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미쎄쓰 애듈란 Aug 27. 2024

완경선고

예고 없이 찾아온 변화

이유 없이 울컥 짜증이 치밀고 답답함에 잠을 이루지 못하는 날들이 계속되고 있었다.

추웠다가 더웠다가 갑자기 땀이 비 오듯 쏟아지고, 양쪽 겨드랑이와 사타구니로 이어진 사지는 쑤시듯 아팠다. 그중 가장 견딜 수 없었던 것은 팔을 어깨 위로 들어 올릴 때 승모근과 쇄골, 뒷목까지 ‘찌릿’하게 오는 통증이었다. 매일 옷을 갈아입거나 머리를 묶는 등 일상생활에서 팔을 들어 올려야 하는 것이 공포스럽기까지 했다. 분명 어딘가가 단단히 고장 난 것이었다.

정형외과를 시작으로 한의원, 통증클리닉, 아로마마사지 등 가능한 모든 치료를 다 해보았지만, 통증은 하루 이틀 줄어들 뿐, 뚜렷한 병명도 원인도 찾을 수 없었다.

전혀 모르는 분야의 새로운 일에 발을 들였기에 스트레스 탓이라 생각했지만, 병원에서의 반응과 내 증상들을 종합해 보니 그동안 애써 외면하던 마음속의 불안이 훅 치밀어 올랐다. 

셋째 아이를 유산한 이후 불규칙했던 생리가 올해는 단 한 번도 없었기 때문이다.

'딱 갱년기 증상인데, 나는 이제 막 40대 초반 여성이지 않은가.'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생각에 동네 산부인과에서 암 검사와 호르몬 검사를 받았다.

결과는 '폐경'이었다.


몇 년째 아이들에게 '엄마 갱년기니까 열받게 하지 마라'고 장난처럼 말해왔지만, 의사 선생님의 진단에 나는 적잖이 충격을 받았다. 선생님께서는 준비된 PPT를 띄워가며 조기 폐경의 원인과 증상, 폐경기 여성의 신체적·정신적 변화, 앞으로의 대처법에 대해 꽤 정성스럽게 설명하시며 나를 위로하기 위해 애쓰셨다. 미세플라스틱이 조기 폐경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대목에서는 '몇 년째 페트병에 든 생수를 마셨던 탓인가'라며 함께 원인을 찾기도 했다. 다 부질없는 일이었다. 폐경 이후 가장 큰 위험인 골다공증을 설명하실 때는 멀쩡했던 허리가 뻐근하고 무릎이 시큰거리는 기분까지 들었다.

'어떤 호르몬제를 처방해 드릴까요?'

선생님이 물으셨다.

'네? 아... 호르몬제를 꼭 먹어야 하는 걸까요?'

내가 다시 물었다.

선생님은 무시무시한 골다공증 이야기를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셨다.

나는 다시 오겠다는 말을 남기고 자리에서 일어났다.


'이 병원을 믿을 수 없어.'

동네 산부인과를 나서며 나는 두 아이를 출산했던 산부인과에 진료 예약을 했다.

그러나 역시 서울 병원에서도 결과는 다르지 않았다.

나는 약을 지금 꼭 먹어야 하는지 물었고,

두 아이를 받아주셨던 원장님께서는 꼭 지금이 아니어도 괜찮다고 하셨다. 

물론, 지금 느끼는 나를 힘들게 하는 증상들이 약을 먹으면 한결 나아질 테니 참고하라는 말씀도 덧붙이셨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나는 많이 울었다. 내 안에 쌓여있던 깊은 서러움과 나를 괴롭히는 신체적·정신적 변화들의 원인을 찾은 후련함 등, 복잡한 감정이 터져 나왔다.

며칠이 지나 남편에게 말했다. 

그리고 또 며칠 후, 고등학생이 된 첫째와 이제 막 사춘기를 넘긴 둘째 아들에게도 말했다. 

남편은 나를 꼭 안아주었고, 두 아들들의 반응은… 기억나지 않는다. 아마도 '아... 그래요?' 정도였던 듯하다.

마흔한 살이 되던 해에 나는 이렇게 완경을 한 갱년기 여성이 되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