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시류아 Dec 22. 2018

KAKAOFRIENDS 라이언 차징 스탠드 [개조후기]

사용하다 보니 마음에 안 들어서 직접 뜯어서 고쳤습니다.

 지난 11월 초, 삼성전자 블루위크에서 구매했었던 카카오 프렌즈, 라이언 차징 스탠드를 사무실에서 폰 충전 및 거치용으로 사용하다 보니 몇 가지 사항이 너무 불편했습니다.


 삼성 폰과 연결했을 때 카카오프렌즈 잠금화면이 나타나는 것은 좋은데, 연결 해제하고 바로 사용하려고 하면 카카오프렌즈들이 잘 가라는 배경을 꼭 1~3초 정도 띄웁니다.

고속 충전을 지원하는 충전기라고 하더라도 삼성 정품 충전기에 연결하지 않으면 고속 충전을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삼성 폰이 아닌 이상 고속 충전이 가능한 충전기를 연결한다고 하더라도 고속 충전이 되지 않습니다.


 몇 대의 제품을 같이 사용하고 있다 보니 이 세 가지 사항이 정말 불편했고, 나름대로 개선을 진행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해서 가차 없이 스탠드를 분해서 개조를 진행했습니다.






딴 건 모르겠고 일단 뜯자



지금부터 분해가 이루어질 주인공인 라이언 차징 스탠드입니다.


어떻게 될지 모른 체 태평하게 앉아계시는 라전무님이 보이네요 ㅎㅎ




스탠드를 뒤집어보면 고무패킹들과 모델 정보가 적힌 종이 스티커가 있습니다.


화살표로 표기 해놓은 부분에 나사가 있기 때문에 해당 부분의 고무패킹과 스티커를 깔끔하게 제거하고 나사를 풉니다.

(고무패킹은 나중에 다시 사용해야 되니 비닐 또는 유리 등 깨끗한 곳에 두었습니다.)




뜯고 보니 별 것 없습니다.


PCB 기판에서 테마랑 고속 충전 관련해서 처리되는 듯한 걸로 보이고, 거기서 나오는 선이 핀으로 가고 있는 구조입니다.


PCB를 고정하고 있는 나사를 풀고 핀과 함께 뽑습니다.




플라스틱 하우징에서 핀 분리는 생각보다 간편하게 되었습니다.


밑에 고정하고 있는 커버를 열고 선을 잡고 당기니 바로 분리되어서 나왔습니다.




이제 주변에서 굴러다니고 있는 Type.C 케이블을 가져와서 앞부분을 뜯습니다.


저 같은 경우 갤럭시 S8+에 번들로 함께 제공되고 있는 케이블을 뜯었습니다.


플라스틱의 양 옆을 잘라서 뜯고 나니 금속 하우징으로 고정되어있는 것이 보입니다.


금속 하우징도 양 옆에 고정부를 재껴서 마저 분리를 합니다.




플라스틱 하우징에 케이블 핀 부분을 끝까지 밀어 넣고 조심스럽게 꺾은 후 커버를 닫습니다.


수축 튜브나 글루건 등으로 조금 작업을 해야 되나 싶었는데 굳이 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이었습니다.




이후 핀을 처음에 있던 위치에 놓고 선을 기존에 Type.C 포트가 있던 곳으로 뺀 후


다시 위에 덮개를 조심스럽게 덮고 나사를 조은 후 고무 패드를 덮어서 마무리합니다.




정말 간편하게 마개조가 끝났습니다.


고속 충전이 지원되는 멀티포트 충전기에다가 연결하고 폰을 연결해보니,


문제없이 고속 충전이 활성화됩니다.


다른 폰들도 연결해보니 바로바로 고속 충전이 잘 됩니다.




개조 후기..


 뜯어서 바꾸고 나니 생각보다 이득을 보고 있는 것이 많습니다.


삼성 폰이 아니라도 고속 충전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삼성 정품 충전기가 아니라도 고속 충전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즉, 충전기의 구분이 없어졌습니다.

삼성 폰에서 카카오 프렌즈 잠금화면 때문에 급하게 써야 될 때 화면 가렸던 것이 없어졌습니다.

데이터 케이블을 끼워 넣은 결과 PC와 연결해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스탠드 사용하면서 정말 아쉬웠던 기능들이 간단하게 30분 작업해주는 걸로 바로 해결되었습니다. 진작에 왜 안 하고 있었을까요?


 두말 안 합니다. 라이언 차징 스탠드 사용하시면서 제가 불편하다고 느꼈던 것들을 똑같이 느끼시는 분들이라면 그렇게 어려운 것도 아니니 과감하게 한 번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관련된 글



매거진의 이전글 Let's GO! 이브이와 함께 추억여행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