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이전글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짧지식 Mar 03. 2020

밀레니얼 세대에 대하여

밀레니얼 세대는 과연 어떤 세대일까?

1. 밀레니얼 세대란

밀레니얼 세대는 통상 1981년부터 1996년 사이의 출생자를 한 세대로 기준 지어 부르는 용어이다. 현재 청년층에 해당하는 세대가 바로 이 밀레니얼 세대이다. 이 세대의 가장 큰 특징이라면, 어릴 적부터 첨단기술을 접할 기회가 있었다는 점이다. 이전 세대에 비해 개인적이며, 소셜 네트워킹에 익숙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한 줄 요약 : 밀레니얼 세대는 1981~1996년 출생자를 일컬어 부르는 용어



2. 밀레니얼 세대의 특징

(1) 개인적인 성향

밀레니얼 세대는 이전 세대에 비해 훨씬 더 개인주의적 성향을 띄고 있다. 다른 사람의 눈치를 보기 보다는 '나' 자신에게 집중한다. 따라서 이전 세대에 비해서는 직장 및 사회생활에 큰 의의를 두지 않는다. 심지어 직장에서 조차 자신만의 공간과 시간을 가지고 싶어 하기도 한다. 회식 참여에 큰 의미를 두지 않고, 점심시간에는 혼자 밥을 먹는 경우도 많다. 상대방이 나이가 많다고 해서, 혹은 직급이 더 높다고 해서 무조건 순응하지 않는다. 사회적 권위보다는 상대방의 능력을 더 중시한다. 일보다는 퇴근 후 취미 생활에서 더 큰 행복과 만족감을 얻는다. 따라서 워크 앤 라이프 밸런스 (워라밸)를 중시하고, 투잡, N잡러가 되어, 취미를 제 2의 직업으로 활용하는 사례도 종종 나타난다.


(2) 효율을 중시한다

밀레니얼 세대는 필요 없는 절차와 보고는 지양하고, 효율을 최고로 중요하게 생각한다. 감정에 호소하기보다는 이성적으로 업무를 진행하는 것을 선호한다. 이 일을 내가 왜 하고 있지?라는 생각이 든다면, 당당하게 건의할 수 있는 세대이기도 하다. 출퇴근과 업무시간을 명확하게 지키는 것도 밀레니얼 세대의 특징 중 하나이다. 자신이 소속되어 있는 조직에서 더 이상 발전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면, 거침없이 뒤돌아서기도 한다.


(3) SNS를 애용한다

밀레니얼 세대는 자신이 경험하고 있는 일상을 거침없이 드러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별한 것이 아니더라도, 출근길, 아침 식사, 데일리룩 등 일상의 사소한 것까지 공유한다. 공유는 주로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과 같은 SNS로 이루어진다. 뿐만 아니라 자신의 무기력함이나 사회의 불합리한 요소들도 SNS로 쉽게 표현하고 퍼나르기도 한다.


- 한 줄 요약 : 밀레니얼 세대는 개인적이고, 효율을 중시하고, SNS를 애용하는 특징이 있다.



3. 밀레니얼 세대는 왜 이렇게 되었을까

현재 밀레니얼 세대의 범죄율은 역사적으로 가장 낮은 수준이다. 실제로 대검찰청에서 나온 범죄 발생비 그래프를 보면, 18세 이하와 61세 이상을 제외하고는 19~30세의 범죄 비율이 가장 낮다. 범죄율과는 반비례로, 대학 진학률은 밀레니얼 세대가 역대 가장 높다. 한 마디로 밀레니얼 세대는 하지 말라는 건 다 안 하고, 시키는 건 누구보다 열심히 하면서 체제에 순응하며 자란 세대이다.


그렇게 열심히 착하게 살았지만, 막상 졸업 후 현실은 녹록지 않다. 공부하느라 빛은 빛대로 쌓이고, 사회에 나와보니 취업하기는 힘들고, 임금도 터무니없이 적다. 자연스레 밀레니얼 세대는 존재의 위기를 겪게 된다. 이 시기에 개인이 할 수 있는 건 사실상 없지만, 반대로 디지털 미디어나 SNS가 발달하면서 자신의 무기력함이나 사회의 불합리한 요소들을 표현하고 퍼나르는 것은 너무 쉬워졌다. 이런 사회적 배경을 본다면, 밀레니얼 세대는 변할 수밖에 없지 않았을까.


- 한 줄 요약 : 하라는 대로 착하고 열심히 살았지만 사회는 이를 보장해주지 못했다.


* 유튜브 : https://bit.ly/2XOPktn

* 팟캐스트 : https://bit.ly/2LOVuTE

* 밴드 : https://band.us/@knowledge

* 이메일 : marksknowledge@gmail.com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