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삼육 Jan 31. 2024

객체를 해석하면 그것은 주체로써 존재한다.

20대 무렵부터 저는 창작가로써 존립하길 원했습니다.

당연시 나는 그런 사람으로써 존재해야 한다는 믿음이 존재했던 것 같네요.

이런 저런 이념과 아티스트들의 저서를 참고하며 역사를 다져갈 때쯤

내가 그들의 대용품으로써 존재하고 복제해간다는 느낌 때문에

어느 순간에는 공부를 놓아버렸습니다.

그놈의 오리지널리티가 무엇인지

우주가 그렇듯

저의 안의 무언가가 스스로 빚어지고 존립하길,

제 예술의 생태계가 존재하길 바랐습니다.

하지판 레퍼런스가 주는 힘은 지대하더군요.

특히 상업에서 무언가를 참조하는 것 만으로

인력을,투자재화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었기에

​이것에 기대며자존심은 접어가며 일을 해오던 찰나

프랑코 폰타나라는 사진작가의 전시를 보러갔습니다.

이 글의 제목은 그곳에서 만난 문장입니다.

'객체를 해석하면 그것은 주체로써 존재한다.'

예를 들어

서울대 필독도서 중 하나라는 총,균,쇠를 100명이 읽고 독후 감상을 얘기한다면

100명의 의견이 같아야 할까요?

당연히 저마다의 가치관에 따라 의미를 부여하는 챕터는 다를 것이고

그에 따라 대화주제도 천차만별이 되겠죠.

그렇다면 한번 더 나아가서

서울대의 필독도서와

지방대의 필독도서의 두가지가 있다면 우리는 가치적인 측면에서 어떤 기호를 선택하게 될까요?​

그렇습니다 대부분이 전자를 선택하게 될거에요.

왤까요​

우리의 경험적, 주체적인 사상과 가치관 이전에

사회가 강조하는 내러티브가 더욱 중요하게끔

우리의 머릿속에 셋업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것을 편하고 안전하다고 여깁니다.​

앞선 서울대 필독도서의 예시에서

100명의 의견이 분분하다는 것을

우리모두 납득하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후자의

서울대vs지방대 필독도서 예시에선

우리는 생각해볼 여지를 가지게 되죠

그렇다면

우리는 어디까지 주체적이고

반대로 어디까지 수동적일까요?

나의 주체는 어디서 작용하는 것이고

그것을 우리는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작가의 이전글 집중을 넘어 (2)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