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겨울집 Apr 24. 2024

미여지벵듸 – 자연으로 돌아가다

강정효 사진집, 한그루 출판, 2024.


‘미여지벵듸’라는 말은 글자 그대로의 느낌만으로는 가슴이 미어지는 무언가를 가리키는 말 같기도 하고, 너른 들판의 어떤 모습을 일컫는 말 같기도 하다. 들어본 적 없는 이 단어를 강정효 작가의 사진집에서 만났다.



          


제주 사람들은 이승과 저승 사이의 상상 속 시공간(時空間)으로 ‘미여지벵듸’가 있다고 여겨왔습니다. 제주의 굿 본풀이에 의하면 사람이 죽어서 저승으로 가는 과정에서 모든 미련과 원한, 괴로움을 미여지벵듸의 앙상한 나뭇가지에 걸쳐둔 후에야 나비의 몸이 되어 훨훨 떠날 수 있다고 합니다. 장례식 후 망자가 가벼운 마음으로 저승으로 향할 수 있도록 인도하는 의식인 귀양풀이 굿을 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제주 곳곳 중산간에서 만날 수 있는 오름과 산, 산담.

제주 사람들은 무덤을 묘라 부르는 것보다 ‘산’이라고 표현한단다. 묘를 둘러싼 담이 산담인 것이다. 


살아 있을 때와 마찬가지로 묘를 집의 개념으로 여겨 울타리를 만들어준 것을 산담이라 하는데, 밤에 들판에서 길을 잃은 이가 산담 안으로 들어와 잠을 자면 묘의 주인은 찾아온 이를 손님이라 여겨 자신의 제삿날이라 할지라도 손님을 놔두고 갈 수 없어 자손이 차린 제사상을 받지 못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삶을 돌아보게 만드는 미련의 자리, 죽음을 지키는 울타리의 역할을 하는 산담은 독특한 제주문화의 특징을 보여준다. 


강정효의 사진은 제주의 자연 곳곳에 그림처럼 펼쳐진 산담의 모습을 때로는 먹먹한 시선으로, 때로는 무심한 정경으로 담아내면서 산 자와 죽은 이가 함께 어우러지는 제주 사람들의 삶을 담아내고 있다.     

언젠가는 결국 자연으로 돌아갈 사람들은, 이미 저세상으로 간 이들의 뒷자리를 묵묵히 그리워하며 보살피고 있다.

매거진의 이전글 “우리가 살아가면서 진짜로 지켜야 하는 것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