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과 바다. 헤밍웨이의 대표작이다. 개인적으로 깔끔하고 짧은 단문을 선호하는 편이다. 물론 만연체나 화려체, 우유체 등도 충분히 매력 있지만 간결체로 된 단문은 서사 중심의 소설을 좋아하는 나에게 가장 잘 맞는 문체이자 문장이다. 그래서 국내 작가로는 김훈 작가와 장강명 작가를, 외국 작가로는 어니스트 헤밍웨이를 좋아한다. 이 노인과 바다에서도 간결하게 서사를 표현해내는 헤밍웨이의 하드보일드 한 문장을 여실히 느낄 수 있다.
사실 노인과 바다는 큰 스토리라고 할 만한 것이 없다. 한 늙은 어부가 커다란 물고기와 삼일 밤낮을 사투를 벌여 결국 물고기를 잡고 그 물고기를 뱃전에 묶은 채 돌아오는 길에 상어 떼가 물고기의 살점을 모두 뜯어먹는 내용이 전부다. 하지만 이 노인과 바다를 명작의 반열에 올려놓는 이유는 헤밍웨이 특유의 간결하고 냉철한 문체로 늙은 어부가 물고기를 잡는 상황과 감정을 날카롭게 그려냈다는 점, 한 늙은 인간과 대자연인 바다, 그리고 그 속의 커다란 물고기가 가지는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고 한 명의 인간이 거친 대자연 속에서 어떻게 의지를 잃지 않고 버텨나가며 고난과 싸우는지를 보여줌으로써 인간이라는 존재가 얼마나 숭고해지고 위대해질 수 있는지를 깨닫게 한다는 점, 늙은 어부와 물고기의 끊임없는 투쟁 과정과 그동안 어부가 느끼는 생각들을 생생하게 서술해 독자에게 인간의 마음이란 얼마나 연약하고 또 얼마나 강인한지 그 양면성을 보여주었다는 점 등이 있겠다.
한 가지 더 생각해 볼 점은 인간의 노력과 과정, 성과에 대한 것이다. 늙은 어부는 삼일 밤낮을 새워 거대한 물고기를 잡는다. 하지만 뱃전에 물고기를 묶고 돌아오는 길에 어부의 필사적인 저항에도 불구하고 상어 떼에게 그 살점들을 모두 빼앗기고 만다. 결국 어부는 엄청난 노력을 들이고 숭고하기까지 한 과정을 거쳤음에도 어떤 성과나 결과도 남기지 못한 것이다. 하지만 그 누구도 노인을 무시하거나 비난하지 않고 노인 스스로도 좌절하지 않는다. 소설의 마지막에는 레스토랑에 있는 부인이 살점이 모두 사라진 물고기의 흰 등뼈를 보며 말한다. "상어가 저렇게 멋있고 아름다운 꼬리를 가지고 있는 줄 몰랐네요." 독자의 감상과 상관없이 소설의 여러 부분에서 헤밍웨이는 늙은 어부, 산티아고가 한 일이 성과가 없기 때문에 헛되다고 생각하지는 않은 듯하다.
요즘 우리 시대에는 결과나 성과가 없는 일은 미련한 일로 취급받는다. 어차피 너 하나 그렇게 한다고 세상 안 바뀌어, 너 그거 헛고생이야 라는 말은 심심치 않게 주변에서 들려오곤 한다. 미련하게 노력하는 건 무식한 짓이고 요리조리 잘 살피면서 자신이 성과를 낼 수 있는 길로 치고 빠지는 것이 현명한 것이며, 어차피 안 바뀔 일이면 그냥 포기하고 다른 길을 찾아서 실익을 따지는 것이 옳고, 아무리 아이가 열심히 공부를 했고 그것을 두 눈으로 봤더라도 시험 점수가 40점이 나오면 그 아이는 공부 못하는 아이가 되고 마는 것이다. 결과와 성과가 나오지 않는 일은 미련하고 무식한 짓이라는 말로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노인과 바다는 그것이 얼마나 잘못된 말인지 보여준다. 성과가 전혀 남지 않는 일이라도 그것이 어떤 과정을 거쳤느냐에 따라서 의미가 있고 심지어 숭고하기까지 할 수 있다.(노인과 바다를 읽으면서 산티아고의 여정을 따라간 독자라면 어차피 내다 팔 물고기 살점 하나 안 남았는데 쓸데없는 짓 했네 라고 이야기할 순 없을 것이다.) 인간의 의지와 노력 그 자체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찾을 수 있는 소설이다.
고전임에도 지금 시대의 기형적인 부분을 예리하게 꼬집고 있다. 점점 노력이 의미를 잃어가는, 힘들이지 않고 지름길로 가는 것이 미덕이 된 우리 사회에 대해 생각해 보고 싶다면 '노인과 바다'를 읽어보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