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nim Feb 19. 2023

도시재생, 그것이 알고싶다1

도시문제,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가

1. 도시공간에 대한 사유

2. 우리나라의 도시문제

3.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변화

4. 전주시로 살펴본 도시재생 정책사례

5. 사람 중심의 도시재생

 



1. 도시공간에 대한 사유

 고층 빌딩 숲 옆에 서 있는 조그마한 판자촌을 담은 사진을 본 적이 있다. 우리나라의 급속한 산업화ㆍ도시화의 비극적인 단면을 보여주었다. 도시개발의 양극화를 보여주는 안타까운 현장이었다. 이외에도 도심 쇠퇴 및 인구 공동화, 도시 난개발 등 다양하고 복합적인 도시문제가 벌어지고 있는 현장을 직직ㆍ간접적으로 보았다. 그곳에서는 도시의 차갑고 쓸쓸한 표정만이 자리했다.

 공간의 표정은 그곳에 깃들어 있는 사람의 표정을 바꾸기도 한다. 특히 도시 공간의 냉담한 표정은 시민들의 삶도 냉기로 가득하게 만든다. 그런데 이러한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바람직한 정책이 적절하게 제시되고 있는 것일까. 여전히 도시개발 부문에서 저개발 지역이나 노후화 지역을 철거하거나 재건축하는 것이 효율적인 정책으로 여겨지고는 한다. 정책의제설정 과정에서 지역적 특색과 맥락을 다각적으로 고려하지 않는 데에서 이와 같은 기계적 접근방식이 제시된다. 그렇다면 어떠한 접근방식이 도시문제를 바람직하게 해결할 수 있을까.


2. 우리나라의 도시문제

 우리나라에서 문제시되고 있는 도시문제는 크게 두 가지로, 도심쇠퇴와 도심공동화이다. 이러한 도시문제는 각각 자연적 작용과 인위적 작용에 따른 결과라는 특징을 가진다.


 먼저, 도심 쇠퇴란 도시의 중심 지역이 어떤 원인에 따라 시간이 지나며 인구, 경제, 물리적 상태 등이 악화되는 현상이다. 여느 도시든 시간이 지날수록 자연적으로 그 기능과 외관은 쇠퇴하게 되어있고, 도시의 중심부 역시 이러한 현상에서 배제될 수는 없다.


 한편, 도심공동화는 기능의 공동화와 인구의 공동화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이해된다. 도시 내에서 중심부와 주변부 간 기능분화가 일어나며, 주간에는 도심에 유동인구가 많으나 야간에는 외곽의 주거지역으로 썰물처럼 빠져나가 공동화가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 과정에서 신도심 지역으로의 교외화 현상이 발생하고, 도심은 지속적으로 쇠퇴하게 된다. 도심의 쇠퇴는 슬럼화, 주택불량 등 물리적 여건 악화뿐만 아니라 인구수 감소 및 일자리 감소, 나아가 사회적 범죄 증가 등 삶의 질 악화를 촉진하며 사회적으로 큰 악영향을 끼친다.


다음 편에서 계속됩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시민참여와 거버넌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