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정희 Nov 26. 2024

이제 가족의 정의도 달라져야한다

완성 가정이 없듯이, 결손 가정이라는 말도 이제 사라져야한다.

다양한 가족 형태는 각국의 사회적 변화와 가치관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으며, 특히 개인주의와 경제적 요인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전 세계의 가족 형태는 문화, 경제, 사회적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다음은 주요 가족 형태와 관련된 통계와 수치입니다.  


핵가족: 전통적으로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부모와 자녀로 구성됩니다. OECD 국가들에서 핵가족 비율은 약 70%에 달합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2019년 기준으로 약 70%의 가구가 핵가족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한부모 가족: 이혼, 사별 또는 미혼모/부로 인해 한쪽 부모만 자녀를 양육하는 형태입니다. 미국에서는 2020년 기준으로 약 23%의 아동이 한부모 가정에서 자라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유럽에서도 한부모 가정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스웨덴에서는 약 19%의 아동이 한부모 가정에서 자라고 있습니다.


확대가족: 조부모, 삼촌, 이모 등 여러 세대가 함께 사는 형태입니다.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많은 지역에서 여전히 일반적이며, 인도에서는 약 50% 이상의 가구가 확대가족 형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동거 가족: 결혼하지 않고 함께 사는 커플로 구성된 가족입니다. 미국에서는 동거 커플의 수가 2010년부터 2019년 사이에 약 10% 증가하여, 현재 약 8백만 쌍이 동거하고 있습니다.


무자녀 가족: 결혼했지만 자녀를 두지 않는 가족입니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미국 내 무자녀 가구 비율은 약 18%에 달하며, 이는 경제적 이유나 개인적 선택으로 인해 증가하고 있습니다.


다문화 가족: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결혼하여 형성된 가족입니다. 특히 국제결혼이 증가하면서 다문화 가족의 수가 늘어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외국인 배우자와의 결혼이 2020년 기준으로 연간 약 3만 건에 달합니다.


동성애 가족: 동성 커플이 자녀를 양육하는 형태로, 미국에서는 동성 커플 중 약 20%가 자녀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재 가족의 정의는 민법에서 언제 정의되었나?

한국 민법에서 '가족'의 의미는 1960년에 처음 제정된 민법 제4편(친족편)에서 정의되었습니다. 이 법은 가족의 범위와 구성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후 여러 차례 개정을 통해 현대 사회의 변화에 맞춰 발전해 왔습니다. 특히, 2005년의 개정은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는데, 이때 호주제가 폐지되면서 가족의 정의와 범위가 재정립되었습니다. 이 개정으로 인해 가족의 구성원은 배우자, 직계혈족, 형제자매, 그리고 생계를 같이 하는 직계혈족의 배우자 등으로 명확히 규정되었습니다. 민법 제779조에서는 가족의 범위를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이는 혈연, 입양, 혼인 등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형태의 가족을 포함합니다.


한국에서만 있는 결손가정이라는 의미는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결손가정은 '부모의 한쪽 또는 양쪽이 죽거나 이혼하거나 따로 살아서 미성년인 자녀를 제대로 돌보지 못하는 가정'을 뜻합니다.재혼 가정도 결손가정으로 간주합니다. 결손이라는 부정적인 어감 때문에 비양친가정이라는 말을 쓰기도 합니다.


결손가정이라는 말은 구시대적 언어이며 정상과 비정상으로 나누는 이분법적 사고의 전형이다

"결손가정"이라는 용어는 부정적인 뉘앙스를 내포하고 있어 현대 사회에서는 사용을 재고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이는 특정 가정 구조를 결핍된 상태로 간주함으로써 해당 가족 구성원들에게 낙인 효과를 줄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1. 부정적 용어의 문제점  

낙인 효과: "결손"이라는 단어는 부족하거나 문제가 있다는 의미를 내포해, 해당 가족과 자녀들에게 불필요한 사회적 차별이나 낮은 자존감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현실과 불일치: 부모가 한 명이거나 다른 비전통적인 가족 형태라고 해서 반드시 기능적으로 부족하거나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많은 한부모 가정, 조부모 가정 등이 안정적이고 건강한 가족 관계를 유지합니다.

사회적 인식의 변화: 다양한 가족 구조가 점점 더 인정받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단일한 가족 모델이 아닌 다양성을 포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2. 대체 용어와 긍정적 접근

대체로 "비전통적 가정", "한부모 가정", "다양한 가족 형태"와 같은 중립적이고 가치 판단을 배제한 용어를 사용해야합니다.. 이는 가족의 형태보다 기능과 안정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담론을 전환하려는 노력입니다.


3. 사회적 움직임

많은 국제 단체와 학자들은 낙인적인 언어를 줄이고, 가족 형태와 상관없이 모두가 평등하게 대우받아야 합니다. 특히 교육과 미디어에서 부정적인 용어를 사용하는 대신 긍정적이고 중립적인 언어로 대체하려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4. 실천 방안  

정책적 변화: 사회 복지나 정책 문서에서 부정적인 용어를 제외하고 중립적 표현 사용하기 위해 노력해야합니다.

교육적 노력: 학교나 지역 사회에서 다양한 가족 구조를 인정하고 이를 포용하는 교육 강화하기 위해 많은 교육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언어 사용 변화: 일상 대화나 미디어에서 긍정적이고 포용적인 표현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가족 형태가 변화함에 따라 개인의 생각과 태도도 변화해야 합니다. 현대 사회는 점점 더 다양성을 인정하고, 전통적인 가족 모델에 얽매이지 않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이런 흐름에 개인들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사고 방식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1. 다양성을 포용하는 사고  


가족 정의의 확장: 전통적인 "핵가족" 모델에서 벗어나, 다양한 가족 형태(한부모 가족, 동거 가족, 동성 부부, 다문화 가족 등)를 인정하고 존중해야 합니다.


고정관념 해소: 특정 가족 구조가 더 우월하거나 "정상적"이라는 고정관념을 버리고, 모든 가족이 각자의 방식으로 행복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합니다.


정서적 지지의 중요성 강조: 가족의 기능은 형태보다 정서적 지지, 사랑, 존중을 기반으로 하기에, 이러한 가치를 중시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2. 개인의 책임과 공감  


타인 존중: 가족 형태가 다르다고 해서 차별하거나 편견을 가지지 않고, 서로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태도를 가져야 합니다.


공유된 책임 강조: 변화하는 가족 형태 속에서 자녀 양육이나 노인 부양과 같은 책임은 가족 내외의 공동체적 협력을 통해 해결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합니다.


3. 사회적 변화에 대한 준비  


정책적 지원의 요구: 개인은 다양한 가족 형태를 지원하는 정책(유연 근무제, 한부모 지원 프로그램, 동거 커플의 법적 보호 등)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지지해야 합니다.


교육과 의식 개선: 학교와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가족 형태를 포함하는 교육을 장려하고, 이러한 변화가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도록 의식 개선에 동참해야 합니다.


4. 미래를 바라보는 태도  


변화에 대한 유연성: 기술 발전, 도시화, 글로벌화 등이 가족 구조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에, 개인은 이러한 변화를 수용할 준비를 해야 합니다.


개인의 선택 존중: 결혼하지 않는 삶, 자녀를 가지지 않는 선택, 동거 등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존중하고 이해하는 관점을 가져야 합니다.


현대사회의 가족의 형태는 점점 더 다양화되고 있으며, 개인들은 고정된 틀에서 벗어나 더 유연하고 열린 사고를 통해 변화를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개인의 가치에 따라 판단이 되며, 꼭 가족의 형태가 아니더라도 가족의 개념 자체가 포괄적이고 포옹적인 개념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완성된 가족이라는 개념이 없듯이 결손가정이라는 말도 차별적이고 매우 공격적인 언어입니다.

요즘의 시대에는 사라져야 하는 단어임에는 틀림이 없어 보입니다.

작가의 이전글 명리학이란 무엇일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