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작가와 Apr 23. 2022

첫 출근했는데 회사 분들께 인사 메일을 어떻게 쓰죠?

<Normal version>

제목: 안녕하십니까. XX팀(부서) 신입사원 OOO입니다.

안녕하십니까  

00년 00월, XX팀으로 입사하게 된 OOO입니다.

모든 부서 선배님들을 찾아뵙고 인사를 드리고 싶지만 다들 바쁘신 관계로 이렇게 메일로 입사 인사를 대신 올립니다.

아직 미숙하고 배울 점도 많지만, 열심히 노력하는 모습 보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XX팀 ooo 올림


<Cool version>

제목: 안녕하십니까. XX팀(부서) 신입사원 OOO입니다.

안녕하십니까  

00월 00일부터 XX팀에 입사한 OOO입니다.

모든 분들을 찾아 뵙고 인사 드리면 좋은데, 바쁘신 것 같아 메일로 인사 드립니다.

아직 미숙한 점이 있겠지만 빨리 잘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XX팀 ooo 올림


<그 외 TMI version>

안녕하세요.

2022년 00월 00일, 이번에 XX팀으로 입사하게 된 OOO입니다.

입사한지 1주 밖에 되지 않았지만, OO회사에 입사한 뒤로 지금까지 매일이 설레는 날입니다. 출근하기 전 학창 시절 소풍 가기 전날 잠을 설치는 기분이 매일 밤들고, 출근길 사람이 꽉 찬 지하철에서도 기분이 하나도 나쁘지 않습니다. 이렇게 즐거운 기분을 선배님들을 직접 만나 전달하고, 인사해야 제 직성이 풀릴 것 같지만 현실적으로 그럴 수 없어 이렇게 메일로 인사 드립니다. 양해 부탁 드립니다.


저의 이름은 OOO이고, 나이는 3X살이며, 생일은 5월 1일로 황소자리입니다. 취업 준비를 오래 한 편이라 또래 동기보다 나이가 많습니다. 그리고 AA에서 태어나 한 번도 AA지역을 벗어난 적이 없어 학창 시절을 전부 AA에서 지냈습니다. 학부 시절 전공은 기계공학이지만 공부엔 큰 관심이 없었고, 취미 및 특기는 십자수입니다. 혹시나 멋진 십자수 관련 정보가 필요한 선배님들이 있다면 언제든지 편하게 연락해주세요. 저의 모든 tip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혈액형은 A형이고 MBTI는 ESFJ로 특히 계획대로 일이 진행되는 것을 선호합니다. 그래서 예상하지 못한 일이 생기면 조금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더 하고 싶은 말은 많지만 이후엔 직접 선배님들을 만나서 정식으로 인사 드리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처음이라 어딘가 부족하고 업무를 잘 따라오지 못할 수도 있지만 항상 열심히 배우려는 자세로 업무에 임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

<<e북 보고 힌트얻기>>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E000005061132


<저, 신입 도서의 숨겨진 목차>

<<WORK>>  

[매너있는 신입사원]

1. 업무 시간에

1) 신입사원이 갖춰야 할 태도는 무엇인가요?

2) 회사에서 아는 사람에게만 인사해야 하나요?

3) 이성 문제가 자꾸 업무에 지장이 된다면 어떻게 하실 건가요?

4) 회사 노트북을 분실하거나 파손시키면 어떻게 할까요?

 

2. 쉬는 시간에

5) 회사에서 군대 얘기를 해도 되나요?

6) 팀원 중 자신만 흡연자이면 담배를 끊어야 하나요?

7) 업무시간에 은행이나 동사무소를 다녀와도 되나요? 

8) 점심에 반주를 해도 되나요? 

9) 친구와 술을 새벽 4시까지 먹어 출근이 어려운데 어떻게 하나요?

 

[일 잘하는 신입사원은?]

1. 업무 품질 올리기

10) 출근하면 무엇을 먼저 하나요?

11) 회사에서 일만 잘하면 되나요?

12) 빨리 일하는 것이 무조건 좋은 건가요?

13) 업무적으로 빨리 성장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14) 모든 업무 피드백을 수용해야 하나요?

15) 회사업무를 하는데 기본 공통 능력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16) 할 일을 찾아서 해야 하나요? 만약 그러지 못하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17) 어떤 개념 또는 의미를 저 빼고 다 알고 있을 때 아는 척을 해야 하나요?
아니면 그 순간 바로 질문해야 하나요?

18) Knowing-Doing gap을 어떻게 하면 줄일 수 있을까요?

19) 당일 과업을 정리하면 무슨 장점이 있나요?

20) 상사가 부재중일 때 혹은 사무실에 혼자 있을 때, 어떻게 업무를 진행하나요?

21) 프로와 아마추어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주변 환경 개선하기]

22) 실수를 반복하지 않는 본인만의 노하우가 있다면 무엇인가요?

23) 회사 내에서 가장 스트레스 받는 일이 무엇인가요?

24) 수평적 조직을 선호하나요? 수직적 조직을 선호하나요?

25) 리더가 가이드를 잘못 줘서 보고서 재 작업을 계속 해요. 어떻게 하나요?

26) 애사심은 얼마나 가져야 좋을까요?

27) 회사에서 자리 배치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 모여 앉는 것이 좋을까 따로 앉는 것이 좋을까? 
(회사자리는 모여 앉기와 따로 앉기, 뭐가 좋아요?)

28) 장시간 같은 자세로 근무할 때 어떤 불편함이 있나요? 어떻게 해소하나요?

29) 모니터가 2대면 일할 때 편한데 1대만 있어요. 제 돈으로 사야 하나요?

30) 이상적인 회사의 복지는 어떤 것이라고 생각하시나요?

31) 회사 저녁 야근비로 1만원을 지원해주는데 그걸로 커피를 사먹어도 될까요?

32) 회사가 토요일(휴무날)에 회사에서 독서, 업무 관련 공부를 한다면 점심을 무료로 제공한다고 합니다. 이건 복지일까요?

33) 재택근무하고 있는데 주변 소음이 커서 방해가 된다면 어떡하죠?
 
(재택근무 중인데 주변 소음이 크면 어떡하죠?)

34) 회사에 적응하지 못한다면 그만 두어야 하나요?

35) 회사에서 무엇을 배우며 자기계발(업무)에 도움이 되나요?

36) 회사가 갑자기 망하면 어떻게 할 건가요?

 

 

[환영 받는 신입사원은?]

1. 회사와의 관계

37) 회사에서 환영 받는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요?

38) 어떻게 하면 인간관계를 잘 쌓을 수 있나요?

39) 술을 잘 마시면 사회생활 하는데 좋을까요?

40) 술에 안 취하는 자신만의 노하우가 있나요?

41) 회식 때 고기는 누가 구워야 하나요?

42) 회사에 마음에 드는 이성이 있으면 어떻게 하나요? (이성 친구가 없다고 가정)

43) 팀원들과 같이 식사할 때 어떤 대화를 하나요?

44) 점심식사는 팀원들과 꼭 함께 먹어야 하나요?

45) 더치페이 하는 상황에서 상사들이 비싼 음식점에 가려고 해요. 음식 가격이 부담되어 저는 가기 싫은데 어쩌죠?

46) 고객을 접대할 때 자기 주량을 넘어서 술을 마셔야 하는 상황이 있다면, 고객의 기분을 맞추기 위해 자신의 주량을 넘겨서까지 마셔야 하나요?

47) 새로운 집으로 이사를 했습니다. 팀원들과 집들이를 해야 하나요?

48) 직장 동료들과 함께 여행을 가거나, 여가생활을 즐기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49) 비즈니스 캐주얼의 기준은 무엇인가요?

50) 머리를 형광색으로 염색해도 되나요? 


2. 선배와의 관계

51) 상사에게 찍힌 것 같은데 어쩌죠?

52) 나이 차이가 많이 나는(10살 이상 차이) 사수와 어떻게 지내야 할까요?
 
(10살 이상 차이나는 사수와 어떻게 지내면 좋을까요?)

53) 리더가 물건 사오기 등의 개인 업무를 일처럼 요청해요. 어떻게 하죠?

54) 상사가 회사에 대해 물으면, 무조건 좋다고 해야 하나요?

55) 술자리에서 친하지 않은 상사와 대화가 끊겼을 때 어떤 얘기로 풀어야 하나요?

56) 상사가 신입사원에게 점심 메뉴를 물어볼 때 먹고 싶은 걸 얘기해야 하나요? 아니면 직장 상사가 좋아하는 메뉴를 얘기해야 하나요?

57) 상사가 자리에 있는데 퇴근을 해야 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요?
 
(상사는 퇴근할 모습을 보이지 않음)

58) 옆자리 선배가 발냄새가 심해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59) 상사가 주말에 등산 가자고 불러내면 어떡하나요?


3. 동기와의 관계

60) 입사 후 회사 동료와 빨리 친해지는 방법 또는 팁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61) 싫은 팀원과 친하게 지내야 하나요?

62) 싫어하는 직장동료와 출퇴근이 겹치면 어떻게 할 건가요? 

63) 개인적인 사정으로 동료에게 야근을 부탁해야 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요?

64) 휴가로 여행을 갔는데 직장 동료의 선물을 사야하나요?

65) 직장 동료가 조부상 조모상을 당했는데 참석해야 하나요?


4. 후배와의 관계

66) (자신이 신입이 아닌 가정하에) 인턴 사원이 자꾸 실수를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67) 후배사원이 저보다 나이가 많으면 어떻게 대하는 것이 좋을까요?

68) 신입사원이 저를 괴롭혔던 군대 선임(학교선배)이에요. 어떨 것 같나요?


<<LIFE>> 

[오제이티의 일상생활]

1. 먹고, 자고, 쉬고

69) 아침 밥을 먹고 출근하시나요? (나영이네 집 냉장고)

70) 식사 후 점심시간엔 무엇을 하나요?

71) 숙면 취하는 자신만의 방법이 있나요?

72) 통근 시간이 삶의 질에 영향을 많이 주나요?

73) 스트레스를 어떻게 해소하나요?

74) 숙취 해소는 어떻게 하시나요?

75) 연휴 후유증을 어떻게 극복할까요?

76) 쉬는 날엔 주로 무엇을 하시나요?


2. 뭔가 하고, 나가고, 만나고

77) 취미가 무엇인가요?

78) 동호회를 다니나요? 다닌다면 어떤 동호회를 다니나요?

79) 어떤 여행을 선호하나요? (휴식, 관광 등)

80) 축의금은 얼마가 적당한가요?


[오제이티의 미래고민]

1. 행복하려면?

81) 역량·경력, 건강, 재테크, 행복 4가지 중 신경 쓰는 순서는 어떻게 되나요?

82) 인생에 있어 가장 달성하고 싶은 목표(꿈)는 무엇이며, 그 목표(꿈)를 회사에 다니면서 이룰 수 있나요?

83) 10년 후 원하는 삶은 무엇인가요?

84) 5년 후에 바라는 삶은 무엇인가요?

86) 지금 하고 있는 일이 즐거운가요?

87) 일을 하면서 뿌듯했던 경험이 있었나요?

88) 결혼 적령기는 몇 살이라고 생각해요?
 
(2020년 기준 몇 살이라고 생각합니까)

89) 결혼을 하는 것이 좋은가요? 안 하는 것이 좋은가요?


2. 건강하려면?

90) 건강관리는 어떻게 하고 있습니까?

91) 갑자기 건강이 안 좋아지면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3. 성장하려면?

92) 첫 직장에 들어갔을 때 기분이 어떠셨나요?

93) 직업을 선택할 때 가장 중점을 두는 가치가 무엇인가요?

94) 자기 적성을 어떻게 찾죠?

95) 이직할 땐 무엇을 고려해야 하나요?

96) 일하면서 가장 도움이 되는 자격증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있다면 왜 준비를 하셨나요?

97) 신입은 어디서 경력을 쌓아야 하나요?

98) 리더십이 있으면 성과가 좋아지나요?

99) 리더십이 있다는 것은 무엇인가요?

100) 취업 전과 후, 자신의 어떤 부분이 많이 변했나요?

101) 본인만의 가치관, 소신, 믿음 등이 있나요?

  

4. 돈 굴릴려면?

102) 직장인이 된 후 월 지출이 눈에 띄게 늘었나요?

103) 재테크는 어떤 방식으로 하고 계신가요?

104) 주식 하다가 손해를 많이 봤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매거진의 이전글 사수가 ‘넌 이 일이 안 맞는 것 같애’라고 해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