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심리학관 Jun 21. 2024

통합적 포스트모던 치료의 역사

상담 및 심리치료의 최신 이론 / 심리학관

* 상담 분야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적인 혁명

: 1980년대에 꽃을 피웠으며,

상담을 수행하는 방식에 큰 변화를 이루어 냈음


* 포스트모더니즘 혁명을 이끈 세가지 이론

: 관계-문화적 치료, 내러티브 치료,

해결 중심 단기 치료

-> 획기적으로 내담자와 함께 작업하는 방식을 채택


* 전통적인 정신 건강 시스템에서는 지양하던 방식

-> 유사한 이론적 근간 :

포스트모더니즘 & 사회구성주의

=> 이 철학적 가정은 상담 관계를 탈병리화시키고, 내담자를 관계에서 동등한 협력자로 위치시켰으며, 정신 건강상의 문제가 개인에게 내재적이거나, 내재된 무언가의 결과라는 전통적인 견해에 도전하는 결과를 낳았음


(1) 관계-문화적 치료

* Relational Cultural Therapy(RCT)

* John Baker Miller / 1980년대


* 전통적인 치료들이 어떻게 여성을 병리화하고

소외시키는지 민감하게 자각

* 여성의 위치를 높이고,

생애 전 과정의 관점에서 변화를 이해

* 상호 공감이 성장을 촉진하는 관계의

중심이라고 믿음

* 진정성을 상호 공감의 핵심으로 봄

* 관계적 성장의 중요성에 초점을 둠


* 후에 관계-문화적 이론은

권리를 박탈당한 집단으로까지 확장되었고

* 현재는 역사적으로 억압을 받아온 내담자를

이해하고 함께 작업하는 데 사용됨


(2) 내러티브 치료

* Narrative Therapy

* Michael White & David Epstein / 1980년대


* 관계-문화적 치료와 유시하게, 소외되고 역사적으로 억압받아온 사람들이 상담관계에서 병리화되는 방식에 대해 우려하였음

* 개인이 속한 가족과 문화, 사회에 속한 내러티브들이 한 개인의 '자기와 세상에 대한 이해의 발달 과정'을 형성해 나가는 방식에 중점을 둠


* 권력을 가진 사람들이 언어와 법을 개발하여 사회 전체에 배포하고 적용하기 때문에, 권력자들의 관점이 세상을 보는 '올바른' 방식이라고 여겨지며, 역사적으로 억압받아온 사람들의 관점은 잘못된 것이거나 무정부적인 것으로 간주됨


* 상담에서는 사회적 환경 내에서 개인을 억압하기 위해 언어가 사용되는 방식을 이해하여 내러티브를 살펴보고, 사람들이 갖고 있는 다양한 관점을 탐색하여 지배적인 내러티브를 해체(deconstructed)함


* 그런 다음, 새롭게 더 긍정적인 내러티브를 전면으로 세우거나 발전시켜, 그 사람이 자신의 인생을 재-저작(re-author)할 수 있도록 함

* 내러티브 접근 역시 내담자를 탈병리화하고 문제를 내재된 것으로 보이지 않았으며, 개인을 고양하고 임파워링하려 노력하는 시도를 함


(3) 해결 중심 단기 치료

* Solution-Focused Brief Therapy(SFBT)

* Insoo Kim Berg & Steven de Shazer /

1980년대


* 전통적인 상담 접근 방법이 문제에 너무 집중하고, 내담자를 병리화하는 경향이 있다고 비판

* 내담자의 경험을 정상화하고 문제에 대한 예외(과거 성공경험)와 해결책을 찾는 것이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내담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봄

* 내담자가 그러한 변화에 준비되어 있는 한, 내담자를 존중하고 경청하며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돕는 것이 변화의 핵심이라고 설명함


-----------------------------------

관계-문화적 치료 / 내러티브 치료 /

해결 중심 단기 치료의 공통점

* 내담자에 대한 존중

* 내담자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변화할 수 있다는 믿음

* 내담자의 문제를 탈병리화 & 정상화

* 문제가 아닌 해결에 초점을 맞춤

* 미래는 재구성될 수 있다고 믿음

* 내담자를 임파워링(empowering)하는 것에 중점


(근거 철학)

A. 포스트모더니즘

* 모더니즘(특히 진실이 경험주의나 분석, 과학적 방법을 통해 발견될 수 있다는 생각)에 대한 의구심으로부터 발전

* 이전에 발견된 것이 꼭 틀린 건 아니지만, '진실'이 발견되게 된 맥락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안

* 개인의 진실은 타인과의 담론을 통해 전달되는 집합적 지식(collective knowledge)을 반영

* 개인의 진실은 삶이 진행되고 맥락이 변함에 따라 바뀔 수 있음


B. 사회구성주의

* 지식을 한 개인의 역사와

사회적 환경의 기능으로 여김

* 언어와 담화가 진실의 토대를 형성하는

정신적인 개념들을 조성함


* 실제는 한 사람 내부에 존재하는 것이 아닌, 사람들 사이에서만 존재하는 모호하고 항상 변하는 개념

* 서구 문화에 기반된 상담 이론들에서 상대적으로 소위 진실이라고 불리는 많은 개념들은 주로 백인들의 건강 전문 영역 내에서 백인인 서양 엘리트 남성들이 개발한 것


* 개인의 정체성은 항상 타인과 상호작용할 때 사용되는 언어의 작용으로 끊임없이 형성되고 변화함

* 한 개인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담론 속에서 자신을 발견하는 횟수만큼 많은 '정체성'과 '자기'를 가질 수 있음


********************************

<상담 및 심리치료의 최신 이론>

Contemporary Theories in

Counseling & Psychotherapy

* 편집자 : Edward Neukrug

(노트르담 대학 상담 및 인간서비스학과 교수)

* 역자 :

서영석(연세대 교육학부 교수)

라수현(단국대 상담학과 교수)

안하얀, 신민영, 어유경

(서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2024.03.30.

매거진의 이전글 좋은 동기부여란 어떤 것인가 / 수신지 작가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