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리앤 Jun 07. 2023

불행할 수는 없었다

누구나 어려움의 광야를 홀로 걸어간다고 생각할 때가 있다. 나에게도 있었다. 광야 같은 날들이. 언제 끝날지도 모르는 외로움의 시간은 불안을 더했다. 그걸 불행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한 번도 입 밖으로 내뱉어보지 못한 말. 그러나 나는 불행하지는 않았다. 나를 일으킬 수 있는 나만의 에너지가 나에게는 있었다. 어쩌면 나를 단단히 하는데 이 고난이 나를 기다린 건지도 몰랐다.

‘발견하다'라는 문장이 나는 참 좋다. 예를 들면, 고아가 길가에 ‘버려졌다'는 표현은 쓰지 않는단다. 그 자리에는 조금 더 창의적인 동사로 누군가에게 발견되어진 아이만 있을 뿐이다. 그렇게 나 또한 나를 발견하며 산다. 그 ‘누군가가'는 그저 ‘나 자신'이 될 뿐이다.

사람들은 남을 정의 내리기 좋아한다. 가장 최악의 정의는 부모가 아이에게 내리는 형벌 같은 정의다.

“너는 애가 되바라져서 말버릇이 늘 그렇지!”

“그것도 못하면서 뭘 한다고 으이그!”

“하나 제대로 하는 게 없어! 커서 뭐가 되려고 참"

마흔을 넘긴 사람들에게는 어린 시절 이런 말을 부모에게 듣고 자란 사람이 많다,에 한 표를 건다. 그 시대에는 이런 말이 최악이 될 줄 몰랐을 것이다. 자식이 큰 지금 이런 대화가 아직도 오간다면 문제가 상당하겠지만 아직도 드라마에서는 이런 존중을 벗어난 말이 종종 오간다. 어렸을 때 들었던 익숙한 말을 마음에서 밀어내는 일을 하며 어리고 미숙한 나를 안아주는 일은 매우 소중하다. 미처 몰랐던 무의식의 슬픈 단어 하나를 제자리에 정리시키는 일이다. 내면아이는 발견되어야 마땅하다. 그리고 그 자리에는 ‘알레스 인 올드 눙’ 의 마음이 자리 잡는다.

유시민의 책에는 독일인의 특성에 대해서 나온다. Alles in Ordnung “알레스 인 올드 눙" 모든 것이 질서 정연하고 아무 문제없다. 아무 문제없다. 영어에서도 미국 사람들이 자주 쓰는 말이 있다. “No problem”  문제가 있어도 문제가 없노라며 의기양양하게 외치는 말이다. 백인을 남편으로 둔 지인이 있다 남편의 뒷담화를 할 때면 늘 하는 말이 있다.

“사람들 앞에서 노 프라블럼 이러면서 웃고 있는 거야! 그래서 수술한 자리가 진짜 괜찮은가보다 했지. 그런데 집에 와서 나한테 아프다고 있는 투정 없는 투정 다 부리더라고. 보면 늘 그래. 사람들 앞에서 뭐 다 괜찮대! 아임 베리 파인! 노 프라블럼!”

옆에 있던 모든 사람은 웃었지만, 사실 우리 모두의 인생이 사람들 앞에서는 괜찮을 뿐이라는 걸 안다. 속속들이 정리되지 않은 불안의 삶을 하나쯤은 갖고 사니까. 그러나 나 자신은 내면을 발견할 필요가 있으며 그 마음을 토닥일 권리를 갖기에 행복은 내가 만드는 단어가 된다.




매거진의 이전글 인싸도 아니고 그렇다고 앗싸도 아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