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해보 Apr 11. 2023

증거기반 문화정책의 “사회적 전환"

서울문화재단 문화+정책 이슈페이퍼 2023.4월호

격월로 제공하는 연구동향 리뷰에서는 사회과학에서의 “문화적 전환(cultural turn)”에 상응할, 소위 문화정책의 사회적 전환(Social Turn)”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두 개의 연구자료를 소개합니다. 하나는 통계청에서 매년 발간하는 『한국의 사회지표』의 2022년 자료이고, 또 하나는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 발간한 『사회문제와 문화예술정책』 연구보고서입니다. 문화정책이 문화의 고유한 가치 주창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다양한 사회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인구와 경제 구조, 여가형태, 가치관 등 사회적 요소들의 변화를 적절히 반영하는 것을 “사회적 전환”이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사회적 전환은 문화정책이 사회문제 해결에 적극 개입하는 것입니다. 코로나를 거치면서 『한국의 사회지표』에는 경제뿐만 아니라 여가와 문화생활의 양극화를 나타내는 수치들이 드러납니다. 이런 사회적 이슈를 해결하는 것이 지금 문화정책의 사회적 역할로 호명되고 있습니다. 


해외동향 리뷰에서는 영국의 <창조산업정책 및 증거 연구센터>와 호주 예술위원회가 발간한 통계조사 연구보고서들을 심층 리뷰했습니다. 이들 자료는 증거기반(evidence-based)” 문화정책 기조 속에서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는 통계조사 연구가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 영감을 줍니다. 영국의 창조산업 분야 일자리 현황을 조사한 『좋은 일자리 리뷰』 보고서는 현장실태 분석에 앞서 <좋은 일자리>의 6가지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통계로 현실을 파악하는 기준이 될 뿐만 아니라, 정책을 통한 변화의 방향까지 제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호주의 『코로나 기간의 문화예술 관람 실태 모니터링 보고서』는 기존의 예술관람 위주의 문화향유실태 조사로는 담아내지 못할 문화생활의 변화뿐만 아니라 시민들의 심리변화까지 다층적으로 조사했습니다. 설문조사를 통한 정량적 분석과 FGI를 통한 정성적 분석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장애인 연구자가 참여하여 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그 연구결과 보고서를 쉽게 풀어쓰고, 수어 동영상으로 만든 <포용적 언어(inclusive language)>로 정책을 소통하는 모습 또한 중요한 영감을 줍니다.


[연구 동향

○ 2022 한국의 사회지표 (통계청 보도자료, 2023.3.23.)

○ 사회문제와 문화예술정책』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3.1.3.)  외 26건


[해외 동향]

○ 좋은 일자리 리뷰 창조산업 분야의 일자리 현황』 (The Good Work Review - Job quality in the Creative Industry) 조사보고서 발간 (영국 창조산업정책 및 증거 연구센터, 2023.2.23)

○ 코로나 기간의 문화예술 관람 실태 모니터링 보고서 (COVID-19 Audience Outlook Monitor 2022)』 발간 (호주예술위원회, 2023.1.27)  외 19건


첨부파일☞ <문화+정책 이슈페이퍼> 4월호 전문

 

서울문화재단 공식 블로그에서 읽기

https://blog.naver.com/PostList.naver?blogId=i_sfac&from=postList&categoryNo=117

작가의 이전글 지역문화전문인력이 갖추어야 할 자질 – 공공성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