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N의 단상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리타 Jun 05. 2024

없는 것들에 대한 단상

Digitine. Digital과 Guillotine의 합성어로 우리말로 하면 디지털 단두대. 최근에 틱톡에서 시작된 새로운 캔슬 컬처로, 캔슬 컬처란 잘못된 언행을 한 유명인이나 브랜드를 대상으로 보이콧하는 문화를 뜻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불매 운동이라고 하면 이해가 될 것이다. 불매 운동은 구매 행위를 중단해서 금전적인 영향을 끼치는 반면, 디지털 단두대는 구독, 팔로우 등의 취소를 통해 의지를 나타낸다. 여기까지만 보면 기존의 불매 운동에서 방식만 온라인으로 옮겼을 뿐 별로 큰 차이가 없어 보인다. 하지만 디지털 단두대는 다른 캔슬 컬처와는 사뭇 다르다. 잘못된 행동을 한 것에 대해서가 아니라, 현재 미국에서 가장 큰 화두인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에 대해 영향력이 있는 사람임에도 아무런 행동도 하지 않았다는 것에 대한 처형식이 디지털 단두대의 시작이었기 때문이다.


이 단어가 생기기 전에도 비슷한 모습을 봤다. 유튜버 <슈카 월드>를 자주 챙겨 보는데 몇 달 전부터 "왜 금투세에 대해서는 입 꾹 닫고 있냐"라는 내용의 댓글들이 계속 달리기 시작했다. 물론 나도 금투세에 관심이 많았기에 이야기를 해주면 좋겠다는 생각은 했다. 하지만 다루지 않는다고 해서 비난한다는 건 전혀 생각지도 못했다. 영상의 내용과 상관없이 계속 달리는 댓글을 보자 삐뚤어진 생각이 들기도 했다. 이들이 원하는 건 상대방의 의견일까, 본인 의견의 지지자일까, 물어뜯을 대상일까. 사실 어려운 문제다. '나치가 그들을 덮쳤을 때...'로 시작하는 유명한 구절이 있듯이 침묵이 항상 옳다고 볼 순 없다. 그렇다고 해 행동 없음에 대한 처벌을 내리는 건 옳은 현상일까. 가만히 있으면 중간은 간다는 말은 이제 인플루언서들에겐 통하지 않는다. 어릴 땐 유명해지는 상상을 하면 두근거렸다. 이제는 유명해지는 상상을 하면 두렵다. 근거는 어디로 사라졌을까.


생각해 보면 없는 것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는 게 그리 어색한 일은 아니다. 세상에 온기는 있어도 냉기라는 건 없다. 상대적인 열의 차이를 느끼는 것뿐이다. 어둠이란 것도 존재하지 않는다. 빛의 부재일 뿐이다. 그림자 또한 그림자가 있는 게 아니라 그 부분을 제외한 모든 곳에 빛이 닿는 현상이다. 하지만 우리는 이들을 정의하여 일상 속에 존재시켰다. 이러한 개념적 정의 외에도 없는 것들은 생각보다 쉽게 실존될 수 있다. 우리는 부재의 증명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몬스터나 외계인에 대해서 그 누구도 없다고 증명할 순 없다.


하지만 실존하면서 없는 것들은 때론 너무나 쉽게 외면받는다. 미국 메사추세스주에서 듀카키스 주지사는 교도소에 수감된 죄수들에게 특정 조건에 따라 제한된 외출/외박을 허용하는 귀휴 제도를 도입했다. 귀휴를 다녀온 수감자들은 재범률이 기존 31%에서 12% 수준으로 현저히 줄어들었다. 그러나 윌리 호턴이 귀휴 중 범죄를 저지르는 사건이 일어났고, 추후에 듀카키스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을 때 상대 진영이었던 부시는 이를 빌미로 공격했다. 윌리 호턴이 저지른 범죄의 피해자에겐 많은 이들이 공감하고 격분했지만 19%의 발생하지 않은 피해자들에겐 아무도 공감하지 않았다. 그들은 수치상에만 있는 없는 존재들이기 때문이다.


김영하: 저도 개인적으로 약간 경계하는 것 중에 하나는 정의감이 들 때 좀 조심해요. 이 정의감이 어디서 왔지 이거 좀 알아봐야 돼요. 마녀사냥도 마찬가지예요. 이 사람부터 많은 사람들이 처음에는 사람들의 정의감을 건드렸을 거예요.
(중략)
김상욱: 정의감이라는 말이 뭔가 옳다, 의롭다는 말인데, 굉장히 위험한 말이거든요? 옳은 게 있으면 옳지 않은 게 있다는 거라서, 그걸 누가 규정하는지가 중요한 거지 정의감만 추구한다고 되는 게 아니어서, 전두환 정권이 내건 모토가 정의 사회 구현 이었잖아요?
(중략)
김영하: 그리고 사실 정의롭게 우리가 살거나 행동한다는 게 간단할 리가 없거든요. 정의라는 마약에 쉽게 취하면 안 되고...

<알쓸인잡 EP7 - 인류의 흑역사>, https://www.youtube.com/watch?v=xgcQSuXvnOA&t=732s


옳음을 추구하려 하지만 완벽한 옳음의 존재 자체에 대한 의구심이 종종 들곤 한다. 하나 확실한 건 지속적으로 의심하면서 완성도를 높여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며칠 전 생애 두 번째로 선하다는 말을 들었다. 두 번째로 들어도 여전히 어색한 말. 이전에는 거부감이 먼저 들었던 것 같은데, 이번에는 이런 말에 안주하면 안 된다는 생각이 제일 먼저 들었다. 지금 모습을 좋게 봐주신 건 당연히 감사하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끊임없이 스스로를 의심하고 변화해야 한다고. 칭찬을 좋게만 받아들이지 못하는 습관은 여전한가 보다.


매거진의 이전글 빨대의 구멍은 몇 개일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