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마음의 고고학 May 05. 2023

"사람이 아닌 자연과 예술이 친구가 되어줄거에요."

어머니를 하늘나라로 보내드린지, 어느덧 4개월이 지났다. 


9년 동안 투병생활을 하시며, 말 못할 고통과 외로움 속에 계셨을 어머니를 떠올리면, 


마음이 으깨지는 듯하다. 


아들이라고, 잘 해드린 것 하나 없는데, 가끔 집에 들리는 것만 해도 고마워하셨던 어머니의 얼굴,


야윈 그 뒷모습이 떠오른다. 


그렇게 어머니의 빈자리에, 상실감과 우울감 속에,


헛헛한 마음에, 모든 것이 서운하고 슬펐다. 


특히 주변사람들에 대한 마음. 


그런데 어느 누군가 나에게 아주 좋은 이야기를 해주었다. 


'꼭 사람만이 친구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에요. 자연이나 예술도 친구가 될 수 있어요.'


이 말을 듣고, 무엇인가 큰 깨달음을 얻었다. 


왜 나는 항상 사람으로 채우려 했는가. 그닥 사람이랑 가까이 하진 않음에도, 항시 외로웠다. 


그런데 이 이야기를 듣고, 엉킨 실타래가 살포시 풀린 느낌이 들었다. 


다시 문학과 음악 그리고 자연과 친해져야겠단 생각이 든다. 



한참 외로운 시기를 겪었던 20대 후반에도, 내 깊은 벗이 되어주던 것은 클래식이었지. 


그땐 복잡한 선율과 감정선을 보이는 쇼팽을 특히 좋아했었다. 


음악을 잘 모르는터라, 그저 무식하게 들으며, 선율에 내 감정들을 덧씌웠던 기억. 


특별히 쇼팽의 삶이 기구했던터라, 더 감정이입하며, 여러 연주가들의 공연 영상을 보며, 


말 못할 답답함을 흘려보냈던 기억이 난다. 



이제 30대 초중반을 향해 가는 이 시기엔,


모짜르트나 바흐가 더 마음에 와닿는다. 


복잡한 감정과 기복을 이끌어 내려 기교 넘치는 건반 터치와 섬세한 선율이 묻어나는 곡보단,


이젠 리드미컬하며 수학적이고 규칙적인 곡이 좋다. 


세상의 그 어떤 번민도 아픔도 슬픔도, 


자연의 음계로 승화시킨 듯한 느낌이랄까. 


인간의 복잡함은 골치아픔이라면, 자연의 복잡함은 조화라고나 할까. 


모짜르트나 바흐는 그 자연의 복잡함을 포착하여 건반에 녹여 놓은 것 같다. 


특별히 바흐의 골든베르그를 듣고 있자면, 아무도 없는 산골짜기 설원벌판에, 


나 홀로 고요히 서있는 듯한 느낌. 춥지만, 오직 내 호흡과 심장소리만 들려,


그간 잊고 있었던 내 안의 깊은 생명력이 티없이 맑은 자연과 따듯한 조우를 하며 정화되는 느낌이랄까. 


건반과 건반 사이를 씩씩하게 오가는 선율은, 내 안의 낀 세속의 녹을 벗겨내는 자연의 활기찬 손길로,


규칙적이고 조화로운 음계로 화음을 빚어낼 땐, 세상으로부터 사람으로부터 위로 받지 못 해 갈 곳 잃은 내 마음이 가야할 방향을 넌지시 보여주는 듯하다. 


갑갑한 유학생활에, 든든한 친구가 생겨서 너무나도 좋다. 


언젠가는 자연과도 깊은 친교를 이루겠지. 당분간은 우선 낯선 음악과 알아가는 시간이 필요하다.

매거진의 이전글 구석구석 섬세히 위로 받는 느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