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윤윤당 Nov 19. 2023

침묵하는 말들, 침묵하는 나.

<리타의 일기> 북토크에 다녀와서.

언제부턴가 “말”이라는 걸 밖으로 꺼내지 않게 됐다. 정확히는 “말”을 “글”로 써서 밖으로 끄집어내는 걸 안 하고 있단 것이고 그렇게 오래되진 않았다, 고 생각하고 그간 남겨둔 기록들의 날짜를 보니 꽤 오래됐다. 피곤한 출퇴근길에도 어딘가에 다녀오는 날에도 그 찰나의 단상에 젖어 갑작스레 떠오른 생각을 한 줄 두 줄 메모장에 적어놓고는 길게 늘어뜨리던 날들이 있었는데 말이다.


정말 피곤해서일까, 기력이 없어서일까, 아니면, 감성이 메말라서일까. 아니, 이것들은 내가 글을 쓰지 않는 이유가 되진 못 했다. 왜일까, 왜였을까.


명확한 답은 아직 찾지 못했고 찾는 중이지만, 지금의 상황에선 이 이유가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것 같다.


“굳이 읽히고 싶지 않아서.”




보통 글을 쓸 때, 나의 마음이 감정이 마냥 휘발되는 게 아쉬워서 쓰는 것도 있었지만 누군가는 이걸 읽고 알아줬으면 하는 마음에 쓰는 것도 있었다. 그 이유가 차지하는 비중이 제일 크기도 했고. 읽힘으로써 사람들의 공감을 자아내고, 사람들이 보인 마음과 마음의 틈새에 내 마음을 뉘이는 것. 몇 글자 되지 않는 글이더라도 덕분에 넘치는, 과분한 위로를 받곤 했다.


그런데 지금은 딱히, 그런 위로를 바라는 것 같진 않다. 위로가 필요한 것도 아닌 것 같고, 내 안에서 모든 것을 해결하고 싶은 그런 생각이 드는 것 같다. 적당한 거리 두기와 떨어져 있는 상태가 때로는 힘이 된다 하지 않던가. 지금의 나는 그런 것 같다.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은 언어들, 언어들이 내 안을 돌아다니며 내는 소리가 제법 묵직하게 들려오곤 한다. 나오지 않은 기간이 길어질수록 언어들이 지닌, 언어들에 붙은 살점들이 꽤나 많아서, 크기가 점점 커져서, 언어들에 담긴 사유와 관념의 무게가 무거워졌기 때문일 거다.


이렇게 뱉지 않은 말들을 잔뜩 안아 들고는, 안리타 작가님의 <리타의 일기> 북토크를 다녀왔다.





이야기를 들으며 떠오른 생각들을 주워 담고 나열해 보니 결국 모든 건 “나”로 귀결됐다. 맴도는 말은 많으나 침묵으로 일관했던 지난날들에 대하여, 오히려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던 그런 날이었다. 그래서 오랜만에 기록으로 남겨둔다.


“뱉어내지 않은, 뱉어내지 못한 말들의 무덤. 무덤이라고 하기보다는 그래, 돌탑이 좋을 듯싶다. 하나씩 하나씩 쌓다가 잘못 뉘이는 바람에 와르르 쏟아지고, 다시 쌓고 올리고를 반복하며 나름의 모양을 갖춰나가는 돌탑. 무언가를 바라는 마음도 이루어졌음 하는 소원도 하루를 보낸 소감도 사소한 푸닥거리도 안 담긴 게 없는 돌탑처럼, 뱉어내지 않은, 뱉어내지 못한 말들이 쌓아 올린 돌탑이자 사유의 실존 형태. 그게 바로 나다. 모든 말들의 모습은 나였다.”




그래도 조금은 그립기도 하다. 차창에 김이 서려 흘러내리던 물줄기가 실은, 사람들의 한숨이었다고 적었던 그때의 내가.

매거진의 이전글 <쓸 수 없는 문장들>을 읽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