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am의 기억 궁전 Apr 17. 2024

린스타트 방법론에 대하여


린스타트 방법론(Lean Startup methodology)은 창업과 제품 개발에 있어서 낭비를 줄이고 신속하게 시장에 적응하도록 돕는 전략적 접근 방식이다. 이 방법론은 에릭 리스(Eric Ries)에 의해 널리 알려졌으며, 기존의 긴 제품 개발 주기를 단축시키고, 고객의 피드백을 신속하게 제품 개발 과정에 반영하여 더 효율적으로 시장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린스타트 방법론의 핵심 원칙은 간단하다.



 최소한의 기능의 제품(MVP)을 빠르게 실험하는 것을 반복하는 것이다.



MVP(Minimum Viable Product)는 제품이 시장에서 필수적으로 필요로 하는 최소한의 기능만을 갖춘 제품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초기에 많은 자원을 들이지 않고도 고객의 반응을 테스트하고, 그 피드백을 바탕으로 제품을 개선해 나갈 수 있다. 빠른 실험과 반복을 위해, 제품 개발 과정에서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빠르게 실험하여 검증한다. 그리고 실패는 빠르게 인정하고 다음 개선 단계로 넘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제품을 수정하고 개선되며, 시장에 더 적합한 제품이 만들어 진다.


문제는 방법론이다.


린스타트 방법론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명확하고 검증 가능한 가설을 수립해야 한다. 이 가설은 제품이 시장에서 어떻게 수행될지에 대한 예측을 기반으로 해야만 하며, 둘째, 신속한 반복과 지속적인 피드백 루프가 필요하다. 스타트업은 실험을 통해 빠르게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품을 조정해야 하는 속도가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유연성이다. 시장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필요에 따라 전략을 수정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냉혹하다. 하나씩 소거해보자. 


먼저, 검증 가능한 가설은 스타트업이 추구하는 사업 방식에 혁신을 포기하는 것과 같다. 소비자의 요구와 시장의 변화를 신속하게 파악하는 것 역시 이미 프로덕트가 세상에 나와있어야 한다. 이를 몇 번 반복한다? 자금이 부족한 스타트업에게는 비현실적이다. 마지막으로, 시장의 변화에 대한 유연한 피벗이다. 이미 피벗을 하는 결정하는 순간은 사업의 성과가 어느 정도 가시화 된 때이다. 그것이 비록 성공이 아닐지라도.


결론적으로, 린스타트 방법론은 비즈니스의 성공을 위한 중요한 전략이나 이는 극소수의 스타트업 또는 운 좋게 적은 반복 횟수로 시장에서 결과를 만들어 낸 일부의 성공 신화다. 



그런데, 나와 aix는 그 극소수에 포함되었다.



작가의 이전글 AI 서비스의 실용화가 어려운 이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