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테의 마음은 누가 보듬어줄까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Die Leiden des jungen Werthers)" 한 번쯤은 들어봤을 만한 제목이다. 아마 줄거리도 막연하게나마 알고 계신 분들이 많으리라 생각된다. 한 남자가 유부녀를 사랑하게 되고 그 사랑을 이루지 못하게 됨을 아쉬워하며 자살한다는 어쩌면 큰 이슈가 될만한 것도 아닌 내용인데 출간된 지 거의 300년이 다 되어가는 지금도 여전히 고전 중의 명작으로 손꼽히며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책이다.
이야기는 괴테의 경험에서 가져왔다. 흔히 고백 문학의 시초로 이 책을 꼽는 것도 그런 이유다. 여주인공 로테(혹은 롯데)는 괴테가 실제로 사랑한 로테의 이름에서 그대로 가져온 것. '사랑을 위해 죽다.' 그것이 가능할까? 여러 상황이 있겠지만 절체절명의 상황에서 한 사람만을 살려야 할 때 사랑을 위해 자신의 생명을 포기하는 일은 최근에도 적지 않게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이루지 못한 사랑 때문에 생명을 끊는다는 것은 요즘의 사고방식에서 본다면 어리석은 일일지도 모른다.
"세상에 남자가 혹은 여자가 얼마나 많은데.. 훌훌 털고 다른 사람을 만나면 돼" 아마도 요즘 사람들이 내리는 결론은 대부분 이렇지 않을까 생각된다. 베르테르처럼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것을 어리석다고 생각할 수도 있고 오히려 사랑하는 이의 마음에 상처를 준 것이기 때문에 진정한 사랑이 아니라고 비난할지도 모르겠다. 그렇다면 멀리서 사랑하는 이의 행복을 빌어줄 수 있을까? 다른 이와 결혼한 사람의 미래가 행복하기를 바라며 축복해 주실 수 있을까? 쉬운 질문은 아니라 생각된다.
이 책의 대부분은 편지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인공 베르테르가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 속에서 모든 이야기들이 펼쳐진다. 초반부만 해도 베르테르의 냉철함과 확고한 철학이 빛난다.
"인생이 꿈이라는 사실은 이미 많은 사람들이 동의한 바이지만, 나 역시 어딜 가나 그런 느낌을 받는다네. 인간이 지닌 활동적인 탐구력 역시 한계에 갇혀 있음을 볼 때, 그리고 인간의 모든 노력이 궁극적으로는 욕망을 채우는 쪽에 머물며 이 욕망이라는 것도 사실은 우리의 불쌍한 생을 연장하는 데 봉사할 뿐..."
이 문장을 읽게 되면 베르테르가 감정적이라기보다는 이성적인 인물이고 나름의 확고한 세계관을 가지고 있음을 알게 된다. 적어도 로테를 만나기 전까지는 말이다. 베르테르는 욕망에 의해 흔들리는 인간에 대해 비판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 사랑 역시 한편에서는 욕망의 일종인데 다른 편지에서는 남자가 여자에게 끊임없는 헌신을 바치는 것이 무의미하다고까지 이야기한다. 그러던 그가 로테를 만나고 그 생각이 무너지게 된다.
"사랑이 없는 세상이 우리의 가슴에 무엇일까! 빛이 없는 마법의 등잔이 다 무슨 소용인가!"
사람이 변해도 이렇게 변하나 싶다. 첫눈에 반하는 사랑을 해 본 분들이라면 공감이 될까? 그러나 베르테르의 사랑은 이루어질 수가 없다.
여기서 이루어진다는 것의 의미를 생각해 보자. 사랑의 완성은 무엇일까? 결혼일까? 적어도 베르테르에게 있어서는 그런 것처럼 보인다. 사랑을 한다면 최종적으로는 결혼을 해야 그 사랑이 온전해지는 것일까? 이 질문에 선뜻 대답하기는 어렵다. 다른 분들은 어떤 생각을 가지고 계실지 궁금해진다.
베르테르는 말한다. "꼭 이래야만 하는가? 인간의 행복의 원천이 그의 불행의 근원이 되다니"라고 부르짖는다. 사랑으로 인해 행복하지 못하고 오히려 괴로워해야 하는 것이 그에게는 커다란 무게로 다가오게 된다. 그리고 그는 로테의 남편에게서 총을 빌려 그 총으로 자살을 한다. 물론 로테에게 장문의 편지를 남기고 말이다.
굉장히 치졸하고 비겁한 행동처럼 보인다. 이 모든 것을 겪는 로테의 마음은 아랑곳하지 않고 오로지 자신의 감정에만 도취된 모습이다. 이 책이 수많은 평론가들에게 시대적인 극복, 사상의 전환, 개인의 발견 등 다양한 이유로 극찬을 받음에도 내가 여전히 베르테르에게 반감이 드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혁명적인 사상의 변화에 기여한 것은 분명하더라도 그 과정에서 희생된 로테라는 인격은 끝내 회복되지 못한다.
"나는 이 옷을 입은 채로 묻히고 싶습니다. 로테, 당신이 만져서 성스러워진 이 옷을 입은 채로 말입니다. 당신의 아버지에게 그것도 부탁해 놓았습니다."
여기까지 읽으면 마음이 답답해진다. 황순원의 소나기의 마지막 부분과도 비슷한 느낌이 드는데 정녕 로테를 사랑한다면 이렇게까지 잔인할 수 있을까 싶을 정도다. 그리고 편지의 마지막은 클라이맥스를 보여준다.
"권총은 장전되었습니다. 시계가 12시를 치네요! 자 이제! 로테! 로테, 잘 있어요! 잘 있어요!"
이 정도면 상대방에 대한 만행이라 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 같다. 남아 있는 이에게 모든 짐을 떠안겨 버린다. '너를 사랑하지만 맺어질 수 없으니 내가 죽겠다'는 것인데 죽으면 조용히 죽지 사방팔방 다 이야기를 하고 당사자에게 편지까지 남긴다. 찌질해도 이렇게 찌질한 인간상이 있을까 싶다.
이 책에 대한 해석은 독자마다 차이가 큰 편이고 베르테르의 찌질한 면만 보는 것은 전체를 보지 못 한 견해라는 비판도 있지만 예술 작품에 대한 해석은 온전히 그것을 받아들이는 이의 몫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베르테르는 사랑을 한 것이 아니라 사랑을 내던진 것에 불과하다.
하지만 그나마 위안이 되는 것은 책의 마지막 문장
"일꾼들이 유해를 운반했습니다. 성직자는 한 사람도 따르지 않았습니다."
결국 괴테는 베르테르의 모든 행동이 옳지 않음을 스스로 밝히고 있는 셈이다. 가톨릭이 지배하던 사회 안에서 성직자의 축복도 받지 못한 장례식이란 말 그대로 버려진 죽음일 뿐.
여기까지 와서야 앞부분을 읽으면서 느꼈던 베르테르의 비겁함과 찌질함이 해소된다. 마치 술에 취한 듯 자신의 감정에 도취되어 타인의 마음은 아랑곳하지 않고 자기 편한 대로 생각하고 행동한 베르테르라는 인간에 대해 괴테는 경고를 보냈지만 그 의도와는 다르게 이 책의 출간 이후 수많은 자살자들이 양산되었는데 아마도 마지막 문장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은 까닭이라 생각된다.
그럼에도 여전히 남은 아쉬움은 타인에 의해 폭풍우에 휘말려 부서져 버린 로테의 마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