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씨앝 Mar 24. 2024

개를 돌보는 마음

너와 나를 연결하는 이 줄 하나

 12kg의 다부진 근육질. 부메랑을 닮은 길고 굽은 등. 홀쭉한 허리를 돋보이게 하는 두꺼운 흉통. 쭉 뻗었지만 약해 보이지는 않는 네 개의 다리. 길쭉하고 두툼한 주둥이. 그리고 크림색과 짙은 고동색, 베이지색의 꼬불꼬불 털에 덮여 시선이 어디를 향하는지 알 수 없는 아몬드 모양의 멀고 작은 눈. 프랑스에 살던 사람들이 염색하지 않은 양모의 자연색을 베이지색이라고 했다던데 그래서인지 덕배의 실루엣은 양 같기도 하다. 순하디 순한 양. 나만의 생각은 아니라서 산책을 나갈 때면 길을 지나는 사람들은 한 번쯤 멈춰 서서 덕배에게 말을 건다.

 “어머. 넌 꼭 양 같이 생겼네.”

 닮았다고만 하는 걸 보면 양은 아닌 거지. 결국 덕배의 정체성은 개에 있는 것이다. 아는 체를 한 행인들 대부분은 덕배에게 이야기를 좀 더 건네보고 싶다.

 “아이고. 넌 참 순해 보인다. 걷는 것도 우아하고.”

 제 식구를 칭찬하는 말인데도 가끔 마음이 어지럽다. 알쏭달쏭한 미소를 지으며 보내는 눈인사 뒤로 나는 들리지 않게 중얼거린다. 보이는 게 전부가 아니에요.


 만 3개월이 된 덕배를 데려오고 2년이 조금 지난 오늘까지 나는 세 번 울었다. 처음은 덕배와 보낸 시간이 두어 달쯤 되던 때였다. 강아지 시기의 개들은 하루에 스무 번 남짓의 소변을 누는데 당시의 덕배의 성공률은 딱 50% 정도였다. 그리고 그날은 열두 번째 빨래가 돌아가고 있었다. 아직 오후 4시였다.

 열한 번째 세탁물을 세탁기에서 꺼내어 걸어둘 만한 곳을 찾기 위해 집안을 둘러봤다. 좁은 집 곳곳에 오방기가 늘어진 무당집처럼 아직 다 마르지 않은 담요가 의자와 의자 사이에도, 책장과 테이블 사이에도 널려있었다. 이미 자리를 잡은 천들은 아직 눅눅했고 품에 안긴 이불을 걸어둘 곳이 도무지 보이지 않았다. 그때 미팅 시간을 알리는 알림음이 울렸고 갈피를 잡지 못한 나는 젖은 천을 들고 서서 울고 말았다. 덕배는 꼬리를 흔들며 다가와 볼에서 계속 샘솟는 짭조름한 물을 첩첩거리며 핥았다.

 중형견의 혀는 따뜻하고 거칠었다. 쾌와 불쾌가 섞여 가슴 어딘가를 꾸욱 눌러대는 통에 눈물이 멈출 생각을 않았다. 0 퍼센트에서 시작했다는 걸 알면서도 이 빨래질이 영원할 것 같았다. 적중률이 반이나 되는 데도 내 눈에 덕배는 소변기에 그려진 파리를 도무지 맞추지 못하는 바보천치 같았다. 나는 6살 까지도 이불에 쉬를 한 기억이 있는데, 덕배는 이제 막 세상에 나온 지 5개월이었다.


 그 뒤로도 어느 날 나는, 아직 다 크지 않은 덕배와 책상다리 사이에서 대치하며 울었다. 어린 덕배는 집안 곳곳을 뒤지며 닥치는 대로 제 입에 물고 다녔다. 그래도 괜찮았다. 아직 뭘 모르고 순진한 덕배는 “그거 줘.”라는 제스처를 취하면 바로 퉤 하고 내려놓고 꼬리를 딸랑거리며 내 품으로 달려왔다. 그러던 덕배는 어느 날부터인가 결심을 한 것 같았다.

 ‘뺏기고만 살 수는 없어.’

 나와 일언반구의 상의도 없이 혼자서 한 어떤 결심의 날 이후로 덕배는 뺏길 것 같으면 도망 다니기 시작했다. 요놈 자식 하면서 하하 호호 귀여운 숨바꼭질을 하며 며칠은 행복했던 것 같다. 하지만 덕배는 배움이 빨랐다. 그날은 덕배를 10분째 잡지 못하고 있었다. 의자 밑으로, 테이블 다리 사이로, 벤치 사이로, 요리조리 미꾸라지처럼 피하는 덕배 입에는 내가 먹다 남은 닭 뼈가 물려있었고, 30분 전부터 음소거로 참여하던 미팅에서 나를 찾는 소리가 들렸다. 미팅으로 돌아가면 닭뼈가 덕배 목구멍으로 넘어갈 것 같았다. 부서져 뾰족해진 닭 뼈가 덕배 기도를 긁고 다니는 상상이 머릿속에 가득 찼다. 치킨은 왜 처먹은 거야. 나 자신에게 욕지거리가 났다. 조바심이 나고 두려우면서도 덕배 꽁무니만 쫓아다니던 탓에 약이 바짝 올라 당해보라는 심보도 함께 올라왔다. 알고 있었다. 덕배의 현란한 발재간에는 악의가 없었다. 나는 뭘 하자고 이런 작은 사건도 수습하지 못할 거면서 이 아이를 데려왔을까.


 마지막 눈물은 길바닥에서였다. 덕배를 처음 만난 건 덕배가 세상에 나온 지 1개월 후였다. 덕배는 더함도 덜함도 없이 딱 손바닥만 했다. 두 달이 흘러 마침내 우리 집에 왔을 때 3개월 된 덕배는 이미 6kg이었다. 개가 바뀌었거나 덕배의 시간은 나와 다르게 흘러가는 줄 알았다. 2년 전 무지개다리를 건넌 15세 사랑이 생에 최고의 몸무게는 4kg이었다.

 보통 생후 2개월에 두 번째 집으로 가는 강아지들과 달리 덕배가 부모, 형제와 함께 만 3개월을 보내도록 기다렸던 건 그때까지가 사회성을 배우는 시기라는 공부의 결과였다. 비록 꼬물이 시절을 보지 못하더라도 덕배의 행복한 견생을 바라는 마음이었다. 그 효과는 실로 대단해서 덕배는 사람과 개 모두에게 적극적이고 친근했다. 덕배의 꼬리는 즐거움 밖에 표현할 줄 모르는 것 같았다. 놀이터에서 만난 낯선 개들과 그림처럼 뛰어노는 덕배를 보면서 이런 입양 문화가 더욱 많아져야 한다는 생각을 했었던 것 같다.

 그리고, 개의 언어를 학습했다고 믿었던 덕배는 별안간 개를 만나면 짖기 시작했다. 그 무렵 줄 당김도 덩달아 심해졌는데 집에서 고작 50m 멀어지는 데 45분이 걸리던 날이었다. 그 사이 5마리의 개와 마주쳤고, 덕배는 정신없이 당기고 정신없이 짖었다. 내 정신이라고 있을 리 없었다. 덕배가 한 번 튀어 나가면 나는 두 배의 힘으로 뒤에서 당기고를 반복했다. 그리고 너무 세게 당긴 나머지 개 덕배가 새가 되어 하늘을 날아 내동댕이쳐지는 모습을 봤고 나는 주저앉았다. 덕배와 나를 연결하는 이 줄 하나에 내가 가진 여러 통제 욕구와 완벽주의, 이기심, 귀찮은 과정 없이 서둘러 좋은 것만 누리고 싶은 요행을 바라는 마음, 남과 비교하는 태도가 모두 뒤섞여 연결되고 있었다. 말도 할 줄 모르는 너에게 나는 지금 무슨 짓을 하는 걸까. 


 개 앞에서 나는 내 모든 취약점을 펼쳐 보여야 했다. 생각해 보니 창업을 해보겠다고 뛰어들고 가장 고통스러웠던 점도 바로 나의 바닥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 바닥이라는 게 더 아래일 수 있다는 걸 매일매일 갱신하는 게 고통스러웠다. 내가 이렇게 구린내가 나는 사람이라고? 나는 내가 좀 더 참을성 있고, 사려 깊고, 배려하며 우아한 사람이라고 생각했는데 그건 그저 배부를 때 이야기였다. 실상은 일이 내 뜻대로 되지 않을 때 앞에서는 미소 짓고 속으로는 멍청한 새끼라고 욕지거리를 뱉는 조롱꾼이었다. 남에겐 여유를 가지라고 너털웃음을 지으면서 정작 나 자신은 매일매일 다른 이의 성취에 배 아파하며 초조하고 날카로운 사이비였다. 그나마도 사람 앞에선 나이스한 척이라도 했지만, 나의 평판을 형성할 수 없는 개 앞에선 무방비로 본성을 드러내는 위선자라는 걸 마주해야만 했다. 덕배는 사업만큼이나 나를 알게 했다.


 매일 오전 8시, 양처럼 생긴 개는 동네를 쏘다닌다. 백수가 된 덕에 주인은 더 집착적으로 산책에 매진한다. 아침에 일어나 침대 위에서 보드라운 털을 만지작거리며 눈을 맞추고 “잘 잤어?”라는 인사를 나눈다. 덕배는 꼬리를 살랑이고 다가와 머리를 살짝 숙여 촉촉해진 코를 벌름거린다. 그럼 나는 눈곱도 떼지 않은 채 일어나 똥주머니를 옆구리에 차고 목줄을 손에 쥐고 신발을 신고 현관문을 열어본다. 덕배는 자기가 먼저 나가겠다며 줄을 당기고 나는 앉아. 앉아. 를 반복하며 덕배를 막는다. 한차례 씨름을 하고 복도로 첫발을 디디면 그날의 공기가 마른 콧구멍 속으로 들어찬다. 콧 속을 도려낼 듯 차가운 날도, 속이 맑아지는 듯 상쾌한 날도 있다. 눅눅한 기분처럼 무거운 날도 있다.

 가끔 산책을 못 시켜줄 때도 있다. 모든 이유는 나로 비롯한다. 덕배는 항상 성실히 산책할 준비가 되어있다. 도전이 끝났고, 앞으로 무얼 해 먹고살아야 하나 서른 중반이 훌쩍 넘어서 다시 진로 고민을 하는 요즘 같은 날은 어떤 날은 힘이 솟고, 어떤 날은 눈 뜨자마자 몸도 마음도 천근만근이다. 다리 사이에 동그랗게 몸을 말고 자는 덕배의 무게가 시시포스 손에 닿은 바위 같을 때가 있다. 그럴 때면 개 앞에서 울었던 세 날이 스치곤 한다. 그러건 말건 덕배는 내 얼굴을 핥고 있고, 나는 원망과 미움과 기대를 품고 결국 몸을 일으킬 수밖에 없다. 그렇게 문밖을 나서고 다시 마른 콧구멍으로 공기를 흘려보내고 발과 땅이 붙어있는 감촉을 느끼고 나면 일어나길 잘했다고 생각한다. 개 덕에 한 번 더 일어선다. 그래. 일어나길 잘했어. 덕배야, 천천히. 가자. 옳지. 잘했어.




https://www.kimsunmi.com/bullshits/my-lovely-doggy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