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삼풍 참사 기적의 생존자들, 기억하고 있을까

드라마 '그냥 사랑하는 사이'의 먹먹함과 위안이 주는 여운


불편하니까, 시간이 지났으니까, 보상금을 받았으니까,
그렇게 잊기 시작하면 안 되잖아요. 그러니까 자꾸 같은 일이 반복되죠



건물 붕괴 사고에서 극적으로 살아남은 두 남녀가 자신의 트라우마를 마주 보며 상실의 고통을 극복하고 서로의 상처를 안아주는 과정을 그려낸 JTBC 멜로드라마 <그냥 사랑하는 사이>를 최근 넷플릭스 정주행을 통해 보게 됐다.


이 작품은 지난 1995년 서울 강남의 한 복판에서 발생한 삼풍백화점 붕괴사고를 직접적인 소재로 하여 당시 501명이 사망한 끔찍한 사고에서 기적적으로 생존한 사람들이 지금은 무얼 하고 있을까란 기억을 되살리게 만든다.

끔찍한 참사가 벌어지고 한반도 전체가 침울해진 상황 속에서 혹시라도 있을 구조 소식에 TV 방송과 미디어에 눈과 귀를 기울이던 중 각각 사고 발생 11일, 13일, 17일 만에 무너진 건물 더미에서 가족의 품으로 돌아온 생존자 최명석(20세), 유지환(18세), 박승현(19세)씨의 기적인 구조는 하루아침에 무너져버린 대한민국을 다시 세울 희망과 의지를 상징하는 사건으로 기억된다.


특히, 가장 마지막으로 구조된 박승현 씨는 당시 물도 먹지 못한 극한의 상황에서 빗물을 받아 목을 축이면서 17일(377시간)을 견뎠음에도 비교적 건강한 상태로 구조돼 국민들을 놀라게 했다. 모든 외부와의 소통이 단절된 공포스러운 상황 속에서 사람의 의지로 17일을 버틸 수 있다는 데에 놀랐고 그의 생존은 말 그대로 인간 승리의 드라마가 되었다.




삼풍 참사 5주기에 박승현 씨는 "매년 대형 사고가 되풀이되는 현실을 지켜볼 때 삼풍 참사는 결코 잊혀서는 안 될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 삼풍 희생자 위령탑 명단에 새겨진 아는 언니들의 이름을 볼 때면 나도 모르게 눈물이 난다"라고 전한 바 있다.

카메라는 붕괴 사고의 피해자와 유가족의 시선에서 섬세하게 사람들의 감정과 심리를 포착해내고, 불편하거나 시간이 지났다고 망각할 것이 아니라 또렷이 기억해야 이러한 대형 사고들이 반복되지 않는다고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외에도 성수대교 붕괴, 세월호 참사나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등 숱한 재난이나 사고를 겪었던 우리의 자세를 일깨운다.


드라마 <그냥 사랑하는 사이>는 한순간에 자신의 인생을 바꿔 놓은 사고를 겪은 두 남녀의 이야기를 드라마틱하게 그려냈다. 거칠지만 단단한 뒷골목 청춘 강두(이준호 분)와 무엇이든 다시 꼼꼼히 챙기는 건축모형 제작자 문수(원진아 분)의 만남과 운명적인 사랑을 통해 그날의 사건을 미스터리 형식으로 조각을 맞춰나간다.




 

알코올 중독인 엄마와 끝이 똑같은 꿈을 꾸며 사고 트라우마를 안고 사는 문수와 사고 당시 건물 잔해 더미에서 함께 있었던 또래 소년의 환영에 고통을 안고 사는 강두는 어딘가 닮은 부분이 많다. 드라마는 이들이 역경 속에서도 자신의 신념을 굽히지 않고 또 다른 불행을 막는 모습을 그려낸다.


문수는 사고 후유증에 따라 폐쇄공포증으로 인해 엘리베이터를 타지 못해 심부름으로 16층 건물 계단을 힘겹게 오르다가 계단을 내려오는 강두와 처음으로 마주치는데, 강두 역시도 축구선수 유망주로 건물 붕괴 때 무릎에 구조물 잔해가 관통해 날개가 꺾인 청년이다. 두 사람은 생존자인 동시에 사고 유가족이기도 하다.


욕을 좀 먹어줘야 우리 연수 먼저 보낸 거 안 잊어버리지
엄만 기억해야지 이게 다 내 잘못인데



아역모델 유망주인 동생 연수와 백화점에 함께 갔던 문수는 짝사랑했던 동네 오빠 성재와의 데이트를 꿈꾸다가 눈앞에서 동생을 잃었고, 그 후유증으로 집안은 풍비박산되어 아빠와 엄마는 별거하고 연수의 죽음을 기억해야 한다며 술에 의지한 채 엄마는 하루하루를 힘겹게 버텨 나간다.


강두 역시도 백화점 증축 공사 책임자인 아빠를 보러 왔다가 눈앞에서 아빠를 잃고 가해자들은 아빠에게 건축 자재를 빼돌렸다는 오명을 사망자 보상금도 받지 못한 채 그날의 진실에 다가서기 위해 다시 공사장으로 향한다.





특이한 건 극 중 캐릭터들이 지닌 삶의 방식이다. 대형 버스 운전으로 가족을 돌보지 못했던 아빠는 사고가 난 백화점 인근에서 분식집을 하면서 딸의 죽음을 잊지 않으려 하고, 다시 무너져 버린 잿더미에 화려한 바이오타운을 짓겠다는 가해자들의 모습을 목도라도 하려는 듯, 한 명은 건축사사무소 직원으로 다른 한 명은 현장 괸리 인부로 사고의 실체에 접근해간다.


주변 사람들이 이들을 바라보는 시선은 계층 간의 혐오인데, 이들을 더욱 공고하게 만드는 것은 사채업자 출신으로 야매 약방을 열어 이주 노동자들에게 의료 행위를 하는 숙희 할멈(나문희 분), 일방적으로 당하던 거리 폭행에서 강두에 의해 살아난 유흥주점 마담 마리(윤세아 분) 등 의리와 선한 영향력으로 결속된 공동체이다.


특히, 참혹한 사고 현장을 기적의 생존자가 재건하여 추모 공원을 건립한다는 가해자들의 검은 속내에 도구처럼 사용될 것이 뻔하지만 극 중 추모비를 해머로 깨버린 강두나 수습되지 않은 유골을 우려해 공사를 중단시키는 등 계란으로 바위를 수 백번에 걸쳐 치면서 결국 바위를 깨뜨리는 두 청년의 이야기는 깊은 감동과 여운을 전한다.




최근 OTT에서 화제를 모았던 사극 <옷소매 붉은 끝동>에서 정조 이산 역으로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였던 이준호는 이번 작품에서 거칠면서도 따뜻한 내면을 지닌 강두를 잘 소화해냈다. 극 후반부에서는 다른 사람들이 그를 살리고 싶은 욕심이 생길 정도의 선한 영향력을 지닌 인물로 변신해 안방극장에서 블루칩으로 주목받고 있다.


원진아 역시 안방과 스크린을 오가면서 다양한 캐릭터 연기로 주목받고 있는데, 이 작품에서는 사고 후에 동생을 지키지 못했다는 죄책감으로 인해 마음의 상처를 숨긴 채 평범한 일상을 살아가다가 강두를 만나면서 자신의 트라우마를 직면하고 이를 극복해나가는 캐릭터로 변신해 담담하며 섬세한 연기력이 주목된다.


오랜 연륜이 쌓인 나문희의 주옥같은 명대사와 실성한듯 신들린 듯 온몸으로 연기하는 문수 엄마 역의 윤유선의 존재감이 빛나는 이 드라마는 성수대교 붕괴를 소재로 한 영화 <벌새>,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소재로 한 영화 <힘을 내요, 미스터리>와 함께 '우리가 해야 할 일은 기억해야 하는 것'이라며 재난 속에서 트라우마를 극복해나가는 사람들의 힘겨운 삶을 조명하고 우리에게 작은 위안을 전한다.


슬픔과 폐허 속 기적의 생존자들, 우리는 아직 기억하고 있을까?

/소셜큐레이터 시크푸치

매거진의 이전글 고통스러운 기억이냐 슬픔 없는 행복이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