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TomJeong Feb 17. 2024

블록체인 게임산업 도전기 - 1

블록체인 게임으로 기존의 거물 게임사를 넘어설 수 있을까?

기존 게임 산업에서는 이미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따라가려는 경향이 뚜렷합니다. Web3에서는 위메이드의 블록체인 수익 창출 방식을 목격한 이후, 많은 기업들이 이와 유사한 구조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메인넷 개발의 필요성부터 게임별 토큰과 NFT의 도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많은 이들이 블록체인을 글로벌 데이터베이스로, 월렛을 사용자의 인벤토리로 간주하며, 아이템베이나 아이템매니아와 같은 플랫폼에서의 토큰과 NFT 기반 거래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를 추구하면서, 왜 굳이 우리가 메인넷을 개발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은 더욱 중요해집니다. 메인넷 개발은 비용이 많이 들고 경쟁이 치열하며, 심지어 국내 최고의 개발자들을 보유한 카카오와 라인조차도 실패한 전례가 있습니다. 대부분 이더리움의 포크넷을 개발하는 수준에서 그치고 있어, 높은 위험 대비 낮은 수익률이라는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반면, 다른 메인넷들은 콘텐츠에 상당한 투자를 하고 있으며, 결국에는 강력한 사용자 기반을 가진 메인넷과의 협력을 통해 콘텐츠를 게시하는 것이 최선의 전략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넥슨이 추구하고 있는 전략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엔픽셀과 같은 회사들의 블록체인 프로젝트는 실패로 돌아갔습니다. 이는 기존의 성공적인 게임 개발 방식을 알고 있는 기업들이 왜 새로운 도전에 나서며, 국내에서 쌓아온 이미지를 손상시키고 비난을 받아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합니다. 토큰 이코노미와 관련된 문제, 해킹 사건, 토큰 가치의 급락 등 다양한 이슈가 투자보다는 절약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강화시키고 있습니다. 결국, 큰 규모의 회사들이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블록체인 기술과 게임 산업의 결합은 여전히 많은 도전과 기회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경로를 따르는 것에서 벗어나, 진정으로 혁신적인 접근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게임 산업 내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며, 새로운 수익 모델을 창출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작가의 이전글 팀원이 내 프로필 사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