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오늘을 살게 하는 방법
23년 3월 14일,
오늘을 사는 아이
'아이 있는 삶'을 지속할수록 아이와 가까워지고 있다. 당연한 말로 보이지만 사실 그렇지 않다. 부모도 부모로, 한 아이를 키우는 게 처음이여서다. 여럿을 키워도 아이 하나하나가 모두 달라 더 그렇다. 지난해 8월 모든 게 서툴렀던 우리 모습이 눈에 선하다! 시간이 갈수록 아이와 함께 잘 지내는 법을 터득하고 있다. 지난여름, 아이를 처음 만나고 느꼈던 벅찬 감정은 작은 안정감으로 바뀌고 있다. 작고 작은 아이를 보며 우리가 얻은 게 많아서다.
우리가 은수를 만난 건 참 행운이다. 같은 월령에 비해 평온한 편인 아이는 우리를 보채지 않았다. 어떤 식으로든 아이를 제단 하는 건 옳지 않지만, 주변 아이들을 접하며 이는 분명해졌다. 조리원에서부터 지금까지 쉽게 달래 지지 않을 정도로 운 적이 거의 없다는 것만으로도 그렇다. 조리원 퇴소 후에 몇 주간 긴 잠에 들지 않아 고생했지만, 이마저도 다른 이들에 비하면 가벼웠다. 생후 50일 전후로는 5~6시간 이상 통잠에 들기 시작하며, 아이는 밤 사이 수유를 기다릴 때도 큰 울음소리를 내지 않았다. 200일을 넘긴 요즘은 10시간 이상 푹 잔다!
며칠 전이다. 엘리베이터에서 옆집 할머니를 만났다. 가깝게 지낸 사이는 아니지만 오가다 인사를 하고 지낼 정도는 됐다. 할머니는 나를 보더니 아기가 있는지 물으셨다. 얼마 전에 아이를 안고 나가는 모습을 봤다고 하셨다. 7개월 차 아이가 있는 집이니 옆집에 이래저래 민폐가 됐을 거라고 생각했다. 특히 밤이나 새벽시간 아이 울음소리는 큰 소음이 될 법해서다. 그런데 할머니는 아이를 키우고 있는지 몰랐다고 하셨다. 그전에 살던 집의 아이 울음소리는 컸는데, 그렇지 않다고도 하셨다.
다행으로 생각했다. 아이가 순한 편이라 잘 울지 않는다고 답했다. 할머니는 아이 키우기 힘들 텐데, 신경 쓰지 말라고 하셨다. 그리고 아이 소리가 나지 않아 아이를 안고 나가는 모습을 본 게 아니면 아이가 있는지 몰랐을 것 같다고 하셨다. 아이가 귀한 세상에 부부 둘이서 끙끙대며 아이를 키우는 건 여간 힘든 일이다. 참견이 아닌 작은 격려는 초보 부모에게 큰 힘이 된다.
아이를 키우는 일은 분명 고생이다. 하지만, 그간 우리는 얻은 게 많다. 먼저 아이와 함께하는 시간이 얼마나 행복하고 감사한지 절감하게 됐다. 아이가 없었다면 절대 상상하지 못했을 일이다. 둘째, 부부에서 부모가 된 우리는 가족으로 더 똘똘 뭉치게 됐다. 부부로도 잘 지냈지만 부모가 되고는 아이를 키우는 일을 나눠하며 서로를 더 지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셋째, 부모가 되고 우리 자신을 꼼꼼히 돌보는 일에 진심으로 임하게 됐다. 아이에게 어떤 부모가 되면 좋을지를 고민하기 시작한 우리는 각자에게 더 관심을 갖게 됐다.
아이를 키우며 부모도 더 나은 인간이 된다는 말이 있다. 모든 이가 겪는 보편적 과정은 아니다. 다만, 모든 일의 우선순위가 '아이'로 재편되는 경험은 부모를 더 높은 차원에 닿게 한다. 부모 없이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아이를 위해, 과거 중요하게 여겼던 걸 쉽게 포기하는 우리 모습은 우리 자신에게도 생경하다. 그렇다고 부모 역할을 일종의 과업으로 접근하지 않으려고 한다. 그랬다간 부모가 금방 지치고, 장기전인 육아를 버텨내지 못할 게 뻔해서다.
지금 이 순간에도 부모가 되고 있는 우리는 비장한 각오보다 오늘도 무탈히 잘 보냈다는 안도감을 찾으며 살고 있다. 아이를 둘러싼 여러 변수가 아이의 하루를 완전히 다르게 흘러가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감사할 일이어서다.
아이의 평온함은 부모를 자유롭게 한다! 아이 발달에 일정한 잣대가 있지만 모두 그에 따라 같은 속도로 성장하는 건 아니다. 아이 옆을 지키는 부모로 가장 중요한 건, 아이만의 속도에 발맞춰 걷는 것이다. 육아에서 아이를 어떻게 다루는지는 핵심이 아니다. 낳아 놓으면 아이가 알아서 큰다는 흔한 말은 아이가 자신의 속도대로 클 테니 부모가 쩔쩔매지 말라는 뜻으로 읽힌다. 이처럼 최면 걸듯 같은 말을 반복하는 이유는, 오늘도 하루를 잘 살아내고 있는 아이에게 부모로서의 욕심을 투영하고 싶지 않아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