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새긴믈 Apr 12. 2020

한국 경관고고학의 전개와 현황 1

요약

본고는 영국에서 태동한 경관고고학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이것이 한국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적응하는지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영국의 경관고고학사를 정리하였으며, 뒤이어 한국에 경관고고학이 전래된 시점부터 현재까지 이를 활용한 연구 성과를 시기순으로 나열하여 검토하고 경향에 따라 분기를 설정하였다.


영국에서 발생한 경관고고학적 경향은 그 기원을 낭만주의에 두고 있다. 초기 경관은 과거 흔적을 경험적으로 감상하고 문학 등으로 표현할 수 있는 대상으로 인식하였다. 이후 경관이 문화사고고학과 신고고학에 연관되면서는 가설 등을 뒷받침하기 위한 통계자료나 참고자료로 인식되었다. 1980년대 탈과정주의고고학의 대두와 함께 현재 경관은 대중의 접근성을 확대하고 경관 조성 당시의 정황이나 사회적 현상을 확인할 수 있는 대상으로 조명되고 있다.


한국에 경관고고학이 유입된 것은 1984년 최몽룡에 의해서였다. 그는 중심지이론을 토대로 한 공간분석기법으로 영산강유역의 고대사회를 고찰하였다. 이후 90년대에 이르기까지 경관고고학적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그 범위는 유구나 분포를 통한 공간분석 즉 통계적 조사방법에 국한되어 있는 일이 많았으며, 체계적인 틀 없이 단순 해석의 지표로서 남용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점은 당시 고고학자들에게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으며, 아직까지도 경관고고학 연구의 우려되는 지점으로 인식되는 것 같다.


2,000년대에 이르러 한국의 경관고고학은 방법론적인 개선과 다른 학문의 체계적 도입으로 인해 크게 발전하게 된다. 통계와 이론에 의존한 기왕의 경관고고학적 경향은 많은 비판을 받았지만, 고고학 조사 성과의 축적과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통계학을 기반으로 한 양적연구방법이 대두하여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되었다. 이외에는 지리정보시스템이나 누적가시도를 활용하는 등 기타 학문에서 행해지던 방법들이 경관고고학에 접목되기 시작하였다. 무엇보다 눈에 띄는 것은 자연 및 인문경관 자체나 그것이 가지는 의미에 초점을 둔 연구가 점차 이루어지게 되었다는 점이다. 또한 경관 연구 성과를 명승 설정이나 유적 보존 등 문화재행정에 이용하려는 움직임도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이는 경관고고학이 응용분야를 갖는 단계에 접어들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