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전통무용 유네스코 등재 기원 대형 춤판 벌어진다

9~12일 남산국악당서 ‘2022 한국명작무대제전’

춤 명인 15명 명작무를 중견 전통무용가 100여명이 공연 

‘유네스코 등재기원 2022 한국명작무대제전’을 오는 9일부터 12일까지 4일간 서울남산국악당에서 열린다.

부채춤, 살풀이춤, 승무, 태평무 등 대대로 전승돼 온 우리 전통무용을 유네스코(UNESCO)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시키기 위한 범 전통무용계 릴레이 춤판이 벌어진다.      


한국전통문화연구원(원장 인남순)은 ‘유네스코 등재기원 2022 한국명작무대제전’을 오는 11월 9일부터 12일까지 4일간 서울남산국악당에서 연다고 30일(보도자료 배포일) 밝혔다.    

  

이번 공연은 ‘한국 무용의 정전(正典)! 천년의 전통무용 대서사시’란 주제로 전통무용의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등재를 기원하는 전통무용 명인 15명이 나흘 동안 34개 작품을 선보인다.  이들과 함께 연인원 100명 가까운 전통무용가들이 출연해 무대를 채운다.   

   

첫날에는 이매방 류의 한량무·승무, 송화영 류의 교방입춤, 최선 류의 호남살풀이춤, 김백봉 류의 부채춤 등을 안덕기, 고재현, 임미례, 안귀호 등이 8개 작품을 풀어낸다. 2일 차에는 민천식 류의 화관무, 신관철 류의 수건춤, 한영숙 류의 태평무를 들고 차지언, 박윤미, 홍지영 등이 출연해 9개 작품을 공연한다.   

             

셋째 날은 김수악 류의 구음검무, 조흥동 류의 진쇠춤·한량무, 최현 류의 신명 등을 장인숙, 김정학, 원필여 등이 9개 작품을 무대에 올린다. 마지막 날에는 김천홍 류의 처용무·무산향·승무를 정금희, 최순희, 나연주 등의 춤사위로 만나볼 수 있다. 특히 김천홍 류의 살풀이는 전수자인 인남순 원장이 직접 선보인다. 이와 함께 김수악 류의 애란, 박병천 류의 진도북춤은 차명희, 이경화 등 모두 8개 작품이 선보인다.    

        

이번 한국명작무대제전은 현장에 있는 전통무용가들이 우리 전통춤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하는 데 힘을 보태는 작업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유네스코에 따르면 무형문화유산은 공동체와 집단이 환경, 자연, 역사의 상호작용에 따라 끊임없이 재창해온 각종 지식과 기술, 공연예술, 문화적 표현을 아우른다.  

    

무형문화유산은 공동체 내에서 공유하는 집단적 성격을 가지며 생활 속에서 주로 구전과 표현 등으로 전승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세계화와 급속한 도시화, 문화 통합 정책과 더불어 젊은 세대의 관심 부족으로 인해 많은 무형유산이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이번에 열리는 한국명작무대제전은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등재를 통해 전통무용 전승과 세계화를 위한 민간 전문가들이 주축이 된 첫 단추란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한국전통문화연구원 인남순 원장은 “이번 무대는 전통무용 지도자들의 의무이자 사명인 무용예술유산을 국민과 함께 향유하고 올곧게 계승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시간”이라며 “이를 기반으로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기를 소망하는 전통무용 예술인의 염원을 담은 무대”라고 말했다.      


인 원장은 “돌이켜보면 천년 가까이 계승발전해온 우리 춤은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K-컬처 바탕이 됐다”며 “역사의 흐름 속에 전해지는 우리 춤의 가치는 무한한 문화 콘텐츠 광맥”이라고 덧붙였다.  

     

티켓은 R석 5만 원, S석 3만 원으로 인터파크티켓에서 판매한다. 이번 공연은 서울남산국악당과 한국전통문화연구원이 공동기획하고 서울시와 한국무용협회 등이 후원한다.         

<사진 설명>

‘2022한국명작무대제전’에서 무대에 올라 전통무를 추는 출연진들. 좌측 상단부터 안덕기(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교수), 고재현(송화영교방춤보존회 회장), 임미례(전라북도무형문화재 제15호 호남살풀이춤 이수자), 안병주(경희대학교 무용학부 학부장), 차지언(황해도무형문화재 제4호 화관무 예능보유자), 박윤미(전북무형문화재 제59호 수건춤 이수자), 김호은(계원예술고등학교 한국무용 전임), 유영란(단국대학교 무용과 초빙교수), 홍지영(대전시립연정국악단 상임안무자), 김용철(천안시립무용단 예술감독), 장인숙(서울교방 동인), 김정학(전 경기도립무용단 예술감독), 강윤선(국가 무형문화재 제92호 태평무 이수자), 김연정(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이수자), 정혜진(서울시 무용단 단장), 인남순(한국전통문화연구원장), 이경화(오연문화예술원 이사장), 차명희(春堂김수악전통예술보존회 회장), 유정숙(김진걸산조춤보존회 수석부회장)  



작가의 이전글 한때 신라 땅 불광역엔 손맛 가득한 맛집 천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