소통이 잘 되려면 서로 가진 의견을 편견 없이 일단 듣고 판단하고 합의를 하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걸 모르는 이는 없다. 알면서도 잘 안된다. "아... 진짜 이건 잘 못 된 건데..."라고 되뇌기만 한다. 직급에 눌려서, 나만 입 아프니까... 그 반대로 나에게 도전하는 것 같으니까 울컥하게 되고, '네가 뭘 안다고 나한테 그런 소리를 하는 거야' 라머 무시하기 바쁘다.

비단 HR의 문제만 아니다. 리더십에 대한 문제일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한다. 서로 간에 부적절한 상황에 대해 듣고 이야기를 나눌 창구를 마련해야만 한다. 창구가 마련되어 있다 한들 대부분은 이야기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잘 이야기할 수 있도록 아주 작은 사례라 하더라도 변화되는 모습을 보여주어야 하는 것이 마땅하다. 

[함께 만들어가는 변화]

회사 이름을 밝힐 수는 없지만, 꽤나 유명했던 중견기업의 회장님이 있다. 그 회장님은 한 달에 한두 번은 사옥 옥상에서 삼겹살 파티를 연다. 누구라도 자유롭게 참석할 수 있으며 회장님이 직접 고기를 구워 나눠준다. 여기서 눈여겨봐야 할 것은 이것이다. 

"자~이제 고기도 먹을 만큼 먹었을 테니 우리 이제 이야기 나눕시다~"

업무로 인해 이 회사를 방문했을 때 회장님이 함께 참석하는 게 어떠냐며 제안을 하길래 거절할 수 없어서 참석한 자리에 이 광경을 본 것이다. 처음엔 누가 여기서 이야기를 할까 싶었지만, 그 생각은 단 10초 만에 깨졌다.

"회장님~우리 회사에 커피 말고 음료 자판기가 있으면 좋겠습니다"

"회장님! 저 마케팅 부서로 옮겨가고 싶습니다."

"회장님! 제품 연구비가 더 필요합니다!"

10여 가지의 요구가 쏟아졌다.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간다.

"총무팀장. 내일 당장 자판기 설치하는 거 검토해 보시고 일주일 내에 결정해서 보고하고, 결과를 저 직원분께 알려주세요. 자~ 상품권 10만 원~ (상품권을 직원에게 직접 전달한다.)"

좋은 의견을 말한 직원에게 고마움을 전하는 순간이기도 하지만, 눈여겨볼 것은 빠른 의사 결정이었고, 모든 임직원이 함께 격의 없이 소통하고 변화를 만들어가는 모습이었다. 

[리더의 생각의 변화가 중요]

리더로서, 함께 일하는 부하 동료 직원들의 자질구레한 의견은 때로는 하찮고 귀찮다. 사람이기에 그런 생각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다. 그러나 한 번 더 생각해 볼 필요는 분명히 있다. 잘 되고자 하는 마음이고, 더 발전하고 성장할 수 있을 것 같아 과감하게 이야기하는 제언들이다. 

무시하는 것도 한두 번이지 쌓이면 분명 그 언로는 막힌다. 그것은 다시 아이디어와 협력의 고갈로 이어지고, 사업의 경쟁력의 저하로 이어진다. 저가 수주로 경쟁하게 되고 제품의 경쟁력은 없어지게 된다. 매출은 하락하고 영업이익도 줄어들어 결국 사람을 내보내야 하는 지경에 이를 수도 있다. 

그래서 회사와 직원 간에, 상사와 부하직원 간의 신뢰는 중요하다. 

당당하게 생각을 말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회사가 건강해진다.

직원들의 의견이 정말 쓸데없는 것일지라도, 일단 듣자.

들어보고 나서 왜 안되는지, 어떤 어려움이 있는 건지를 그들이 최소한 납득이라도 할 수 있을 만큼 피드백을 주자.

진정 나와 동료, 회사가 잘 되고자 하는 마음이 있다면 말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조직의 변화와 성장을 이끄는 리더십의 변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