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KKRYPTO Oct 18. 2019

[Skkrypto X Luniverse] Skkvote

2편 블록체인 전자투표 case study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난번 Problem description에 해당할 수 있는 왜 전자투표가 필요한지에 대해 알아봤고, 익명성을 어떤식으로 보장해줄 수 있는지 해결하지 못하고 넘어갔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은 블록체인이 어떻게 완전한 익명성을 보장해줄 수 없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 에스토니아의 사례를 통해 어떤식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주는지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블록체인을  활용한 투표의 쟁점과 시사점을 정리하며 마무리 하겠습니다.


1. 블록체인이 완전한 익명성을 보장해주지 못하는 이유

간단한 예시를 통해 블록체인이 완벽하게 익명성을 보장해주지 못하는 이유를 설명해보겠습니다. 블록체인은 트랜잭션 순서대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투표자  A,B,C와 후보 1,2가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트랜잭션에 시간정보와 발생시킨 지갑주소가 저장이되기 때문에 지갑주소가 유출이 되면 누가 누구를 투표했는지 100%는 아니더라도 유추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집니다. 규모가 작으면 그 위험도가 커지겠죠.

 또한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투표가 아닌 인증을 한다음 지갑을 생성해 투표에 참여하게 한다면, 해당 사람의 인증정보와 지갑주소를 매핑한다면 운영측에서 투표결과를 열람할 수 있다는 리스크도 존재합니다.


그렇다면 블록체인 투표를 활용하고있는 에스토니아는 어떻게 이런 문제를 해결했을까요?


2. 에스토니아 Case

해당  케이스는 한국인터넷정보학회의 블록체인 방식을 활용한 온라인 투표 시스템 적용 가능성 연구 case를 참고했습니다.   

 에스토니아는 전 세계적으로 40여 개국이 추진하고 있는 전자투표 사례 가운데 가장 선진적인 인터넷 방식의 투표를 시행하고 있는 국가라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총 인구 134만 명 의 작은 규모를 이용해 정부의 정책 관리나 추진에 있어서 다른 국가에 비해 용이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전자투표를 도입할때 두가지 문제점이 발생했습니다. 첫번째는 정보격차에 따른 젊은층 유권자만 참여할 수 있다는 문제와 해킹의 문제입니다. 하지만 에스토니아는 전자투표를 도입함으로서 2007년 국회의원 선거율을 7%에서 25%로 상승시켰고 1/3의 투표자가 자국이 아닌 해외에서 선거를 할 수 있게 했습니다.

 에스토니아 국민은  디지털 인증서가 포함된 ID카드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활용해 블록체인 투표를 만들었습니다. 이때 두개의 체인을 사용합니다. 하나는 유권자가 등록을 했는지 확인을 하고, 해당 유권자가 투표를 했는지 안했는지 확인하는 체인입니다. 다른하나는 투표내용을 포함시킨 체인입니다. 두개의 다른 체인을 사용해 익명성을 보장하는 방법입니다.

 

자료:   Digital voing with the use of blockchain technology

유권자 본인확인: ID 카드를 활용해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정부 마이너가 투표권한을 생

투표: 전국단위, 선거구 단위 및 지역단위의 계층으로 노드의 통신 범위를 제한하는 기능을 구현했습니다.

검표 및 개표

해당 모델의 쟁점은 51%공격의 위험이 존재하지만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노드의 위치와 사람들의 위치를 확인해 추적하는 보안을 강화해 해결하고있습니다.


3. 블록체인 투표의 주요 시사점

블록체인 기반 투표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블록체인 기반 투표를 도입하기위해 해당 조직의 특성을 파악해야한다

 블록체인은 종이투표와 비교했을때 익명성의 강도가 약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종이투표함은 흔들어 섞을 수 있지만, 블록체인은 흔들어서 섞지 못합니다. 하지만 이부분은 해당 투표를 활용하려는 조직이나 기관의 특성을 파악해야합니다. 대통령선거 같은 전국적인 단위의 투표에서 바로 적용하는것 보다는 작은 단위의 조직에서 다양한 활용케이스가 나와야합니다.

정보격차의 문제를 해결해야한다.

 에스토니아 뿐만 아니라 전자투표 도입을 고려할때 가장 많이 나오는 우려는 정보격차로 인한 평등선거의 위반입니다. 하지만 학교의 경우 정보수준이 높은 20대 학생들로 구성이되어있기 때문에 다른곳에 비해서 상당히 허들이 낮습니다.    

도입함으로서 얻을 수 있는 효용을 생각해야 한다

 한국인터넷 정보학회의 ‘블록체인을 활용한 온라인 투표 시스템 적용 가능성 연구’와 한국 정보화 진흥원의 ’블록체인 활용 전자투표’주요사례및 쟁점에서 공통적으로 동의하는 부분은 비록 기술적 쟁점과 우려사항이 있지만, 전자투표를 통해 투표율과 편리성이 높아질것이라는 점입니다. 학교 투표율을 높여 학생의 투표 편리성을 높여 추후 학교와 의사소통에 활용될 수 있을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음편은 총학생회장 투표를 하는 상황에서 유저 시나리오를 만들고 그에 따른 서비스 기획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게시물은 람다256의 루니버스 Dev plan을 무료로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김현명(hyunmyung137@gmail.com)


매거진의 이전글 [Skkrypto X Luniverse] Skkvote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