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길건우 May 25. 2022

블록체인의 무한한 가능성
: 이더리움

코인을 구분할 때

1세대, 2세대, 3세대 이렇게 구분을 하곤 하는데요.


이 세대를 나누는 기준이 무엇이냐.


1세대 : 거래

2세대 : 디앱, 스마트 콘트랙트 이용

3세대 : 확장성, 안정성, 빠른 속도


1세대 대표코인 비트코인,

2세대 대표코인 이더리움.


코인 시장을 열어 준 건 비트코인이지만

코인 시장을 확장시킨 건 이더리움입니다.



이더리움은 비트코인과 비슷하게

디지털 통화로 화폐의 가치를 가지지만

다른 사용자가 만드는

어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합니다.



스마트폰으로 비유를 하자면

스마트폰 자체의 기능은

전화와 인터넷 등 밖에 없지만

그 안에 여러 어플리케이션들을 통해

게임, 은행, 음악 등의

다양한 기능을 하는 것입니다.


어플리케이션의 역할을 디앱이 하는 것이고

스마트 컨트렉트

특정 상황에서 발동되는 코드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스마트 컨트렉트를 통해

수많은 디앱들을 활성화시키고

확장성이 점점 더 넓어집니다.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한

NFT, Defi, 스테이킹 등도

스마트 컨트렉트를 통해

조건값을 입력해 이용하는 것입니다.


https://forms.gle/XvPdLrABAeQMdBfu9



이더리움의 최초 개발자인

'비탈릭 부테린'.



현재는 이더리움 재단에서

아직까지 계속 개발을 하고 있으며

 이더리움 2.0이 출시될 예정입니다.


이더리움의 가장 큰 문제점


속도.


이더리움은 TPS(초당 트랜잭션 속도)가

10정도 밖에 되지 않습니다.


이 말이 무슨 말이냐면

1초당 처리할 수 있는 정보의 개수가

10개 밖에 안된다는 의미인데요.



VISA의 TPS가

24,000인 것과 비교하면

굉장히 느립니다.



처리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은 적은데

디앱의 양은 많아지고

심지어 Defi까지 작동하다보니 과부화로 인해

속도 문제가 붉어지고

수수료도 점차 증가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더리움 2.0으로 업그레이드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원래 이더리움 2.0 출시 예정은

2021년도 였는데 미뤄져

예상 출시일은 22년도 2분기 쯤이라 예상하고 있고,


이더리움 2.0 업그레이드 내용은

TPS 14,000으로 늘리기.

채굴 방식을 PoW에서 PoS로 바꾸기.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유튜브 링크에서 확인하세요!


↓ ↓ ↓ ↓


https://www.youtube.com/watch?v=jGwE8cAaIFs&t=31s







※ 궁금한 사항은 아래의 링크 통해서 도와드립니다.

https://forms.gle/XvPdLrABAeQMdBfu9


매거진의 이전글 국토교통부, '청년의 주거비 걱정을 덜겠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