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글 쓰는 공대생 Jun 11. 2019

살인자의 기억법

'살인자의 기억법' / 김영하 저

(지극히 주관적인 저의 생각을 쓴 글입니다.)



살인자의 기억법. 개인적으로 김영하 작가님을 알쓸신잡에서 보고 알게 된 후 그분의 소설을 읽어봐야겠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특히 이 소설은 최근에 영화로도 나와서 생각만 하고 있다가 이번 주말에 시간이 나서 집어 들고는 순식간에 읽어버렸다. 짤막한 문단들이 툭툭 떨어져 내리는 듯한 소설이라 호흡이 짧고 문장이 명료해 금방 술술 읽어나갈 수 있었지만 담겨있는 의미는 전혀 가볍지 않았다.



대략적인 줄거리는 이렇다. 주인공인 김병수는 잡히지 않은 연쇄살인범이다. 그는 45살이 되던 해 사고를 당해 뇌에 손상이 가면서 살인에 대한 의미를 잃어버리고 자신이 죽인 여자의 딸 은희를 자신의 딸처럼 여기며 그저 평범한 수의사로 살아간다. 그러다 70세가 되어 알츠하이머 진단을 받게 된 주인공의 동네에서 갑작스럽게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쇄살인이 일어나기 시작한다. 동네에서 연쇄살인이 일어나던 중에 우연히 만나게 된 박주태의 눈을 보고 김병수는 그가 연쇄살인을 저지른 범인임을 직감한다. 그 이후 김병수의 주변에 부자연스럽게 계속 출몰하던 박주태. 설상가상으로 김병수의 딸 은희가 자신이 만나고 있는 남자라며 박주태를 김병수에게 소개한다. 김병수는 박주태가 자신의 딸 은희를 다음 타깃으로 삼았다고 생각하며 은희를 지키기 위해 자신이 먼저 박주태를 죽이려는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려고 하지만 알츠하이머의 벽에 가로막혀 번번이 실패하며 불안감만이 계속해서 커져간다. 은희를 지키기 위해 25년 만에 다시 살인을 저지르려는 과거의 연쇄살인마 김병수와 은희를 노리는 현재의 연쇄살인마 박주태 간의 대결이 주된 내용이다.



스포일러가 될 수도 있지만 사실 마지막 부분에서 뒤통수를 제대로 얻어맞고 말았다. 김영하 작가님의 손이 꽤 매웠다. 어느 정도의 반전이 있을 거라는 상상은 했지만 그걸 뛰어넘는 결말을 접하고는 멍해 있다가 처음부터 다시 소설을 읽기 시작했고 비로소 놓친 부분들이 보이기 시작했다. 그저 단순한 두 연쇄살인범의 대결이 아니라 훨씬 많은 것을 담고 있는 소설이었다. 소설의 자세한 해석에 대해서는 더 다루지 않겠다. 이미 많은 해석들이 나와있고 책의 뒷부분에 권희철 문학평론가님이 써주신 해설만 보아도 충분히 자세하고 세심하게 설명이 되어있다. 한 가지 힌트를 주자면 책 속에 계속해서 인용되는 반야심경의 한 부분인 "그러므로 공 가운데에는 물질도 없고..... 지혜도 없고 얻음도 없느니라."라는 부분을 집중해서 읽어보기를 바란다.



필자가 여기서 말하고 싶은 것은 김영하 작가님의 글을 전개하는 방식이다. 김영하 작가님을 알게 된 게 비교적 최근이라 '살인자의 기억법'과 '오직 두 사람'이라는 소설집, 이렇게 두 권 밖에 못 읽긴 했지만 이 두 소설에서 공통적으로 느낀 점에 대해 써보려고 한다. 두 소설의 이야기를 전개해나가는 방식에서 묘한 공통점을 느꼈는데 이야기의 문단 사이사이에 의도적 공백이 존재한다는 느낌을 받았다. 이야기 사이사이에 비어있는 부분에 대한 설명이나 연결이 약간 부족한 느낌이 있는데 그 부분이 이야기 전개에 있어 전혀 어색하거나 불편하게 느껴지지 않고 오히려 공백임에도 글이 쓰여있는 것 같이 자연스럽게 이야기가 이어진다는 느낌? '살인자의 기억법'의 경우 주인공이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는 만큼 문단 사이사이 이야기의 도약이 큰 이유가 설명이 되지만 필자의 경우 '오직 두 사람'에서도 비슷한 문단 간의 이야기의 갑작스러운 도약이 느껴졌다. 그렇게 이야기 사이사이에 설명되지 않은 공백이 있음에도 그것이 전혀 이상하게 느껴지지 않고 문맥상에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고 읽힌다는 것은 김영하 작가님의 뛰어난 문장력을 대변해주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글로 쓰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도 마치 글을 읽고 있는 것처럼 독자를 자연스럽게 이해시킬 수 있다니. 소설을 쓰고 싶지만 매번 부족한 문장력과 서사력에 무릎을 꿇고 마는 필자에게는 그저 부럽기만 할 뿐이다.



살인자의 기억법. 다시 한번 김영하 작가님의 생각의 그릇과 뛰어난 문장력, 이야기 전개 능력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는 소설이었다. 생각보다 더 깊고 중요한 철학적 물음을 담고 있는 소설이지만 그런 것을 생각하지 않더라도 소설 자체가 흡입력이 있고 술술 읽힌다.(사실 필자 개인적으로는 소설의 철학적 의미 같은 것을 모르고 읽더라도 상관없지 않나 생각한다. 소설을 잘 읽고 잘못 읽는 게 어디 있겠는가. 독자 한 명 한 명마다 감상이 다르고 해석이 다른 것이 당연한 것이다. 철학적 해석이 궁금하면 그냥 해설 찾아보는 게 빠르다. 이 책은 책 뒤에도 친절히 실려있고 말이다.) 그냥 가벼운 마음으로 두 연쇄살인범의 흥미진진한 대결을 감상한다고 생각하고 읽어보길 권한다. 읽어볼 만한 가치는 충분히 차고 넘치는 소설이니.



매거진의 이전글 데미안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