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정문일침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파르헤시아 Dec 15. 2021

책임전가

만약 우리가 행위의 불법성이나 중대성으로 악한 사람을 가려낼 수 없다고 한다면, 그들을 가려내는 참 기준은 무엇인가? 바로 '죄의 일관성'이다. 그들의 파괴성은 정도는 미미할지라도 참으로 놀라울 만큼 일관성이 있다. '넘지 못할 선을 넘어 버린' 사람들이 하나같이 자신의 죄성을 어떻게든 인식하지 않으려는 것도 모두 그 때문이다....내가 악한 사람이라고 부르는 이 사람들의 행동에 있는 가장 지배적인 특징은 곧 남에게 죄를 덮어씌우는 책임전가다. 그들은 마음속으로부터 스스로를 비난의 대상에서 제외시키는 까닭에 자연히 자신을 비난하는 상대에게 손가락을 겨누게 된다. ...이 책임 전가는 정신과 의사들이 투사(projection)라고 부르는 방어기제의 모습으로 나타나게 된다. 악한 사람들은 밑바닥에서부터 자신들에게는 잘못이 없다고 생각하는 까닭에 혹시 갈등이라도 생기면 그 갈등을 일관되게 세상 탓으로 돌린다. 이것이 그들에게는 너무나 당연하고 불가피한 것이다. 자신들의 악함을 거부해야만 되는 까닭에 자신들의 악을 세상에 투사한다. 자신은 털끝만큼도 악하다고 생각하지 않으면서 다른 사람들 속에서는 끝도 없이 악을 찾아내는 것이 바로 그들이다. ...정작 무례하고 더러운 것은 자기 자신이다. 이렇듯 악이 자행되는 가장 잦은 이유는 자신의 책임을 남에게 덮어씌우기 위해서다. 내가 악하다고 보는 그 사람들은 만성적인 책임 전가자들이다. 『아직도 가야할 길 』에서 나는 악을 이렇게 정의했다. "악은 정신적인 성장을 피하기 위해서 행해지는 정치적인 힘의 구사, 즉 공개적이거나 은폐적인 압력을 통하여 자신의 의지를 다른 사람에게 부과하는 것이다."


-M. 스캇펙 , 『거짓의 사람들』(윤종석 역, 비전과 리더십. 2007)

매거진의 이전글 소인(小人)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