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심리학관 May 02. 2024

신규 리더의 실수: 내 실력을 제대로 한번 보여주지!

리더의 본질 / 심리학관

(CASE) Z 이사

* 자신이 잘 모르는 분야의 부서로 갑자기 발령을 받음

* 회사 내 가장 성과가 나오지 않는 부서

* 구성원들은 지속되는 성과 부진으로

의욕이 없는 상황


(리더의 노력)

* 나름대로 열심히 하려고 애씀

* 자신이 솔선수범하면

구성원들이 나아질 거라고 기대함

* 가장 먼저 출근하고 가장 늦게 퇴근함

* 새로운 업무를 익히면서

구성원들과 친해지려고 노력


(당황스러운 피드백)

"이사님이 지나치게 열심히 하시니까,

구성원들이 너무 눈치가 보이고

부담이 된다고 합니다"


신규 리더가 되었을 때 많이 하는 실수

"내 실력을 제대로 보여주자"


신규 리더가 낯선 환경에서

바짝 긴장하고

모든 걸 열심히 하려고만 애쓰면,

오히려 주변을 돌아볼 여유가 없어진다.


리더의 역할은

구성원들의 성장을 지원해서

탄탄한 인재가 되도록 돕고,

담당 조직을 건강하게 만드는 것.


<구성원의 마음을 얻는 5가지 소통의 기술>

(1) 구성원들의 상황을 이해하기

* 신규 리더는 대부분 주로 고성과만을 만들었던

핵심인재였던 경우가 많으므로,

* 성과가 부진한 구성원들의 태도가

이해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고,

* 각 구성원들을 만나 대화를 하며

* 어떤 지원이 필요한지에 대해 먼저 알아보자


(2) 구성원들의 편이 되어줄 것을

약속하기

* 자신이 실무에 대해서는

* 모르는 부분이 많지만,

* 리더로서 쌓아온 성공 경험과

* 노하우를 공유하며

* 함께 극복하자는 메시지를 전달하자


(3) 구성원에게 권한을 위임하기

* 상사가 실무를 다 알아야 한다는 생각을 버리자

*  이미 오래 근무하여 노하우를 갖고 있는 직원들이

* 스스로 결정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권한을 위임할 때

* 업무 몰입도가 높아지고 성과물이 나오게 됨


(4)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기

* 실제로 좋은 자원을 많이 갖고 있는 구성원들도

* 눈에 보이는 실적이 없다는 이유로

기회를 주지 않으면

* 성과를 못 내는 악순환을 거듭하게 됨

* 이럴 때는 직원들에게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함


(5) 작은 목표부터 세우기

* 성과를 내지 못한 부서일수록

성취 경험이 매우 중요함

* 급한 마음에 높은 목표치를 설정하면 실패하기 쉬움

* 먼저 작은 목표를 여러번 성취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자


*********************

<리더의 본질>

스스로 변화하는 조직을 만드는

리더십 불변의 법칙.

Leadership Changes Organizations.

* 저자 : 홍의숙

(리더십 코치 / 인코칭 회장 / 경영학 박사)

매거진의 이전글 "그게 왜 안돼?" : 일 잘하는 리더가 하기쉬운 실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