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게 뭐라고> / 장강명 저
(지극히 주관적인 제 생각을 쓴 글입니다.)
책, 이게 뭐라고 팟캐스트를 열심히 들었던 사람으로서 이 책을 안 읽을 수는 없었다. 뭔가 필수코스 같은 느낌이랄까. 한 챕터씩 읽어나갈 때마다 들었던 팟캐스트들이 떠올랐다. 유튜브로 바뀌어버린 지금의 책, 이게 뭐라고 가 아쉬울 뿐이다. 책, 이게 뭐라고는 귀에 이어폰을 꽂고 진득하니 1시간가량 들어줘야 제맛인데 말이다.
이 에세이에는 장강명 작가님이 책, 이게 뭐라고 팟캐스트를 진행하며 고민했던 생각들이 담겨있다. 짧은 에피소드? 챕터? 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에피소드의 제목들이 전부 좋았다. 가장 좋았던 제목은 "단 한 사람의 독자와 죽음을 기다리는 병든 짐승"이었다. 모든 제목들이 이처럼 연관성을 생각하기 힘든 두 문장의 연결로 이루어져 있다. 두 문장의 연관성을 전혀 생각지 못한 방향에서 찾아내는 장강명 작가님의 시각이 돋보이게 만드는 좋은 제목들이었다.(한 에피소드씩 읽어나갈 때마다 이번 제목이 의미하는 건 뭘까 하는 궁금증이 치솟는 바람에 자기 전에 읽을 때는 일부러 다음 에피소드 제목을 읽지 않고 책을 덮었다. 제목을 보면 그 챕터를 안 읽고는 잘 수가 없기 때문이다. 참고로 위에서 말한 "단 한 사람의 독자와 죽음을 기다리는 병든 짐승"의 연관성이 궁금하시다면...... <책, 이게 뭐라고>를 읽어보시길 바란다.)
<책, 이게 뭐라고>에서 지속적으로 나오는 세계관이 있다. 말하고 듣는 세계와 읽고 쓰는 세계다.(마블 유니버스나 하하 유니버스 같은 세계관과는 결이 조금 다르다.) 말하고 듣는 세계는 일시적이고 짧으며 읽고 쓰는 세계는 지속적이고 길다. 장강명 작가님은 이 두 세계가 적절히 공존할 수 있기를 바라지만 세계는 점점 말하고 듣는 세계로 가고 있다.
읽고 쓰는 세계는 점점 말하고 듣는 세계에 자리를 내주는 중이다. 말하고 듣는 세계를 대표하는 유튜브만 봐도 그렇다. 유튜브는 점점 더 커지고 있고 심지어 이제는 모든 검색을 유튜브에서 하는 시대가 되었다. 유튜브 영상은 점점 더 짧아지고 일시적이 되어 간다. 10분 이상의 동영상에만 달리던 광고는 이제 8분만 넘어도 달 수 있게 되었다. 유튜브에서 길고 진지하게 한 사건의 처음부터 끝을 전부 다루는 영상은 인기가 없다. 사건의 핵심, 예를 들면 어딘가의 모 중학교에서 집단 왕따로 인한 자살이 일어났다는 사실을 1분 내외로 짧게 말해주는 영상의 인기가 훨씬 높다. 거기에는 피해자가 어떤 사람이었는지, 이 안타까운 일이 정확히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 그 대처법과 해결방안은 제대로 모색되고 진행되었는지, 가해자들에 대한 처벌은 어떻게 되었는지에 대한 내용은 들어 있지 않다. 단지 집단 왕따로 피해자가 자살했다는 거짓은 아닌 정보만 들어있을 뿐이다. 이 안타까운 사건에는 수많은 이야기가 얽혀 있을 테지만 유튜브를 보는 사람들에게 그러한 이야기는 전해지지 않고 댓글창은 전쟁터가 된다.
그러나 읽고 쓰는 세계에서는 다르다. 앞에서 말한 가상의 왕따 사건에 대한 르포가 나온다면 거기에는 온갖 것들이 담겨있을 것이다. 거의 모든 관련 인물들의 인터뷰와 사건의 진행 경위, 다양한 시각의 전문가들의 사건에 대한 의견, 이외에 다른 왕따 사건들에 대한 예시와 여러 다양한 주장으로부터 비롯한 해결방안들까지. 이 르포를 읽는 것이 왕따 사건에 대해 훨씬 제대로 이해하고 생각해볼 수 있는 방법이란 사실은 자명하다. 그러나 이 르포가 나올 때쯤 사람들은 이미 다른 일에 열을 올리고 있을 것이다. 르포가 아무리 빨리 나오더라도 적어도 사건의 시작으로부터 몇 년은 걸릴 테니 말이다. 이렇게 읽고 쓰는 세계는 말하고 듣는 세계와의 경쟁에서 패하고 만다.
읽고 쓰는 세계가 더 우월하다는 얘기가 아니다. 말하고 듣는 세계와 읽고 쓰는 세계는 양쪽이 모두 중요하다. 말하고 듣는 세계에서는 즉각적이고 빠르게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읽고 쓰는 세계에서는 깊이 있는 생각과 일관되고 설득력 있는 논리 체계를 마주할 수 있다. 문제는 세계가 점점 한쪽으로 쏠리고 있다는 사실이다. 빠르게 세상의 정보를 얻는 것도 중요하지만 얻은 정보에 대해 생각하고 고민해보는 것도 중요하다. 그러나 말하고 듣는 세계가 읽고 쓰는 세계를 완전히 장악하는 순간, 세상은 스쳐 지나가는 온갖 정보에 대해 생각하고 고민하기를 포기하고 말 것이다.
읽고 쓰는 세계를 좋아한다. 물론, 말하고 듣는 세계도 좋아한다. 둘 다 사라지지 않았으면 좋겠다. 유튜브만 보면 생각하지 않게 될 것이고 책만 읽으면 세상의 변화에 뒤쳐진 외골수가 될 것이다. 나는 책도 읽고 유튜브도 보고 싶다. 그러니 지금은 약해진 읽고 쓰는 세계에 조금 더 애정을 기울여야겠다. 어느 한쪽이 없어지지 않도록.
책 속 한 문장
그런 동영상들을 보면 털이 다 빠져 맨 가죽과 그 아래 앙상한 뼈를 드러낸 채 쓰러져 죽음을 기다리는 병든 짐승의 모습이 떠오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