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am의 기억 궁전 Apr 20. 2024

한 달에 하루를 더 사는 방법


선생님은 어떻게 그 많은 일을 하시나요?


멘토링을 하면서 받은 질문이다. 대학생, 사회 초년생들에게는 두 개의 회사와 다수의 프로젝트를 동시에 처리하는 내 모습이 신기해 보였나보다. 나는 웃으며 대답했다. 


저는 남들 보다 한 달에 하루를 더 살고 있어요


시간은 모든 인간에게 평등하게 주어진 자원이지만, 그 활용 방법은 개인에 따라 크게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시간 관리는 개인의 생산성과 직결되며, 이에 대한 관리 또한 중요하다. 인간에게 주어진 시간은 24시간이고, 일주일은 7일이며, 한 달은 30일이다. 여기서 한 달을 31일 또는 32일을 산다면, 1년에 12일씩, 사는 동안 남들보다 3년을 더 사는 것이다. 너무 멋진 일 아닌가? 내가 한 달에 하루를 더 사는 방법이란 간단하다.



한 달에 하루를 더 사는 것은 단순히 시간을 '찾는' 것이 아니라, 효과적으로 '만드는' 과정이다. 


파키슨의 법칙(Parkinson's Law)은 "업무를 마치는 데 걸리는 시간은 할당된 마감 시간만큼 늘어난다는 법칙"는 법칙으로, 작업에 많은 시간을 할당하면 실제로 그 일을 끝내는 데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이론이다. 반대로 시간을 제한하면 더 집중하여 효율적으로 일을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매일 일정 시간을 명확히 설정하여 작업에 임하는 것만으로도 한 달 동안 수십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우선 내 삶의 루틴을 만들자


루틴을 최적화하고 일과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것은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데 중요하다. 내가 추천하는 방식은 데이비드 알렌의 'Getting Things Done', GTD 방법론이다. GTD 방법른은 작업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처리하는 기법을 제공하는데, 시작하기, 수집하기, 정리하기, 조직하기, 검토하기, 실행하기, 프로젝트 통제하기의 7단계로 진행되는 루틴을 말한다. 나는 이 GTD 방법론의 일부를 일상 생활에 적용한다. 사회인이 하루에 사용할 수 있는 자유 시간은 많게 잡아도 6~7시간, 고작 30% 정도다. 그 주어진 자유 시간을 루틴화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아래는 내가 사용하는 방식의 일부다.


수집(Capture): 모든 것을 수집하고 기록한다. 떠오르는 모든 아이디어, 할 일, 약속 등을 앱이나 노트, 캘린더 등에 적는다. 집안일, 쇼핑 목록과 같은 사소한 것부터, 회의 일정, 행사 등 모든 사항을 기록한다.  


정리(Clarify): 수집된 항목들을 실행 가능한 항목으로 구분하고, 다음 행동을 "즉시" 결정한다. 예를 들어, ‘친구와 저녁 식사’는 구체적인 액션 아이템으로 변환되어 ‘친구에게 메시지 보내 저녁 식사 날짜 확인하기’가 된다.  


조직(Organize): 결정된 액션 아이템을 관련된 범주로 조직한다. 직장 관련 업무, 집안일, 개인 프로젝트 등으로 나누고, 각 항목을 캘린더나 할 일 목록에 배치한다. 예약이 필요한 업무는 캘린더에 시간을 할당하고, 일상적인 작업은 할 일 목록에 추가다. 그리고 간단한 라벨링을 한다.


검토(Review): 주기적으로 전체 시스템을 검토하여 업데이트하고 조정한다. 이는 매일 그리고 일주일에 한 번으로 재분배하여, 전체 목록을 검토하여 진행 상황을 확인하고 우선순위를 재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예를 들어, 주말마다 다음 주의 중요한 업무와 개인 일정을 체크하고 준비하는 것이다. 우선순위 배정도 여기에 포함된다. 


실행(Engage): 조직된 내용에 따라 행동한다. 하루를 시작할 때 가장 중요한 업무부터 처리하고, 설정된 캘린더와 할 일 목록을 따라 차근차근 진행한다. 예를 들어, 아침에 가장 중요한 업무를 먼저 처리하고, 이후 덜 중요한 업무로 넘어가는 식이다. 그리고 여기서 매일 1시간을 벌어들인다.


물론 여러 곳에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월 1회 가계부 정리를 할 경우, 아래와 같다.

수집: 모든 금융 관련 정보와 영수증, 청구서, 수입 정보를 수집
정리: 각 항목을 필수 지불, 선택적 지출, 저축으로 분류하고, 마감 기한을 확인
조직: 각 지불에 대한 마감일을 캘린더에 입력하고, 매달 정기적으로 검토할 재정 관리 체크리스트 관리
검토: 매주 또는 매월 정기적으로 재정 상태를 검토하고, 예산을 조정. 예비비 확인
실행: 예산 계획에 따라 지출하고, 저축 또는 투자를 실행


이렇게 매일 절약된 1시간을 어떻게 사용할지는 개인의 우선순위와 삶의 목표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할 수 있다. 자기 개발, 건강 관리, 가족과의 시간, 취미활동 등 수 없이 많다. 


그리고 가끔은, 벌어들인 1시간을 아무 계획 없이 그저 휴식을 취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커피 한 잔을 손에 들고 창가에 앉아, 도쿄 하늘 흘러가는 구름을 바라보며 시간을 보내는 것. 이런 평화로운 순간들은 일상의 소란을 잠시 잊게 해주고, 새로운 시작을 위한 에너지를 충전해 한다. 결국, 한 달에 하루를 더 사는 것은 내가 정말 원하는 것을 하며, 내 삶을 더욱 풍요롭고 의미 있게 만드는 소중한 선물이다. 어떻게 활용하든, 이 시간은 분명 나에게 큰 기쁨과 만족을 가져다 줄 것이니까.


작가의 이전글 린스타트 방법론에 대하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