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상준 May 19. 2019

13. 기업분석 - Macro 편

입사지원을 할 때 어떤 정보들이 필요할까?

드디어 입사지원을 위하여 기업을 분석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과연 어떤 정보들을 찾아서 분석해야 할까?


많은 수의 지원자들을 만나보면 분석하는 정보는 거의 대동소이하다.

회사의 홈페이지, Glassdoor, Job Planet, LinkedIn, Facebook, 뉴스 기사, 취업정보가 있는 웹페이지, Youtube 등...

조금 더 성의를 갖는 지원자들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인 DART를 활용하거나 증권회사에서 나온 애널리스트들의 기업분석 리포트를 참고하기도 한다.




물론 이러한 정보들은 반드시 검색해 보아야 하고, 충분히 숙지하고 있어야 만족할만한 지원 Package를 준비할 수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렇지만, 더욱 중요한 것이 있으니...


그것은 바로 더 큰 그림에서 기업을 바라보는 일이다.

즉, 거시적인 관점에서 기업을 바라볼 수 있어야만 정확한 기업분석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무리 A라는 기업이 승승장구하고 있다고 하여도, 그 기업의 주된 매출이 발생하는 산업이, 그 기업이 주로 기업활동을 영위하는 국가의 정치상황이, 경제 상황이, 혹은 전 세계적인 경제상황이 어떠한 변수에 의해서 변하게 된다면 A라는 기업의 기업활동을 크건 작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기업의 경영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보를 분석하는 것이 거시적인 분석이다.




거시적 분석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1. Global 경제상황

주요 경제 선진국들의 금리, 환율, 주요 경제지표, 등의 약 3년 치 트렌드. 특히 지원하는 기업이 주로 활동하는 국가가 있다면 그 국가의 경제상황은 필수적으로 알고 있어야 한다. 

The World Economy - GDP by Country 2017 (출처 : howmuch.net)


2. 우리나라 및 주된 해외시장을 대상으로 하는 PEST 분석

PEST 분석은 다음의 4가지 내용을 알아보는 것이다. Political (정치적인 환경), Economical (경제적인 환경), Social (사회적인 환경), Technological (기술적인 환경). 위 4가지 환경은 기업활동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첫째, 정치적인 환경은 해당 국가의 정치적 상황이 안정적인지 혹은 불안한지, 정책을 어떻게 수립할 것인지, 전쟁이나 분쟁에 관여하고 있지는 않은지, 세금이나 보조금과 관련된 여론은 어떠한 지 등을 살펴보는 것이다.

둘째, 경제적인 환경은 해당 국가의 금리, 환율, 실업률, 소득 수준, 경제동향 등을 살펴보게 된다.

셋째, 사회적인 환경은 라이프스타일이나, 문화적인 요소, 종교적인 요소, 인구통계적인 요소, 소비자 트렌드 등을 말한다.

넷째, 기술적인 환경은 기업이 추진하고자 하는 사업을 해당 국가나 지역이 기술적으로 뒷받침해 줄 수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특허, 지적재산권, 기술, 정보통신 등이 해당된다. 

PEST Analysis (출처 : 구글 이미지)


3. 지원하는 기업이 속해있는 산업에 대한 분석

아무리 하나의 기업이 잘 나간다고 해도, 산업 자체가 하향세이면 하나의 기업으로 그 산업을 살릴 수는 없다. 예를 들어, 지금은 박물관에나 가야 있는 타자기(마라톤 타자기)나, 카메라 필름(Kodak) 등은 몇몇 선두기업들이 아무리 애를 썼어도 해당 산업이 사라지는 것을 막을 수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특히 AI(인공지능)의 발달로 인하여 어떤 영향을 받을 지에 대한 예상은 반드시 수행되어야 한다. 힘들게 입사했는데 그 산업이 10년 후, 20년 후에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면?

공룡은 이제 화석으로만 존재한다... (출처 : 구글 이미지)




현대자동차에 지원한다고 가정하고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간략하게 거시적 환경을 분석하기 위한 질문은 다음과 같다.


1. 글로벌 경제환경은 어떠한가? 

상승세인가? 하락세인가? 그 정도가 가파른가? 완만한가? 그렇게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각종 지표)는 무엇인가?


2. 현대차가 주로 진출해 있는 국가는 어디인가? 각 국가의 PEST 환경은 어떠한가?

대한민국, 미국, 중국, 등. 각 국가/지역의 PEST 환경은? 자국의 경제상황을 우선시하는 정책(수입 정책, 노동정책 등)을 펴고 있는가? 해당 국가의 실업률이나 생산성은? 새 차를 소비하고 싶은 사회적 분위기는 조성되어 있는가? 최저 시급 등 소득은 새 차를 구입하는데 큰 걸림돌이 되지는 않는가? 현대차를 소비하는 것이 트렌디하고 쿨 해 보이는가? 해당 국가의 기술 수준이 한국에서와 동일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해 줄 수 있는가? 등


3. 자동차 산업이 직면한 중요한 Issue는 무엇인가?

어떤 Issue가 가장 Hot한가? 전기차? 수소차? 생산성? 신차? 자동차를 대체할 수 있는 대안은? 현재의 자동차 산업의 모습이 10년, 20년 후에는 어떻게 변화되어 있을까?




본격적인 기업분석을 하기 전에 위와 같은 거시적인 분석은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기업의 구성원들이 위의 내용들에 대해서 항상 이야기하고 발생 가능한 이슈나 문제를 현명하게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만들어 내기 위해 밤낮없이 노력하기 때문이다. 즉, 지원자가 재직자들, 특히 면접관들과 비슷한 내용을 고민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어야만 보다 호소력 있는 지원동기를 가지고, 직무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할 수 있으며, 입사 후에도 엉뚱한 생각을 하지 않고 같은 곳을 바라볼 수 있다는 확신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미시적인 기업 본연에 대한 분석은 위의 거시적인 분석을 마치고 난 후에 해도 늦지 않는다. 오히려 큰 숲의 테두리를 그려 놓았기 때문에 기업 본연에 대한 분석이 더욱 용이하고 생생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업이 마주하고 있는 현실 속에서 해당 기업에 대한 정보의 신뢰도를 가늠해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다음 편에서는 위의 거시적인 분석 이후에 이어져야 하는 미시적 기업분석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12. 지원자에게 필요한 핵심전략 3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