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사색 기록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전주은의 공부장 May 24. 2024

90만 구독자를 보유한 김지윤박사님의 대충이 없는 자세

자극의 지점이 깊었던 EO의 인터뷰(1)

인생은 달리기 같아요

진짜로 너무 힘들어요 달리기는  


"내가 미쳤지 이걸 왜 하고 있나"


막 이런 생각이 드는데

아마 다른 분들도 그럴 거예요

같이 러닝 하는 사람들은-


저쪽 반대쪽에서 달려오는 사람들을

이렇게 보면서 동질감을 느끼는 거죠


"저렇게 열심히 잘 달리고

나보다 멀쩡해 보이지만

사실은 저 사람도 속으로는

되게 힘든 사람이야

지금 당장 그만두고 싶을 거야"


"저렇게 멀쩡한 얼굴을 하고

빨리 달릴 수 있기까지는 진짜

오랜 시간 동안 꾸준히 달린 사람일 거야"

이런 생각을 해요


그게 인생에서 꽤 도움이 돼요

그래서 달리기를 좋아하는 거예요


내가 온전하게

나를 컨트롤할 수 있는 게 달리기예요

살다 보면 나랑 전혀 상관이 없는 일인데

나한테 타격을 주는 일들이 생기잖아요


내가 어떻게 할 수 없는 일이야 라는 게

되게 많은데 달리기는 그냥 나가서

내가 두 발로 뛰는 거잖아요


세상에 몇 안 되는 완벽하게 내가

컨트롤을 해서 할 수 있는 일이 달리기예요 ❞


요새 내가 꽂혀있는 통제감에 대한 이야기다. 이 영상을 다시 보니까 책 두 권이 머리에 쓱 스쳐간다. 두 권의 책은 후반에서 소개해야겠다. 깊게 읽고 싶고 또다시 푹 독서에 빠지고 싶어 진다.


너희 직업을 가지고

너희가 할 수 있는 걸 하고 꿈을 펼치고

뭐 이런 얘기를 많이 해주셔서


그게 굉장히 특별했던 느낌이 들고

집에서 항상 클래식 음악 오페라를 들려주고

뭐 운동 같은 것도 많이 시키고-


그게 제가 자라고 나니까

어마어마한 자산이 됐구나 느껴요


그래서 아버지 덕분에

그 유명한 문화적 자산 아비투스

그걸 딱 얻게 된 거죠


그 부분에 대해서 되게

감사하게 생각을 하고 있어요 ❞


빠지지 않는 클래식이 주는 문화적 교양. 이런 대목을 들으면 내가 하고자 하는 교육과 내가 아이들에게 주고 싶은 게 단순한 게 아니라는 생각이 들어서 더 힘이 생기고 의지가 끈적해지는 기분을 느낀다. 그냥 아이들 입에 맛있는 솜사탕을 쏙 넣어주는 게 아니라 정말 영양가 높은 음식을 정성스레 먹여 주는 그런 기분이 든다. 나는 이 마음이 유지되고 무럭무럭 자랄 수 있게 노력이란 것만 하면 된다.


이게 되게 의미가 있다고

생각을 해 본 적은 별로 없는 거 같아요

그걸 생각하는 순간 재미가 확 떨어져요

그냥 재미있어서 해야 되는 거예요


그냥 이거 읽다 보니까 너무 재밌고

"어 이게 아귀가 맞네"

"오 이게 이래서 이런 거였어"

뭐 요렇게 나가야 되는 거지


"아 내가 하는 것은 인류의 뭐 기여를 하고"

뭐 이런 생각하면은

이제 딱 재미가 떨어지는 거거든요 ❞


너무 거창하게 각 잡고 뭔가를 하려 하지 말고, 내 마음의 호기심과 흥미, 재미가 나를 이끄는 곳으로 즐겁게 즐기면서 하자고 다시 다짐하게 되는 부분이었다. 그렇게 해야 오래 내가 하고 싶은 걸 할 수 있을 거 같다.


 정치학은 어떤 현상이

왜 일어났는지를 연구를 하는 거란 말이에요

우리가 바라보고 있는 이 세계는 아웃풋의 세계예요


그러니까 하나의 현상

결과물에는 항상 원인이 있어요

그런 거에 호기심을 느끼기 시작을 하는 거죠


그러다 보니까 그 원인을 파헤치게 되면서

이제 정치학을 공부를 하게 된 거죠

그런 걸 제일 재밌어하는 거예요 


결국에는 정치학도 따지고 들어가면

사람을 공부하는 거예요

사람의 행동에서 이게 사회 행동으로 가고

이제 국가로 나오고 그러는 거니까


사람의 행동을 어떻게

한 가지 원리로 설명을 할 수가 있겠어요

뭐 이것도 있고 저것도 있고

내 안에는 여러 내가 있는데


어쩔 때는

내가 말하는 게 더 타당성이 있는 거 같고

어떨 때는

저쪽이 말하는 게 더 타당성 있는 거 같은데


서로 간의 다른 의견을 교환하는 거니까

승자도 없고 패자도 없어요 거기는

그래서 재밌는 거죠 ❞


사람의 행동이 사회의 행동이 되고, 그게 국가의 행동이 된다는 말을 의식하고 싶다. 그래서 계속해서 말하는 나 하나쯤이야 라는 태도를 경계해야 되는 것. 누군가의 무언가가 좋아 보여서, 그 좋은 것만 취하려고 할 때 우리는 허수를 두기 쉽다. 그 사람이 그 좋은 모습을 발현해 내기까지의 수많은 시행착오를 그대로 구현하지 않았으니까.


모든 것이 한 가지 원리로 이루어진 게 아니라 조각조각 작은 행동들이 모여서 나온 결과인데 그중에 좋은 것만 취하겠다? 균형을 절대 동일하게 잡아갈 수 없지 않나-  모든 문제 상황은 절대 하나의 원인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다는 걸 다시 생각할 수 있게 해 줘서 이 영상 중 가장 꽂혔던 부분이다.


연세대를 졸업하고

UC버클리에서 석사를 하고

MIT에서 박사를 하신 분


미국에서 열심히 살아준 우리 언니 덕분에 내 인생에 UC버클리 출신의 찐친들이 많고, MIT생들의 삶을 간접적으로나마 들을 수 있다. 이건 나에게 굉장히 신선하고 긍정적인 자극이 되어준다. 그래서 더 김지윤 박사님의 이야기들에서 어딘가 내적 친밀감이 생기면서 더 재미있게 인터뷰를 감상했던 거 같다.


영상에서 굉장히 인상 깊었던 점은 근시안적으로 산다고 말씀하시는 부분이었다. 근데 이 말은 맥락적으로 흡수해야 한다. 이후에 상당한 노력파라고 다시 자신에 대해 소개하셨는데 주어진 것에 굉장히 열렬히 최선을 다하신다는 것. "어쩌다 보니까 하게 된 일을 되게 열심히 해요" 이 대목이 우리가 배워야 할 지점이 아닐까?


머리 굴려 계산하고 이득과 손실을 따지며 장기안적으로 나한테 도움 되는 일만 쏙쏙 하는 게 아니라 주어진 지금의 일, 어쩌다가 내가 하게 된 일에도 죽을 만큼 최선을 다한다는 것. 그 한 걸음 한 걸음이 모여 지금의 박사님을 있게 한 것.


그래서 유독 이 영상에서는 그녀의 허투루 하지 않는 태도와 집요함을 엿볼 수 있는 부분들이 무척 좋았다.


 예를 들어 방송 활동 같은 경우도

대본을 받으면 단 한 번도 거기에 제가 다시

'어떻게 말하면 가장 좋을까'

'이렇게 하면 가장 잘 전달이 될 거야'라고

재구성을 안 해서 들어간 적이 없어요


저희 같은 전문가들을

방송 뉴스에서 불러서 코멘트 듣고 하잖아요

이게 한 10분에서 뭐 길어야 15분 정도거든요

질문이 한 10개 15개 정도 나와요

그러면 저는 답변을 다 써요

머릿속에서 정리를 제대로 할 수 없으니까

일단 다 쓰고 연습을 하고 그러고 들어가

일전에 제 동료였던

한 박사가 그 얘기를 하더라고요


"그거 나가 갖고 받는 돈이 사실 얼마 안 되는데

너 시간을 거기다 뭐 하러 그렇게까지 낭비를 하냐"

 

뭐 방송사마다 좀 다르겠지만
뭐 한 10-15만 원-

많이 줘도 20만 원요 정도거든요

근데 성격상 그게 안 되는 거예요 저는


그래서 그거 하나 자신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저는 항상 열심히 했어요


모든 원하든 원하지 않든 주어진 일이면

일단은 열심히 해야 된다라는 생각을 갖고 살았고

그게 잘 되니까는 이제 계속 불러 주시고

그랬던 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거든요


어쩌다 주어진 것에 우리는 어느 정도까지 열심히 하는 사람인지. 내가 어느 정도까지 책임을 갖고 매진하는지. 그런 걸 돌아보기에 너무 흥미로운 에피소드다. "너무 희생하지 마라" ”너 거 하는 게 낫지 않냐” 이런 말을 꽤 듣고 살아온 편이라 이런 살아있는 에피소드는 나에게 정말 깊은 긍정적인 자극을 준다.


대체 내 거가 뭔데? 돈으로도 움직여지지 않는 게 신념과 철학이다. 그리고 거기에서 얻는 경험, 그게 쌓이고 쌓여 결국 내 실력이 되는 것.


제가 힘들 때 생각을 하는

그림이 하나 있어요

새가 개구리를 잡아먹는데

반쯤은 입안으로 들어갔어요


그림을 보면 바깥에 개구리 다리만

이렇게 나와 있어요 머리는 들어가 있고

이 개구리가 새 목을 딱 잡고서는 조르고 있어요

이게 삼키지도 뭐지도 못하는

이상한 상황이 된 거예요 새 입장에서는


근데 그 그림의 제목이

"never ever give up"이에요


아주 옛날에 봤는데
지금까지도 조금 힘들 때는

그 그림을 생각을 해요


진짜로 이 인생이란 놈이 나를 집어삼키기 전에
모가지는 내가 계속 비틀어 놓겠다

끝까지 한 번 해 보자는 거죠 ❞  


어떻게든 끝까지 해보겠다는 투지를 이렇게 시각화하다니


❝ 오기는 와요

우리가 바라는 만큼의 대박은 아니더라도

소소하게 성과를 내면서

우리한테 기쁨을 주는 순간들은 분명히 와요 ❞


다시 보니 마지막으로 이 부분 참으로 좋았다.


소소하게 성과를 내면서 나에게 기쁨을 주는 순간들이 분명 있었는데 내가 바라는 만큼의 대박이 아니라서 격려해주지 못하지는 않았는지 돌아보게 됐다. 또 존경하는 인물로 링컨을 말씀하셨는데.. 나도 링컨의 정신력에 오랜만에 다시 취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혼돈의 시대 리더의 탄생을 쭈욱 재독 해야지.






이 영상을 보면서 떠올랐던 사회 과학 실험을 기반으로 이뤄진 명저들이다. 그녀의 인터뷰를 다시 정독하고 생각을 훑어보니 내가 왜 이 인터뷰가 좋았는지 알 것 같았다. 이렇게 읽고 싶은 책도 더러 떠올랐고, 조금 더 열심히 살고 싶어졌다. ㅎㅎ






여러분도 풀버전 꼭 봐보세요 :)

[화려한 커리어 뒤의 절박함과 달리기에서 배운 삶의 지혜] 편




김지윤 박사님 편이 두 편으로 올라갔는데 다른 영상 속에서도 좋았던 부분입니다.


새가 이렇게 둥지에서 알을 품고서 깨어나게 되면 이제 먹이도 물어다 주고,

어느 정도 됐다 그러면 이 어미새가 아기새를 뭐 바닥에 놓는데요

그래서 이제 멀리서 지켜본다는 거예요


그 아기새가 결국엔 비상을 해서 날아가잖아요

그 순간이 아기새는 독립적인 존재가 된 거고

사실은 그게 가능해야만 얘가 새로서 살아갈 수 있는 거겠죠


그래서 엄마가 가장 기다리던 순간인 거죠

아기새가 비상을 하는 순간을


근데 그러고 나면 다시는 아기새를 못 본대요

그니까 이 순간은 엄마가 가장 기다리고 기뻐해야 되는 순간인데

또 엄마한테는 가장 슬픈 순간인 거죠


그 이야기를 되게 생각을 많이 해요

결국에 우리의 책임이나 의무는 제대로 된 성인을 만들어 주는 거거든요
그럼 성인이 되면 떠나가야죠


준비 중에요 그 마음가짐을- ❞



매거진의 이전글 비전으로 움직이는 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