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livingsider Oct 26. 2018

집짓기, 거실 리뉴얼의  중요한 선택!

우리집에 가장 잘 맞는 창호와 거실 인테리어 시스템은? 

안녕하세요. 리빙 & 인테리어 전문 에디터 livingsier입니다. ^^ 아침 저녁으로 선선한 바람이 불어오기 시작하는 가을의 문턱에서 한번쯤 해보는 고민이라면 인테리어를 변화를 통해 집 안의 분위기를 바꾸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거주하고 있는 곳이 새집일 경우 허용되는 예산에서 가구나 벽지를 바꾸게 될 것이고 또는 드라이플라워와 리스를 통해 분위기를 환기시키는 등 그 방법은 매우 다양합니다.

이와는 반대로 오래된 주택에 거주하는 경우 이미 교체 연한을 지난 창호 때문에 고민이 많으실텐데요. 그 어떤 구성 요소보다 복합적인 장점을 가진 창호는 한번 설치하면 10년 이상을 사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더욱 심사숙고하게 만드는 부분입니다. 이렇게 매우 다양한 역할을 하게 될 우리집에 가장 잘 어울리는 시스템 창호는 무엇이며 어떤 기준으로 올바르게 선택해야 하는지를 중앙리빙샤시와 함께 확인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창호, 샷시란 무엇일까?


창호는 기본적으로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우리가 흔히 말하는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에 설치된 창이나 문을 이야기합니다. 한자적으로도 창과 호(문)을 이야기하는 창호는 금속과 플라스틱을 소재로 만들어집니다. 다만 플라스틱, PVC의 경우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대비 상대적으로 약한 강도를 보완하기 위해 철재를 삽입하기도 합니다.


창호의 역할


앞서 언급한대로 한번 설치하면 10년 이상을 사용해야 하는 창호의 역할은 폭넓게 작용합니다. 예를 들어 집 안으로 들어오는 바람이나 유해물질을 차단해 주기도 하지만 때로는 환기의 도구로 사용되며 위치에 따라 채광도 잘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요즘과 같은 여름철의 무더위에 외부의 열기를 차단하고 다가올 겨울철 한파에는 냉기를 차단해 냉난방비를 절약하기 위한 수단으로 창호의 올바른 선택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외에도 가족의 안전을 지켜주고 외부로부터의 소음을 완벽하게 차단하는 등 집이 안전하고 편안한 곳으로서의 구실을 할 수 있도록 완성시키는 요소입니다. 바로 창호의 방범 및 방음 성능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창호의 종류


창호는 크게 소재에 따라 플라스틱 창과 알루미늄 창으로 나뉩니다. 이를 PVC 창호와 알루미늄 창호라고 부르는데요. 분류하는 방법에 따라 매우 다양한 창호의 종류이지만 가장 일반적인 기준으로 소재에 따라 분류되고 있습니다.


PVC 창호


먼저 PVC 창호의 경우 알루미늄 창호 대비 경제적이라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그리고 많이 사용되는 재질로 플라스틱의 특성상 열전도율이 낮아 우수한 단열 및 밀폐 성능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알루미늄 창호 대비 부족한 강도는 내부에 철재를 삽입해 강도를 보충합니다.

PVC 창호는 우수한 단열성과 함께 방음 성능과 기밀성이 뛰어나고 우수한 수밀성과 배수력 외에도 각종 외부 요인으로부터 변형이 적고 오염에 강하며 화재로부터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알루미늄 창호


알루미늄 창호의 특징은 변색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튼튼함을 강점으로 합니다. 또한 제작과 시공이 쉬워 가격 또한 저렴한 편인데요. 플라스틱 소재의 PVC 창호 대비 열전도율이 높아 냉난방에 취약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단점은 주택용으로 사용하기에 부족하지만 최근 단열성이 높은 복합창의 개발을 통해 극복하고 있습니다.


창호의 성능


창호의 성능은 단열성, 기밀성, 수밀성, 방음성, 내풍압성의 5대 성능으로 이루어집니다. 여기에 하나 더 추가하면 내후성이 있을텐데요.

창호의 기능으로 첫번째로 확인해야 할 부분은 바로 단열성입니다. 바깥이 보이도록 해야하는 창호의 특성상 외부의 찬 공기와 마주치는 것을 피할 수가 없는데요. 이때 실내의 따뜻한 공기가 밖으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의 찬 공기가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성은 매우 중요한 창호의 성능입니다.

다음 기밀성은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외부의 바람이 새지 않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바로 단열성과 함께 내부의 공기가 새어 나가지 않고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스며들지 않아야 냉난방비가 절약되는데요. 단열성과 함께 기밀성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내후성은 특히 수밀성과 함께 국내에서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발코니 확장과 연관이 있는데요. 장마철 폭우와 함께 집 안으로 비가 새지 않도록 내후성이 높은 창호를 선택해야 하는 것은 매우 당연한 일입니다. 물론 소재의 발전으로 창호가 썩거나 하지는 않지만 우천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해야 하는 것은 매우 당연합니다.

간혹 내부로 유입된 물에 인해 곰팡이가 생기는 상황도 발생합니다. 이때 수밀성 역시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내후성과 직결되는 수밀성은 습기에 의한 곰팡이의 발생도 방지해 한층 더 쾌적한 실내 생황을 즐길 수 있습니다.

방음성은 단열성과 함께 기밀성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소음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내부에서 발생하는 생활 소음을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공기가 통하지 않을 정도로 외부 바람이 새지 않는다면 자연적으로 방음성도 높아집니다.

또한 창호는 외부로부터 다가오는 자연재해로부터 안전해야 합니다. 특히 고층 빌딩이나 바람이 많이 부는 지역에서는 더욱 높은 내풍압 성능을 요하는데요. 외부의 위험한 환경으로부터 나와 내 가족을 안전하게 지켜야 할 창호의 성능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렇게 해서 건축에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창호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확인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창호를 선택하는데 있어 꼭 알아야 할 5대 성능까지 살펴보았는데요. 새로 집을 짓거나 오래된 건물의 창호를 교체하는데 있어 이 글이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livingsider는 중앙리빙테크(www.joonganglivingtech.com)와 합께 합니다.


작가의 이전글 20평대 아파트 인테리어를 효율적으로 하려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