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글 쓰는 공대생 Jun 12. 2019

칼의 노래

'칼의 노래' / 김훈 저

(지극히 주관적인 저의 생각을 쓴 글입니다.)



이 소설은 글 전체가 칼의 노래다.



사실 필자가 이 소설을 읽기 시작한 건 문장 공부를 위해서였다. 필자도 글을 쓰는 만큼(사실은 쓰려고 노력하고 있다는 게 맞겠지만) 스스로 문장력을 좀 키워야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문장이 뛰어난 소설을 찾다 보니 거의 모든 곳에서 김훈 작가님의 책이 언급되었다. 그렇게 문장에 주의를 기울이며 읽어보자 하는 생각으로 집어 들고 읽어나가기 시작했는데 문장에 주의하기는 무슨, 간결하고 군더더기 없이 필요한 것만을 극한으로 압축한 깔끔한 문장으로 쓰인 책이어서 한번 눈이 지나치기만 해도 이해가 되는 문장들이다 보니 오히려 너무 술술 읽혀서 문장에 주의해야겠다는 생각조차 잊어버리고 책에 빠져들었다. 처음부터 끝까지 걸리는 것 하나 없이 읽히는 소설이라니.



이 소설은 모든 불필요한 것들을 제거하고 베는 기능만에 한없이 집중한 칼과 같은 문장으로 쓰였다. 문장 하나하나에 쓸데없는 것들을 다 쳐내고 문장 자체의 기능에 집중했다. 의미를 전달하는 것. 그렇다고 지루하냐 하면 그렇지도 않다. 의미를 전달한다는 문장 본연의 의미에 집중한 이 소설은 내가 문장을 읽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장면을 실제로 보고 있는 것처럼 느끼게 만들었다. 문장이 전달하고자 하는 뜻을 문장을 눈으로 읽고 해석하여 이해하는 것이 아니었다. 문장을 읽는 순간 그대로 머릿속에 장면이, 감정이 펼쳐지는 것이었다.(사실 필자가 추구하고자 하는 글쓰기가 이렇다. 문장은 뜻을 전달하는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여 읽고 나면 문장이 아니라 글 속의 이야기만이 남아있는 글.) 그렇기에 이 소설은 전체가 칼의 노래였다. 아무 장식도 없이, 날에서 베겠다는 한기만이 뿜어져 나오는 칼이 부르는 노래.



그렇듯 간결하고 압축된 문장으로 이 소설은 인간 이순신의 내면을 여과 없이 필자에게 드러내었다. 이순신 스스로가 난중일기를 소설로 다시 쓴 것과 같은 느낌이 들었다. 이순신의 위대한 업적과 꺾이지 않는 충 아래 묻혀 있던 내면의 고뇌와 슬픔, 위태로움이 고스란히 짧은 문장들의 나열을 통해 전해졌다. 절제되고 간결한 문장으로 쓰였기에 인간 이순신의 나약함은 더 깊숙한 곳에 와 닿았다. 영웅이자 장수이자 한 아이의 아버지이자 그전에 인간이었던 이순신의 모습을 잘 벼려진 칼과 같은 문장으로 써내려 간 것은 더없이 탁월한 선택이었다.



소설을 읽으면서 이순신이 충을 바친 대상이 과연 누구인가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왜구가 쳐들어와 백성들을 도살하고 포로로 끌고 가는 상황에서 왕은 수도를 떠나 저 멀리 도피했고 대륙의 천자가 보낸 천병들은 조선 백성들을 구하고 왜구를 물리칠 생각은 없고 그저 천자에게 바쳐 자신의 공을 인정받을 적의 수급만을 원한다. 그 수급이 실제로 왜적의 수급인지, 억울하게 죽어 나간 조선 백성들의 수급인지는 그들에게 전혀 중요하지 않았다. 그렇듯 어디 하나 희망이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도 이순신은 묵묵히 장수로서의 일을 할 뿐이었다.



적과 교전하고 적의 격군 포로 7명을 생포해 온 송여종이 이번 전투에서 자신의 부하 셋이 죽었다며 포로들의 처분을 자신에게 맡겨달라고 말한다. 포로 7명은 왜구에게 끌려갔던 조선 백성들이었고 그들은 왜구의 밑에서 조선의 수군을 향해 총을 겨눴다. 조선인 포로들을 베어 목을 걸겠다는 송여종. 그런 송여종에게 이순신은 말한다.



ㅡ 송여종, 베어져야 할 자는 너다.


송여종이 눈을 부릅떴다.


ㅡ그리고 나다. 네가 백성을 온전히 지켰더라면, 어찌 백성이 너에게 총을 쏘았겠느냐?



이순신은 선조도, 명도 아닌 조선과 조선의 백성들에게 자신의 충을 바친 사람이었다고 필자는 이 대화를 읽으며 느꼈다.



인간 이순신의 모습 또한 소설 속 많은 부분에서 엿볼 수 있는데 그중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이순신의 셋째 아들 면이 죽은 장면이었다. 이순신의 아들의 목이라도 가져가겠다는 이유로 왜구는 특공대를 이순신의 고향 아산으로 보냈고 그곳에 있던 이순신의 아들, 면을 죽인다. 그 소식을 전하러 온 종 치수에게 아들의 사망 소식을 듣고 이순신은 별다른 말도 묻지 않은 채 종을 돌려보낸다. 그리고 그날 저녁 종사관과 당번 군관을 물리치고 혼자 갯가 염전으로 가 소금 창고 안, 가마니 위에서 참았던 울음을 터트린다. 아무도 보지 않는 곳에서.



이순신이 과연 어떠한 사람인가를 알고 싶다면 '칼의 노래'를 읽어보기를.



매거진의 이전글 살인자의 기억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