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격차 원인될 수도…정부 역할 중요
현재 정보통신기술(ICT) 분야를 이끌어 가는 패러다임은 단연 4차 산업혁명이다. 인공지능(AI), 블록체인, 사물인터넷 (IoT) 등 4차 산업혁명과 연관된 미래 유망 기술이 전 세계를 휩쓸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ICT 활용 능력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 코딩 능력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여기서 코딩은 ‘프로그램 개발 작업’으로 정의할 수 있다. 용어를 좀 더 넓게 해석하자면, ‘프로그램 언어를 이용해 시스템을 다루는 작업’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ICT 분야의 최대 화두 ‘4차 산업혁명’ ⓒ Pixabay
코딩능력 점점 중요해져
미국의 씽크탱크 ‘브루킹스 연구소(Brookings Institution)’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ICT 활용 능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브루킹스 연구소는 미국 내 전체 직종의 90%에 해당하는 545개 직종을 대상으로, 2002년부터 2016년까지의 ICT 적용 현황을 조사한 바 있다. 직종의 ICT 적용 정도에 따라 상, 중, 하로 구분했다. 적용 정도가 높을수록 상으로 분류된다.
그 결과 2002년과 2016년의 ICT 적용 정도가 확연하게 달랐다. 2002년 기준, 상에 해당하는 직종의 채용 수는 600만 건에 불과했다.
그런데 2016년에는 이러한 수치가 5배 넘게 늘어 3,200만 건을 기록했다. 이는 전체의 23% 수준이다.
각 직종의 ICT 적용률도 늘었다. 역시 2002년과 2016년을 비교한 결과 중, 하의 직종에서 ICT 적용 점수가 대폭 상승했다.
ICT 관련 직종에 따라 연봉이 달라진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상 직종 근무자의 평균 연봉은 73,000달러, 중과 하 직종의 평균 연봉은 각각 48,000달러, 30,000달러로 조사됐다.
브루킹스 연구소는 미국 주요 도시의 ICT 적용 점수를 산출하고, 연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도 했다.
그 결과 상관지수가 0.26을 기록했는데, 이는 ICT 적용 점수가 연봉과 어느 정도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 같은 브루킹스 연구소의 조사 내용은 앞으로 ICT 활용 능력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게 한다.
ICT 활용 능력은 연봉과 어느 정도 상관관계가 있다. ⓒ Pixabay
ICT 활용에서 최근 각광받는 능력이 바로 코딩이다. 실제 ICT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는 필자 역시 블록체인과 AI 발전 현황을 보면서 코딩 실력이 중요해짐을 느끼고 있다.
비근한 사례로 블록체인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래머블 화폐(Programmable Money)’라는 기술이 있다. 다른 용어로는 ‘스마트 컨트랙트’ 혹은 ‘블록체인 2.0’으로 불리기도 한다.
프로그래머블 화폐는 화폐 소유자가 코딩을 통해 화폐 사용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부모는 프로그래머블 화폐를 자녀에게 주면서 화폐 이용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그래머블 화폐가 크게 활성화된다면, 화폐 사용에서도 코딩 능력이 요구된다.
AI의 확산 역시 코딩 능력과 큰 연관이 있다.
현재 마이크로소프트(MS), IBM, 구글 등에서는 자체 AI 플랫폼을 개발해 사용자가 AI를 구현하기 쉽게 제공하고 있다. 참고로 MS는 이를 빌트-인 AI (Built-In AI)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렇게 AI 구현 난이도가 하락하면서, 이를 일상 업무에 적용하는 경우도 많이 생기게 된다. 그리고 이는 코딩 능력의 중요성을 높일 것이다. AI 구현을 위해서는 코딩 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최근 이러한 변화를 눈치 챈 학부모들이 코딩 교육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필자에게 ‘코딩 교육을 위해서 어떤 코딩 언어를 익혀야 하는지’를 묻는 지인이 종종 등장하고 있다. 부모가 개발자인 경우, 직접 코딩을 자녀에게 가르치기도 한다.
코딩 능력이 중요해질 전망이다, ⓒ 위키미디어
새로운 정보격차 원인이 될 수 있어
그런데 이러한 변화가 꼭 긍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코딩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새로운 정보격차(Digital Divide)를 불러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정보격차는 ‘개인, 가구, 지역, 기업 간에 나타나는 정보통신기술 (ICT)의 접근성과 활용성의 격차’를 의미한다.
결국 코딩이 정보격차를 불러온다는 말은 ‘코딩 실력에 따라 ICT 접근성과 활용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다.
얼핏 ‘코딩 사용이 보편화 된다면 코딩의 정보격차가 없어질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런 일은 절대 없다. 기존에 발생한 정보격차를 보면 이를 알 수 있다.
1995년 미국 상무부(Department of Commerce)는 인터넷의 접근성과 활용성이 사회집단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를 발견했고, 이를 설명하기 위해 정보격차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미국 전 대통령 빌 클린턴은 1996년 미국 테네시주 녹스빌 연설에서 정보격차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교육으로 이를 줄일 것’을 약속했다. 이후 미국 K-12(유치원부터 고교생 교육과정)에 인터넷 과목이 개설되기 시작됐다.
하지만 미국 내 인터넷 정보격차는 사라지지 않았다. 2017년 연방통신위원회(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는 ‘정보 빈곤층에 처한 미국인 수가 1,260만 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인터넷으로 지금 이 원고를 보고 있는 독자들의 입장에서 보면, ‘이렇게 쉬운 인터넷을 이용하지 못하는 사람이 있는 것’이 의아할 수도 있겠다.
정보격차의 시작점 ‘인터넷’ ⓒ Pixabay
그런데 주위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의외로 많은 정보 빈곤층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시골에 계시는 필자의 할머니와 할아버지께서도 인터넷을 이용할 줄 모르신다.
이는 코딩도 마찬가지다. 코딩이 정규과목에 포함되면서 앞으로의 세대에게는 코딩이 익숙해질 것이다.
하지만 이 원고를 읽고 있는 독자 중 상당수는 코딩을 할 줄 모를 수 있다. 바로 미래의 정보 빈곤층이 될 수 있는 충분한 가능성이 생긴다는 것이다.
결국 정보격차는 기술 흐름 변화를 따라잡지 못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정보격차 원인은 그것뿐만이 아니다.
양질의 코딩 교육 제공해야
정보격차는 상대적이다. ‘격차’라는 용어에서 알 수 있듯이, ‘부’와 ‘빈’의 위치는 상대적으로 평가해서 나뉘기 때문이다. 기술 흐름 변화에 대한 적응성도 이러한 격차에 미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또 다른 요인으로 경제적 능력을 꼽을 수 있다.
2015년 미국 퓨 리서치 센터 (Pew Research Center)는 국가별로 정보격차를 분석한 보고서를 발간한 적이 있다. 여기서 흥미로운 내용이 있다.
퓨 리서치 센터는 인터넷 접근성, 스마트 폰 소유를 국가 경제력(국가 구매력, PPP)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인터넷 접근성과 국가 경제력의 상관지수가 0.87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 폰 소유 역시 0.84라는 높은 상관지수를 보였다.
학교에서 코딩 실습을 받는 모습 ⓒ Flickr
그럼 이러한 내용을 국내 코딩 현황에 적용해 생각해보자. 현재 코딩 교육이 열풍이다. 주위 소문에 의하면 코딩 교육에 드는 비용이 수십만 원에서 수백만 원에 이른다고 한다.
결국 부모의 경제력이 자녀의 코딩 실력을 좌우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4차 산업혁명에서의 경쟁력을 좌우한다고 볼 수도 있다.
G20 인사이트는 정보격차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우수한 강사 확보’를 꼽았다. 이를 국내 코딩 교육에 반영하면, 사교육을 많이 받은 학생이 정보 우위에 있을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코딩 교육에 있어, 공교육의 역할이 중요해진다. 정부는 균등하면서도 질적으로 보장된 코딩 교육을 제공해 이러한 격차를 줄여야 한다.
유성민 IT칼럼니스트
기사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