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막 사회에 진출한 초년생들은 처음으로 받는 정기적인 수입을 어떻게 관리해야 할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경제적인 자립을 이루지 못한 상당수 초년생들은 그동안 사고 싶었던 명품을 구매하거나 신형 스마트 기기를 사는 등의 소비를 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사회 초년생 때부터 올바른 월급 관리 방법을 익혀야 한다고 말한다. 사회 초년생의 월급관리, 함께 알아보자.
지난해 초 중소기업에 입사한 27세 사회 초년생 A 씨는 체계적인 월급관리를 위한 노하우를 궁금해하고 있다. 실수령액이 210만 원이라는 A 씨는 현재 학자금 대출이 500만 원가량 남아있고, 회사와 다소 떨어진 곳에 자취방을 계약해놓은 상황이다. 보증금 500만 원은 부모님께 받았지만, 매월 내야 하는 월세 40만 원은 A 씨가 부담해야 한다.
1년 정도 회사를 다닌 A 씨는 생각만큼 돈이 잘 모이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지난 1년 동안은 이제 스스로 돈을 번다는 생각에 평소 사고 싶었던 것들을 사기도 했고, 친구들과 자주 만나 돈을 쓰기도 했다. 하지만 밑 빠진 독에 물 붓는 것 마냥 돈을 쓴다는 생각이 들었고, 이대로는 안 되겠다 싶어 체계적인 월급관리 노하우를 익혀야겠다는 다짐을 한 것이다.
물론 처음부터 큰 욕심을 낼 생각은 없다. 한 번에 큰돈을 모으겠다는 막연한 계획보다는 스텝 바이 스텝으로 조금씩 모으겠다고 생각했다. A 씨는 남아있는 학자금 대출 500만 원을 30세 이전에 모두 상환하고 추가로 3,000만 원의 자금을 모으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과연 A 씨는 이 목표를 이룰 수 있을까? A 씨의 소비 습관과 전문가의 의견 등을 토대로 재테크 방법을 알아봤다.
지난해 세후 210만 원의 월급을 받았던 A 씨는 연봉이 올라 다음 달부터는 240만 원의 월급을 받게 된다. 현재 210만 원 기준으로 A 씨의 월 지출을 살펴보면 월세와 통신비 등의 고정 지출이 85만 원 수준이다. 이외에 주택청약으로 10만 원을 매달 적금하고, 10만 원 정도는 주식을 구매하고 있다. 이외에 식대 등 생활비로 105만 원을 사용하고 남은 돈을 저축하는 중이다.
월 85만 원의 고정비를 살펴보면 현재 원룸의 월세로 40만 원을 사용하고 있고 교통비로는 10만 원씩 사용하고 있다. 회사 근처에 원룸을 계약했으면 교통비를 줄일 수 있었겠지만, A 씨의 회사 인근 원룸의 시세가 너무 비쌌기 때문에 지하철로 이동해야 하는 거리의 원룸을 계약했다. 이외에 공과금 5만 원, 통신비 7만 원, 실비보험 3만 원, 학자금 대출 상환액 20만 원이 매달 고정으로 사용되고 있다.
A 씨는 “현재 고정비와 생활비를 어떻게 더 줄여서 저축을 늘릴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했다. 특히 현재 매달 10만 원씩 주식을 구매하는 것이 괜찮은 지에 대해서도 궁금해했다. 이에 대해 한 전문가는 “돈 모으기의 시작은 지출을 줄이는 것”이라며 A 씨의 지출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안했다.
이 전문가가 지적한 A 씨의 가장 큰 문제는 생활비였다. 105만 원이라는 돈을 계획 없이 사용하고 우연히 남은 돈을 저축한다는 것은 매우 잘못된 재테크 방법이라는 지적이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105만 원의 생활비를 줄일 방법으로 하루에 쓸 수 있는 돈을 정해놓을 것을 추천했다. 1일 식대로 2만 원(20일 60만 원), 주말에 친구 등을 만나 사용할 돈 5만 원(4주 20만 원) 등 60만 원에 생필품 구매를 위한 10만 원을 더해 한 달에 70만 원 수준의 생활비만 사용할 것을 추천했다.
특히 목표 생활비를 정해놓고 딱 그만큼만 쓰기 위해서는 생활비 통장과 월급 통장을 구분해야 한다고 말했다. 통장에 돈이 있으면 계속 쓰게 되니 생활비 관리를 따로 해야 절약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이렇게 생활비를 70만 원으로 줄일 수 있으면 당장 저축할 수 있는 금액이 35만 원이나 늘어난다. 특히 저축 통장으로 CMA나 MMF와 같은 파킹 통장을 이용해 약간의 이자라도 받을 것을 추천했다.
이외에 고정비 지출 역시 줄일 수 있는 부분이 많다. 특히 고정비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40만 원의 월세는 정부 제도를 통해 줄일 수 있다. ‘중소기업 취업 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을 이용하면 한도 1억 원 내에서 전세자금을 대출받을 수 있다. 해당 제도는 연 이자율은 1.2%로 최대한도인 1억 원을 대출받았다고 해도 매달 12만 원의 이자만 납부하면 된다. 월세 40만 원에서 28만 원 가까이 아낄 수 있다.
이외에도 매달 7만 원씩 빠져나가는 통신비는 알뜰 통신사로 변경할 시 매달 3만 원 정도에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를 사용할 수 있어 3~4만 원을 더 아낄 수 있다. 공과금의 경우에도 서울시에서 시행하는 ‘에코마일리지’를 이용하면 1년에 3~4만 원 정도를 돌려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다.
해당 방법을 모두 활용해 지출을 최대한 줄였다고 가정하면 생활비에서 35만 원, 고정비에서 30만 원이 줄어 매달 저축할 수 있는 돈이 65만 원이나 늘어난다. 여기에 다음 달부터 오르는 월급 30만 원을 포함하면 총 95만 원을 저축할 수 있다. 기존에 저축하던 돈인 주택청약 10만 원과 매달 10만 원씩 넣었던 주식까지 포함하면 총 115만 원을 저축하는 것이다.
매달 95만 원씩 저축한다고 가정하면 1년에 1,140만 원, 3년이면 3,420만 원을 모을 수 있다. 특히 매달 20만 원씩 고정적으로 빠져나갔던 학자금 대출은 2년 정도 납부하면 상환이 가능하니 남은 2년 후부터는 매달 20만 원씩 더 저축할 수 있어 240만 원의 추가 저축이 가능하다. 지출을 줄인 것만으로도 3년 동안 3,780만 원을 모을 수 있다.
A 씨의 재테크 설계에 대해 한 전문가는 “주식의 경우 많은 공부가 필요한 재테크이기 때문에 공부한다 생각하고 소액으로 도전해 볼 수는 있지만 10만 원이라는 돈은 다소 크게 느껴진다”라며 “당분간은 저축 위주로 돈을 모으는 방법에 집중하고 주식은 5만 원 정도의 소액으로만 연습해 볼 것을 추천한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사회 초년생들의 가장 중요한 재테크 방법은 지출을 줄이고 저축을 늘리는 것”이라며 “추후에 다양한 방법으로 자산을 불리더라도 일단 돈을 모으는 연습을 해봐야 한다”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