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새긴믈 Jan 21. 2020

壹. 구석기시대 ㄱ

구석기시대 개관 / 전기 구석기시대

1. 개요


구석기시대는 유인원과 구분되는 고인류의 등장을 기점으로 시작되어 1만 2천 년경 홍적세의 종료와 함께 종결되는 시대이다. 인류 물질문화의 원초로서 석기 중 가장 먼저 등장하는 뗀석기打製石器를 제작·사용하였다. 석기시대는 크리스티안 유리겐센 톰센Christian Jürgensen Thomsen이 이기利器의 재질을 지표로 규정한 삼시대법을 공식적으로 제창하면서 널리 사용된 개념이다. 이후 존 러복John Lubbock에 의해 '떼어 만든 석기를 사용한 시대'와 '갈아 만든 석기를 사용한 시대'를 구분하면서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가 독립적인 시대로 인정되었다. 이외에도 19세기까지는 구석기시대에 연속되는 시대로 중석기시대가 논의되었으나, 현재는 이를 후기구석기시대로 인식하는 형편이다. 중석기시대 혹 후기구석기시대는 홀로세의 개시와 함께 시작하는데, 기후의 변화로 작고 날랜 동물들을 사냥할 필요가 생겨남에 따라 잘게 떼어낸 잔석기細石器가 개발되었다.


구석기시대 연표


2. 전기 구석기시대


일반적으로 알려진 구석기시대의 개시점은 서기전 250만 년경이며, 도구를 처음으로 제작했다고 알려진 호모 하빌리스Homo Habilis에 의해 석기가 처음으로 발명된다. 이 시기에 처음 만들어진 문화를 올도완Oldowan문화라 하고 이때 사용된 제작기법을 올두바이Olduvai 공작이라 하는데, 그것은 이 시기의 석기를 처음 발견한 탄자니아의 올두바이 협곡으로부터 이름을 따서 명명했기 때문이다. Oldowan은 Olduvai의 수식형이다. 올도완 석기의 특징은 몸돌核石·Core의 한 면을 타격하여 가공함으로써 날을 만든다는 것이다. 즉 이른바 찍개류Chopping Tool로, 공정이 가장 단순하고 특별한 정형성을 갖추지 않은 석기이다.


올두바이유적 출토 찍개


서기전 150만 년 즈음이 되면 올도완문화기 말엽에 등장하는 호모 에르게스테르Homo Ergasther와 함께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Homo Heidelbergensis와 호모 에렉투스Homo Erectus 같은 인종이 등장하며 조금 더 가공된 석기가 발명된다. 몸돌을 직접 가공하는 것은 똑같지만, 찍개류처럼 외날이 아니라 양날의 석기를 마련한다는 점이 두드러진다. 석기에 정형성이 생기기 시작하며, 실용기가 아닌 것으로 생각되는 석기도 간혹 확인된다. 이는 곧 손잡이 부위에까지 날 가공이 가해진다거나 사람이 쉬이 사용하기 어려울 정도로 작거나 큰 도구를 제작하는 등의 현상으로 나타나는데, 이를 두고 마렉 콘Marek Kohn과 스티븐 미슨Steven Mithen은 원시 인류가 자신의 매력을 과시할 목적으로 공작기술을 뽐내기 위해 제작된 주먹도끼, 즉 '섹시한 주먹도끼'의 존재를 주장한 바 있다. 주먹도끼를 표지로 하는 이러한 문화를 아슐리안Acheulean문화라고 하는데, 이는 프랑스의 생아슐St. Acheul지역에서 다량의 주먹도끼가 발견되어 그 이름을 따 명명했기 때문이다.


생아슐유적 출토 주먹도끼(右)와 코키즐라이(Kokiselei)유적 출토 주먹도끼(左)


올도완문화와 아슐리안문화는 전기구석기시대의 서로 다른 단계로서 시대의 차이만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공간, 혹은 인종 간의 차이도 반영한다는 생각이 20세기까지 지배적이었다. 크로마뇽인 인골을 발견했던 할람 모비우스Hallam Leonard Movius에 의해 1940년대 초에 주장되었던 이른바 ‘모비우스 학설’은, '유라시아대륙의 동부와 서부는 석기문화가 다르며 각각 찍개문화와 주먹도끼문화를 공유한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이것은 물론 당시의 고고학적 자료를 정리하여 도출한 합리적·과학적 결론이지만, 의도했건 하지 않았건 이것은 인도 동북부 이동以東지방의 문화적 정체성停滯性을 적시함으로써 동서양의 공간과 인종적 수준 차이를 강조하였다는 혐의가 있다. 이 학설은 1978년 대한민국 연천 전곡리에서 주먹도끼가 발견됨에 따라 폐기되었고, 서구 지식인의 오리엔탈리즘이 반영된 편견적 해석의 한 사례라는 오명을 갖게 되었다.



국립문화재연구소, 2013, 『韓國考古學專門事典: 舊石器時代篇』.

김원룡, 2008, 『韓國考古學槪設』(제3판), 일지사.

한국고고학회, 2015, 『한국고고학강의(개정신판), 사회평론아카데미.

Marek Kohn·Steven Mithen, 1999, 「Handaxes: Products of Sexual Selection?」, 『ANTIQUITY』 73, Cambridge University Press.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