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시니 Feb 26. 2022

04. 누가 우리 '재미'를 못 보셨나요?

'덕업 일치'를 꿈꾸던 직장인의 현실 직시 에세이




내가 전 직장을 어떤 마음으로 퇴사했는지 잘 아는 친구들은 오랜만에 나를 보면 다들 비슷한 질문을 한다. 



“옮긴 회사는 괜찮아?" 



스스로를 내색하지 않는 편이라고 생각했음에도 이렇게 걱정을 끼친 것을 보면 어지간히 징징거렸나 싶은 마음에 부끄러움도 슬쩍 밀려든다. 괜찮냐는 한 마디에 얼마나 복합스러운 걱정이 묻어있는지를 잘 안다. 



"같이 일하는 사람들이 좋아서 좋아. 만족스러워." 



무엇보다 좋은 사람들을 만났기에 당분간은 이직 생각이 없는 것이 사실이다. 그다음으로는 늘 비슷한 물음이 두 번째로 온다. 



"재미는 있어?” 



재미.   



“재미는 그냥 뭐… 너는 있냐?”



"그럴 리가. 그래도 넌 글 쓰는 거 좋아하니까. 좋아하는 일 하면 재밌지 않아?”






스타트업의 에디터로 자리를 옮긴 지 1년 6개월째. 함께 하는 팀원들도 정말 무해한 사람들이라 즐겁고, 쉽진 않지만 업무 시간을 꽉꽉 채워 잘만 쓰면 칼퇴도 가능하다. 업무 난이도가 너무 낮아서 오히려 힘들었던 전 직장과 달리 여기선 종종 어려운 일에도 부딪히지만 스스로 머리를 싸매고 고민하며 얻는 결과가 명확한 곳이기도 해서 좋다. 


전체적으로 후하게 봐주자면, 재미가 없는 편 보다는 있는 편에 가깝다. 그러나 그 재미들은 사람에서 오고, 일하는 방식에서 오는 것이지 엄밀히 말하면 글을 쓰는 행위 자체에서 오는 것은 아니다.  



처음엔 나 조차도 당황스러웠다.  


분명히 첫 직장, 두 번째 직장과 달리 만족스러운데. 글 쓰는 일을 좋아하고 집에 가면 책 한 페이지 읽기 싫어질 정도로 하루 종일 글자와 씨름을 하는데 왜 나는 즐겁지가 않은 거지? 내가 여태 내 적성을 잘못 생각하고 있었던 걸까? 글 쓰는 것을 천직이라고 여겼던 시간이 무려 30년(?)인데. 아뿔싸, 나는 적성이라는 것이 없는 인간이었구나. 


뒤늦게 길을 잃은 것 같다는 생각에 한 두어 달 정도는 그 무섭다는 인생 노잼 시기를 보내기도 했다. 이 때는 꽃꽂이, 필라테스, 롱보드 타기, 피아노 치기. 그럴싸해 보이는 취미를 다 섭렵했었다. 이제라도 늦은 적성을 찾아보려고. 



당시에 뭘 단단히 착각했었는지 지금은 어렴풋이 답을 안다. 어쩌다 보니 7년째 글을 쓰는 것으로 밥벌이를 하며 깨달은 게 있다. '회사'에서 내 글을 쓴다는 건 근본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 


기자일 때는 글에 내 생각이 들어가면 그건 아예 틀린 글이 되어 버렸고, 바이럴 마케터일 때는 무조건 콘텐츠의 노출 수만 중요했다. 에디터로 일하는 지금은 성과가 잘 나올 수 있는 글을 쓴다. 


이건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나는 글쟁이인 동시에 회사에서 회사에 보탬이 되는 글을 쓰는 대가로 급여를 받는 회사원이기 때문이다.


글쟁이들이 재미를 느끼는 순간은 키보드를 쉴 새 없이 두드리는 그런 단순한 찰나가 아니다. 


커다란 덩어리의 생각과 감정에서 내가 정말 말하고 싶은 부분만 한 움큼 떼내어 깨끗하게 씻고 말리고 뾰족하게 다듬어 마음 밖으로 꺼내놓는 과정. 나는 이 과정 전체를 글쓰기라 부르고 몇 시간이고 망부석처럼 앉아 백지를 기어코 빼곡히 메워 냈을 때 행복감을 가득 느낀다.


그렇지만 어떤 조직에 속해 글쟁이로서의 밥벌이를 하다 보면 이런 과정들은 싸그리 무시된다. 딱 지금 타이밍에 글 한편이 뚝딱 나와야 하는 일이 잦고 적재적소에 필요한 글을 빠르게, 목적에 맞게 쓸 줄 아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결과물만 놓고 보면 하나의 글이 탄생하는 것은 같지만 목적과 과정이 엄연히 다르다. 아예 완전히 다른 작업이 되어 버린다. 이게 바로 특히 글쟁이가 덕업 일치를 이루기 어려운 가장 큰 이유다. 







요즘은 덕업 일치 생각일랑 접어두고 그냥 따로 시간을 내어 재미를 느낄 수 있는 글을 쓴다. 브런치에 늘어놓는 글들도 온전히 나의 재미를 찾기 위해 쓰는 글들이다. 요구되는 목적 없이 활자와 활자 사이를 자유롭게 날 때 나는 비로소 즐겁다. 


덕업 일치가 미덕처럼 불리는 시대에, 업에서 그다지 재미를 느끼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불안해하거나 죄책감을 느끼지는 말았으면 한다. 억지로 덕과 업을 이어보려 하지 말고 재미는 가볍게 다른 곳에서 찾아보자. 



매거진의 이전글 03. 또라이의 이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