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세무사 변찬우 Jul 08. 2021

스마트스토어 사업자등록은?

안녕하세요. 국세청 경력 세무사 변찬우입니다.


인터넷쇼핑몰 중 스마트스토어를 가장 많이들 시작하시는 것 같은데요. 

그래서 오늘은 스마트스토어 사업자등록 관련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마트스토어 개인으로 활동중인데 부가세 신고해야하나요?


소자본으로 창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의류, 뷰티, 생활용품 등 다양한 품목을 아이템으로 하여 인터넷쇼핑몰 창업을 준비 중인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스토어팜) 관련하여 궁금하신 사업주분들이 계실텐데요.

타 인터넷쇼핑몰과 비교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기 때문에 스마트스토어 입점을 준비 중인 분들이 많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1. 현재 네이버 쇼핑 입점 수수료가 없고 노출에 있어서 타 쇼핑몰에 비해 유리합니다. 

2. 판매수수료가 타 쇼핑몰에 비해 저렴합니다. 

3. 별도의 pg사 연동이 필요하지 않습니다(네이버 페이에 자동으로 연동)

스마트스토어는 입점 시 개인과 사업자로 선택하여 입점이 가능한데요. 사업자 등록 시 간이과세자 선택과 매입세액공제 등 혜택이 더 크므로 무조건 사업자등록을 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스마트스토어 사업자등록 방법은?


사업자등록 시 필요서류로는 ①임대차 계약서(집에서 하는 경우 X) ②대표자 신분증이 필요합니다.


⑴ 세무서 방문 신청

⑵ 국세청 홈택스 온라인 신청


㉠ 국세청 홈택스 (https://www.home tax.go.kr/)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합니다.

㉡ 신청/제출 클릭 → 사업자등록 신청/정정 클릭 → 사업자등록신청 클릭 → 정보 및 인적 사항 입력


스마트스토어 업종코드는 525101 전자상거래/소매업입니다.
스마트스토어 부가세 신고는?


스마트스토어 부가세 신고자료는 스마트스토어 판매자 센터 로그인 → 정산관리 → 부가세신고메뉴에서 확인이 가능하며, 또한 다른 오픈마켓 채널을 이용중이라면 각 오픈마켓 판매자 센터에서 매출내역을 조회하여 구분한 뒤 합산해서 신고해야합니다. 홈택스에서 스마트스토어 매출 자료까지 일일이 체크되지 않기 때문에, 관리자 사이트에서 집계하셔야합니다. 

부가세 신고 매출자료는 부가세, 수수료 금액을 포함하고 있음에 하며, 스마트스토어 매출 계산은 정산금액+ 쿠폰 정산금액(네이버부담 쿠폰) + 일별 공제/환급금액으로 계산하시면됩니다. 오픈마켓 채널이 다양할수록 세무사사무실의 도움이 필요하게됩니다. 

스마트스토어의 부가세 신고 참고 자료는 부가세와 판매수수료 금액이 포함되어 있고, 구매확정일을 기준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사업자가 직접 관리하고 있는 자료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스토어 회원탈퇴를 한 경우에도 이미 판매한 실적을 신고하는 것이기 때문에 탈퇴한다고 해서 신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아니므로 부가세 신고는 반드시 해야 합니다!

이상으로 스마트스토어 사업자등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작가의 이전글 7월 부가가치세 신고·납부 안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