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간호사K Oct 21. 2023

간호사가 보는 수술장의 의사들

수술실 내 연차별 의사의 역할과 사회 생활


의사와 간호사는 병원에서 상호보완적으로 일한다. 의사는 의학적 검사 결과에 따라 검사 및 검진, 진단, 각종 시술 및 수술, 약 처방을 내린다. 간호사는 환자의 객관적, 주관적 상태를 지속적으로 파악하며 의사의 눈과 손이 되어 상호작용한다. 기본적으로 행하는 병원 간호 업무는 병동 안내, 활력 징후 측정, 투약, 간호 기록, 검체 검사, 이송 검사, 피부 및 욕창 간호, 낙상 예방, 냉온 요법 등이 있다. 학교에서부터 기본간호술기로 배우는 근거중심 간호매뉴얼은 대표적으로 주사(정맥 주사, 근육 주사, 피하 주사, 피내 주사 등), 도뇨(단순 도뇨, 유치 도뇨), 투약, 배액관 간호, 중심정맥관 간호, 흡인 및 산소 요법 간호, Nebulizer 등의 흡입 간호, 관장, 섭취량 및 배설량 측정, 의식 사정, 입원-퇴원-전동-사망환자 간호 등이 있다. 상황별 특수 간호로는 수혈, 항암제 투약, 진정환자 간호, 감염 관리, 응급 간호, CPR 간호 등이 있다. 최신 연구 동향에 따라서 근거 중심 간호의 기준이나 수준이 바뀌기도 하기 때문에, 알고 있고 행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지속적으로 공부와 성찰이 요구되는 게 간호 업무라고 생각한다.



내가 아는 병동, 중환자실, 응급실 등의 임상 간호사는 저렇게 일한다. 수술실 간호사는 수술 환경, 장비, 기구 및 재료 관리를 통해 수술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해주는 간접 지원 역할과 실제 수술 과정에 관여하며 수술실 전처치실 간호사, 소독간호사, 순회간호사로서 참여하는 직접 지원 역할을 동시에 병행한다. 그렇다면 의사들은 어떻게 일하는가? 사실 병원에 입사하여 일하기 전까지 의대생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 내가 진료와 치료를 받는 의사로 거듭나는지 몰랐다. 간호대학은 의과대학이랑 붙어 있어 공유하는 공간이 많을 뿐, 각자의 과목을 공부하고 훈련하기도 바빠 마주칠 일이 자주 없었다.



병원에서 국가고시에 합격하여 만나게 된 의사들은 인턴 1년 과정 동안 매달 여러 과를 돌며 일하고, 자신의 적성 혹은 진로를 찾아 특정한 과의 레지던트가 되어 3년 혹은 4년 동안 임상 진료과에서 수련한다. 병동 환자 업무와 수술 지원 업무를 동시에 치르면서 연차가 높아질수록 할 수 있는 것도 더 많아지고, 아랫 연차들을 가르쳐야 할 일도 많아진다. 그 후 전문의 시험을 치르고 펠로우가 되어 대학병원에 오래도록 남아 학술과 교육, 사명감의 꿈을 가진 교수를 꿈꿀 수도, 아니면 의원급 혹은 병원급에서 개원의 혹은 페이닥터로 일할 수도 있다.



수술실에서 의사들은 인턴, 레지던트, 펠로우 및 교수급으로 역할이 달라진다. 인턴들은 병동에서 수술실 전처치실로 보낸 환자들을 수술방으로 입실시키며 수술 전에는 수술방 장비 준비와 수술 체위 준비를, 수술 후에는 검체 접수와 퇴실을 담당한다. 레지던트가 되면 과의 3,4년차 레지던트의 인력 배정 아래 특정 교수님 혹은 방을 맡아 수술에 직접 어시스트로 참여한다. 수술의 메인 과정을 집도의가 진행할 수 있도록 수술 부위 절개 시작과 마무리 봉합을 주로 도맡으며, 주로 교수 혹은 펠로우인 집도의가 수술을 원활히 진행하도록 복강경 카메라를 잡거나 개복수술에서 수술 부위를 기구로 벌리는 등의 역할을 맡는다. 펠로우 혹은 교수로서 집도의가 되면 자기 이름을 걸고 외래 진료를 보면서 수술 배정을 받아 수술을 집도하게 되며, 목표로 하는 장기의 상태를 판단해가며 각종 기구를 이용해 장기 절제, 봉합, 지혈 등을 수행한다. 그래서 수술방에서는 임상 연차가 다양한 의사들을 계속해서 마주해 일하며 상호작용하게 된다.



첫 직장생활이자 사회초년생 시절에 권위적인 구조 속 의사들의 행동을 보면서 사회생활이란 이런 것이구나 통감한 적이 있었다. 대부분 다른 과의 의사들 앞에서는 서로 예의를 갖추고, 겸손하게 도움을 요청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자주 보는 수술방 간호사 혹은 같은 과의 아랫 연차 의사들 앞에서는 큰 소리, 예민하거나 공격적인 발언도 서슴치 않는 그들이 때때로 보여주는 낮은 자세는 꽤나 강렬하게 기억에 남는다. 의사들 사이에도 학문의 골짜기가 있기에 서로의 영역을 존중해야 한다고나 할까. 산부인과 수술을 진행하며 요관이나 방광에 암이 침범했거나 직장에 침범한 경우, 집도의는 각각 비뇨기과 의사와 외과 의사에게 협진 수술을 요청한다. 협진의는 같이 수술에 참여하며 임상적 판단을 내리고 자신의 전문 분야의 장기 수술을 진행하며 집도의와 의견을 나눈다. 내 분야에 자신감을 쌓기까지 걸린 학습과 경험만큼 남의 분야에 스스로 부족함을 알고 전문성을 존중하는 것이다. 현실적으로는 고도로 세분화되고 전문화된 해당 분야의 최신 지식과 기술을 적용하여 의학적 치료 과정 및 책임 소재를 명확히하고 합병증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함이기도 할 것이다.



그리고, 또 하나 크게 배운 점. 자기 아래 사람을 아무리 구박하는 의사더라도 경계를 지키는 사람이 많다. 다들 같은 수술실에 일하면서 일을 잘하고 못하는 사람이 누구인지, 누가 누구와 사이가 안 좋은지 느끼지만 크게 티를 내지 않는다. 일을 하다보면 이 사람이 유난히 못나거나 못 한다기보다도 성향과 기질 차이 때문에 같이 일을 하는 게 힘들고 피곤한 동료가 있다. 같은 간호사로서 그런 동료 간호사에 대한 크고 작은 불평 소리를 듣다가, 자기 동료에 대해 과묵한 진료과를 보고 있으면 ‘침묵이 가져다주는 힘’을 느낀다. 어차피 불평해도 불만을 토로해도 달라지지 않을 상황이라면 내 몫에 집중해서 실수를 안 하고 빨리 끝내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일까? 상황을 견디는 그들의 자세를 때로 본받는다.



매거진의 이전글 알레르기 환자의 개별성과 특수성 존중하는 간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