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남서진 Aug 03. 2018

퍼실리테이션, 퍼실리테이터

많은 사람들이 자주 이야기하는 것은 한 번쯤 잠시 머물러 짚어보고 갈 만

퍼실리테이션 


조직개발 분야에 있으면서 퍼실리테이션, 퍼실리테이터라는 말이 교육, 컨설팅, 경영혁신 분야 접점에서 자주 회자되고 요구가 급증하고 있음을 근래 몇 간 더욱 실감하고 있다. 어느 영역에서든 실천이 늘어날수록 다양한 관점이 더해지면서 본류, 원류에 대한 고민과 정확성에 대한 고민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퍼실리테이션 분야의 실천가이면서 이론가인 전문가들의 견해를 빌려 '퍼실리테이션, 퍼실리테이터'에 대한 개념을 정리해 보았다. 결국 조직의 효과성과 건강을 증진하는 조직개발을 위해 퍼실리테이션이 필요함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된다.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은 모든 의견은 동등하게 귀중하며, 함께 더 좋은 결정을 만들어 낼 수 있음을 실현하는 방법이자 인간과 세상에 대한 긍정 철학의 통로다.



퍼실리테이션에 관한 다양한 개념 정의  


퍼실리테이션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일을 가능하게 하거나 더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 또는 사실을 말한다.(Oxford Learner’s Dictionaries, 2016) 논의 과정에서 특별한 입장에 서지 않고 사람들이 공동의 목적을 이해하고, 그것을 달성할 수 있는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돕는 것도 역시 퍼실리테이션이다(Wikipedia, 2016). 


이 분야의 전문가들이 제시하고 있는 퍼실리테이션의 개념은 다양하다. 퍼실리테이션의 본래적 의미에 입각하여 무엇인가를 도와주고 수월하게 만들어주는 활동으로(Bostrom, Anson, & Clawson, 1993; Kitson, Harvey & McCormack, 1998) 소그룹이나 팀에서 구성원들이 자율적으로 참여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촉진하는 활동으로(호리 기미토시, 2004; Bens, 2008; Hunter, 2007; Schwarz, 2002; Wilkinson, 2004) 참여자에 의해 만들어지고 이해되고 받아들여진 결과를 통해 목표를 달성하도록 안내하는 과정 등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Wilkinson, 2004). 


퍼실리테이션 실행의 중립적 태도에 대한 부분을 중심으로 정의를 살펴보면 퍼실리테이션의 기능적 내용이 잘 드러난다. 집단이나 조직이 협업과 시너지를 창출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 이를 위하여 공정하고, 개방적이고, 참여적인 과정으로 집단이 일을 해낼 수 있도록 한 쪽 편에 서지 않고 중립을 지키는 것(Doyle, 1993), 지배하지 않으면서 리더십을 발휘하고, 집단이 효과적으로 기능하여 양질의 의사결정을 해낼 수 있도록 구조와 절차를 형성하는 과정, 다른 사람들이 최상의 성과를 내도록 지원하는 것(Bens, 2008, 2012), 최고의 사고와 실천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 이를 위하여 개인이 최상의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도움으로서 완전한 수준의 참여를 끌어내고, 서로 이해하며, 공동의 책임감을 가지도록 발전시키는 것(Kaner, 2014), 집단이 집단의 공동 목적을 쉽게 달성할 수 있도록 도구와 기법을 활용하여 절차를 설계하고 중립적인 태도로 진행과정을 돕는 것(구기욱, 2016)이라고 퍼실리테이션을 정의하고 있다. 


Schwarz(2002)는 촉진 활동을 근간으로 협의의 퍼실리테이션을 팀 내 미팅이나 워크숍, 회의를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활동이라 했고, 보다 광의적으로 팀이 당면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팀성과를 창출하도록 힘을 활성화하고 촉진하여 지원하는 활동으로 정의하였다. 



퍼실리테이터에 관한 다양한 정의 


퍼실리테이터는 퍼실리테이션을 실행하는 사람이다. 조직 내에서는 리더, 중재자, 내용전문가, 트레이너 등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구성원의 성찰을 지원하고, 구성원 스스로 효과성을 높여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세스 전문가를 의미한다(Schwarz, 2002). Schwarz(2006)는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을 설명함에 있어 중립적 태도에 초점을 맞추어 실질적 중립성, 제삼자, 프로세스 전문가로서의 기능을 역설했다. 이는 퍼실리테이터가 내용에 중립적임을 통하여 팀이 스스로 팀의 효과성을 증진시키는 것을 돕는 것이 퍼실리테이터의 목적임을 강조한 부분이다. 퍼실리테이터가 교사나 컨설턴트와 다른 점은 바로 이 중립을 지키는 것이다. 이는 퍼실리테이터가 진행과정, 즉 절차를 관리할 뿐, 목적을 달성하는데 필요하거나 의사결정에 필요한 의견을 내지 않고, 또 어떤 사람이 제시한 것에 평가를 하거나 찬반을 표시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구기욱, 2016) 나아가 퍼실리테이터란 구속하거나 지배하지 않으면서 리더십을 발휘하며, 퍼실리테이터 자신을 중요해 보이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집단의 성공을 이끄는데 집중하는 사람이라는 Bens(2008)의 말과 연결된다.   


학습분야의 퍼실리테이터는 구성원이 학습 성과를 이룰 수 있도록 올바른 방향을 안내하고 제시하며, 경험 학습 증진을 위해 환경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Macneil, 2001). 퍼실리테이터는 집단의 목적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하여 학습 및 문제 해결을 촉진하고, 의사소통을 촉진하며 집단 활성화를 촉진한다(Kolb et al., 2008).  


Weaver & Farrell(1997)의 주장에 따르면 조직에서 퍼실리테이터는 급격한 환경변화 속에서도 개인과 집단, 조직 전체가 주어진 임무를 성공적으로 완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람으로서, 조직의 변화 과정을 이해하고, 활용하여 구성원들이 변화에 잘 적응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 업무에 집중할 수 있게 하는 사람이다. 또한 구성원이 명확한 목표를 세울 수 있도록 지원할 뿐만 아니라 설정한 목표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정리하자면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은 질문하고, 정보를 제공하고, 조언하는 것을 통하여 자유방임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다(Courtright, Fairhurst, & Rogers, 1989). 


리더라고 불리는 사람, 변화를 위한 영향력을 발휘하고자 하는 사람, 조직에서 도움의 방법을 고민하는 사람, 가르치지 않으면서 학습을 일어나게 하려는 사람, 협업을 고민하는 사람, 혁신에 대한 새로움을 고민하는 사람, 성과의 다른 방법을 고민하는 사람.... 등등에게 필요한 기술이다. 이 기술의 저변에 조금은 더딜지도 모를 인생을 관통하는 가치에 대한 물음은 입문, 그다음에 나누도록 하자. 


남서진 CPF(Certified Professional Facilitator/IAF)


REFERENCE  

구기욱(2016). 반영조직. 쿠퍼북스  

호리 기미토시(2004). 퍼실리테이션 테크닉 65 (임해성 역.). 서울: 비즈 니스맵. 

Bens, I(2008). Facilitation at a glance: A pocket guide of tools and techniques for effective meeting facilitation(2 nded.). New Hampshire, NH: Goal QPC 

Bostrom, R. P., Anson, P., & Clawson, V. K.(1993). Group facilitation and group support systems. In L.  

Courtright, J.A., Fairhurst, G.T., & Rogers, L.E.(1989). “Interaction patterns in organic and mechanistic system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2, 773-802.  

Doyle, M., & Straus, D(1993). How to Make Meetings Work! New York: Berkley Books  

Hunter, D. (2007). The art of facilitation: The essentials for leading great meetings and creating group synergy. San Francisco: Jossey-Bass. 

Kaner, S(2014). Facilitator's guide to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John Wiley & Sons. 

Kolb, J. A., Jin, S., & Song, J. H(2008). “A model of small group facilitator competencies.” Performance Improvement Quarterly, 21(2), 119-133. 

Macneil, C(2001). “The supervisor as a facilitator of informal learning in work teams”. Journal of Workplace Learning, 13(6), 246-253 

Oxford Learner’s Dictionaries(2016). Retrieved Aug 6, 2016, from http://www.oxfordlearnersdictionaries.com/definition/english/facilitation?q=facilitation  

Schwarz, R(2002). The skilled facilitator: A comprehensive resource for consultants, facilitators, managers, trainers, and coaches. John Wiley & Sons. 

Schwarz, R(2006). The facilitator and other facilitative roles. Organization Development: A Jossey-Bass reader. San Francisco: Jossey-Bass. 

Weaver, R. G., & Farrell, J. D(1997). Managers as facilitators: A practical guide to getting work done in a changing workplace. San Francisco, CA: Berrett-Koehler Publishers.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2016) Retrieved Aug 6, 2016, from https://en.wikipedia.org/wiki/Facilitation 

Wilkinson, M(2004). The secret of facilit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