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야생동물의 친구 Jan 05. 2019

고라니가 멸종위기 야생동물이라고?

칠흑같이 어두운 밤, 저 멀리 갈대숲에서 무언가 기척이 느껴집니다. 괜스레 오싹 하지만 누구일까 궁금한 마음에 조금 더 가까이 다가가 보았습니다. 날카롭고 긴 송곳니가 먼저 눈에 들어옵니다. 역시 녀석은 무시무시한 존재일까요? 그런데 그 순간! 녀석이 고개를 돌려 이쪽을 바라보는 게 아닌가요. 두려웠던 마음도 잠시, 마주한 녀석의 눈망울이 참으로 맑고 선합니다. 이처럼 긴 송곳니를 지닌 동물을 한밤중에 갑작스럽게 마주한다면 제아무리 용감한 사람이 라도 깜짝 놀랄지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우리보다 몇 배는 더 화들짝 놀라 줄행랑을 칠 것이 분명한 이 녀석은 겁 많기로 둘째가라면 서러운 ‘고라니’입니다.   

눈이 맑은 동물. 녀석의 이름은 대표적인 유해야생동물로 분류되는 '고라니'이다.

  

고라니는 한반도에서 흔히 만나는 포유동물입니다. 실제로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사슴과 동물 중에서 개체 수가 가장 많습니다. 또 사슴을 생각했을 때 가장 먼저 떠올리는 ‘뿔’ 대신 ‘송곳니’를 지닌 특징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고라니를 모르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고라니를 ‘잘’ 아는 사람은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또 고라니가 어떻게 살아가는지 궁금해하는 사람은 더더욱 찾기 어렵습니다.     

고라니는 보통의 사슴과 같은 뿔이 아닌, '송곳니'를 지니고있다.


현재 고라니가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요? 고라니는 세계자연보전 연맹(IUCN)에서 지정한 ‘취약(VU, Vulnerable)’ 단계에 등재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포유동물인데, 세계적으로는 멸종위기 야생동물인 거죠. 실제로 고라니가 서식하는 나라는 손에 꼽습니다. 과거 전시나 사육의 목적으로 유럽으로 건너갔다가 야생화 되어 영국이나 프랑스 등지에서 살아가는 일부 개체군이 있긴 하지만, 고라니가 토착종으로 서식하는 나라는 오직 우리 한반도와 중국뿐입니다. 현재 중국 양쯔강 남부의 일부 지역에 서식하는 고라니는 개체 수가 그리 많지 않아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고, 일부에서는 복원사업까지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어떨까요? 실제로 전 세계에서 고라니의 서식 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이 한반도입니다. 만약 한반도에서 고라니가 사라진다면, 어쩌면 고라니는 지구 상에서 더는 만날 수 없는 절멸의 위기로 접어들지도 모릅니다.

조난된 고라니를 통해 살펴본 위협 요인


이처럼 멸종위기 수준이 높아 적색목록에까지 등재되어 보호를 필요로 하는 고라니지만, 우리나라에 서는 사정이 조금 다릅니다. 우리에게 고라니는 멸종위기 야생동물 이기 이전에 ‘유해 야생동물’ 혹은 ‘유해조수’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말 그대로 천덕꾸러기입니다. 인가에 나타나 애써 가꿔놓은 농작물에 피해를 준다는 이유로 말이죠. 그런데 여기서 의문이 남습니다. 왜 우리는 고라니가 유해 야생동물이기 이전에 우리나라의 토착종이고, 세계적으로 멸종위기에 처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고라니가 사라진다면 절멸할 수도 있다는 것은 모를까요?


그건 아마도 우리가 ‘인간’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고라니의 처지를 돌아보기에 앞서, 고라니로 인해 피해를 겪는 사람들의 마음을 먼저 헤아리게 되니까요. 그 때문에 신문이나 방송에서는 대부분 고라니의 부정적인 면을 부각해 보도하고 있고, 이를 접한 사람들은 자연스레 고라니에게 편견을 갖게 됩니다. ‘농작물이나 축내는 성가신 녀석’, ‘너무 많아 마구 잡아도 상관없는 녀석’, ‘어차피 잡아낼 거, 구조의 손길을 내미는 것도 사치인 녀석’ 쯤으로 말이죠. 어쨌든 고라니의 처지를 생각해보자는 목소리에 비해 고라니로 인한 피해를 이야기하는 목소리가 월등히 높은 것은 사실인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야생동물로 피해를 겪는 사람들을 무시하자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자금과 노동력을 들여 정성껏 재배하고 키워낸 농작물이 하룻밤 사이에 망가지는 것을 보는 농민들의 마음도 야생동물의 생존권만큼 중요하게 헤아려야 합니다. 그렇기에 서로의 갈등을 줄이기 위한 고민을 해 보자는 것입니다. 동물들이 꺼려하는 포식자의 소리, 흔적, 배설물을 농장 부근에 뿌려두는 방법부터, 전기 목책, 폭음탄, 경보음 발생과 같은 예방 차원의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물론 필요하다면 개체 수를 조절하기 위해 직접 포획하는 방법도 당연히 시행해야겠지만, 사전에 피해의 정도를 정확히 파악하고 예방하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또한 이런 문제에 관한 고민과 해결을 피해 당사자들에게만 떠넘기는 것은 옳지 못합니다. 농작물의 생산자와 야생동물의 갈등은 그들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결국 농작물을 소비하는 우리와도 뗄 수 없는 문제입니다. 피해를 겪는 농장에 대한 예방책 지원, 피해 정도에 대한 정확한 파악과 이에 맞는 투명한 보상이 뒤따라야 합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우리가 먹을 농작물의 가격이 다소 오르더라도, 이를 너그러이 받아들일 이해심도 갖춰야 합니다.

야생동물로 인한 농작물 피해도 심각한 것이 사실이다. (출처 : 뉴스파고)


고라니 때문에 발생하는 피해도 헤아려야겠지만, 고라니에 대한 일방적인 편견과 부정적 시선 그리고 왜곡된 정보가 난립하는 과정에서 고라니에게 만연하게 이루어지는 가학적 처치와 무분별한 포획은 분명 문제입니다. 우리나라에 고라니가 많다고는 하지만 정작 얼마나 많은지, 조절해야 한다면 그 적정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판단할 연구 결과 역시 부족한 상황이지요. 특히나 세계적으로 희귀한 유전자원은 개체 수가 많더라도 유전자 다양성이 감소할 수 있음을 고려해 인위적인 조절에 신중해야 합니다.   

고라니에게 가장 큰 위협은 '차량과의 충돌' 사고이다. 차량과 충돌하는 사고가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고라니의 개체수를 조절하는 가장 핵심적인 인위적 요인일 것으로 예상된다.

  

무분별한 개발과 환경오염, 인간의 거주지 확대와 농토 확보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면서 자연 생태계는 속수무책으로 훼손되어 왔습니다. 서식지가 줄어들고 먹이를 찾기 어려워진 동물들에게 농작물을 재배하는 곳은 충분히 유혹적인 장소입니다. 하지만 조금 더 생각해 봅시다. 그들이 피해를 주고 싶어서 혹은 자신의 행동이 사람들에게 피해가 된다는 것을 알고서 저지르는 잘못은 아니지 않습니까? 오히려 불가피한 ‘선택’에 더 가깝죠. 그들의 서식지가 사라진 만큼, 우리와 접촉할 가능성이 늘어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니까요.

사람들이 산에 올라 임산물을 채취하고 도토리를 주워오는 것은 대수롭지 않게 여기면서, 야생동물이 사람들의 거주지 부근으로 내려와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것은 결코 용납할 수 없는 행위로만 바라보는 시선은 아무리 생각해도 아쉽습니다. 단지 야생동물들은 그들의 삶을 힘겹게 살아가는 것일 뿐이라고 이해해 주길 바란다면 너무 큰 욕심일까요?


무엇보다 단순히 눈에 많이 보인다고 괜찮을 거라는 믿음은 버려야 합니다. 과거에 우리와 부대끼며 살아왔던 동물들을 왜 지금은 볼 수 없게 되었을까요? 어쩌면 우리의 편견, 시선, 왜곡이 그 원인이었는지 모릅니다. 다시금 되새겨 볼 말이 있습니다. 멸종위기에 처해 있는 고라니가 콘크리트 농수로에 빠져, 서서히 죽어가고 있는데 그런 녀석을 보며 ‘농작물이나 축내는 나쁜 놈을 뭐하러 구조하느냐’는 그 말이 얼마나 가시 돋친 말인지요.

농작물을 축내는 나쁜 녀석. 정말 녀석의 삶은 그게 전부일까?
작가의 이전글 퓨마 '뽀롱이', 부디 오래 기억할 수 있기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