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에서 처음 시험다운 시험을 치르기 위해 아이들은 오랜 시간을 들여 준비를 한다 평가다운 평가가 처음이다보니 아이도 엄마도 긴장하게 된다. 중1부터 중2 시험을 대비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중1의 과정을 꼼꼼하게 해 놓아야만 2학년 과정을 잘 배울수 있는 것을 넘어서서 고등학교 대비를 위해서도 준비를 하느라 아이들은 늘 바쁘다 이런 아이들을 더 바쁘게 하는 것이 바로 학원이고 사교육시장이다. 불안감을 조성해서 아이들에게 문제집을 풀리고 또 풀린다. 선행의 짐이 가장 무거운 수학의 경우 한학기의과정을 보통 세권씩 풀린다. 돌린다는 표현이 적합할 것이다. 기본 원리부터 표준 , 심화과정까지 아이들은 반복해서 문제를 푼다. 이런 많은 문제 풀이가 아이들 성적에 진짜 도움이 될까?
얼마전 만난 한 수학 교사는 한숨을 지으면 말한다. "아이들이 문제풀이 기계가 되어가는 것 같아요. 교과서의 개념을 말로 설명해가며 이해하는 것이 우선인데 말이죠. 그래서 시험 문제를 출제할때 교과서의 문제를 그대로 내고 숫자만 바꿨는데 못푸는 경우가 허다해요. 아이들이 교과서 자체를 보지 않는 것. 사교육 시장의 문제 풀이 방식에 익숙해져 버린 것이 제일 안타깝습니다. 재대로 차근 차근 교과서를 보고 개념을 익히고 예제 문제를 풀고 나서 개념을 정확히 익힐 수 있도록 문제집을 한두권 푸는 것만으로도 충분해요. 물론 수학은 개념과 문제풀이 두가지 축이 있고 어느 하나만 해서는 안되는 과목 맞습니다. 하지만 아이들이 개념도 제대로 형성되지 않은 단계에서 미친듯이 문제만 푸는 건 큰문제입니다. 아이들은 문제 유형을 외워버립니다. 오히려 이런 것들이 생각해서 푸는 수학을 방해합니다."
수학 시험을 대비하고 싶다면 교과서부터 철저하게 파악하라. 교과서의 개념을 읽고 예시 문제를 통해 개념을 파악하고 그것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교과서를 넘어서는 문제라도 교과서가 기반이 된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된다.
수학뿐만이 아니다. 학교 시험은 이의 신청을 할수 있기에 출제에 매우 민감하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사항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노력한다. 교과서의 아주 작은 부분도 활용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중학교 시험을 잘 보고 싶다면 교과서를 파고들어라. 교과서로만 공부했다는 서울대생의 입학수기가 전혀 틀린 이야기는 아니라는 점 그것을 항상 염두에 두시길. 어느 것이 기본이 되어야 하는지 선수를 바꾸지 말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