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ㄱㅈㅊ Feb 08. 2021

2020년도 네·카 엔터 부문 실적 및 투자 동향

엔터테인먼트·콘텐츠 시장 분석② [21.02.09]

네이버 콘텐츠, 전체 매출의 9.1%

타사 서비스/플랫폼 지분 교환·인수로 브랜드 확장


카카오 콘텐츠, 전체 매출의 46.8%

개발/제작사 인수 혹은 계열사 합병해 콘텐츠 제작 역량↑


두 회사 모두 글로벌 시장 진입 준비중


네이버(NAVER)


1. 서비스


총 12개

- TV연예, 네이버TV, V LIVE, 웹툰, 웹소설, 시리즈, 시리즈온, 뿜, NOW, VIBE, 네이버게임, 오디오클립, 그라폴리오

네이버 콘텐츠·게임 서비스 /네이버


2. 수익


콘텐츠 내용

- 웹툰, 뮤직, V LIVE, SNOW 등


네이버 콘텐츠 부문 매출(단위 : 원)

☞ 20년 4분기(4Q20) : 1389억원(전체 매출의 9.1%, YoY 48.8%↑, QoQ 20.9%↑)


☞ 20년 3분기(3Q20) : 1150억원(전체 매출의 8.4%)

- 별첨 1, 2 참고


3. 투자


(1)빅히트에 4100억원 투자(21.01.27)

- 빅히트 자회사 BeNX 지분 49% 사들여

- ‘브이라이브’를 위버스컴퍼니로 양도하고, 위버스와 서비스를 통합한다는 계획

- 새로운 통합 플랫폼 출범 예정


(2)캐나다의 ‘왓패드’ 인수(21.01.21)

- 지분 100%를 6532억5050만원에 사들이기로 함

- 세계 각국에서 9000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세계 최대 웹소설 유통 서비스

- 왓패드와 네이버의 웹툰 유통 서비스의 글로벌 월간 순 사용자(MAU) 1억6000만 명

- 왓패드 사용자의 80%가 1990년대 중반 이후 출생인 ‘Z세대’


(3)CJ 그룹 전략적 지분 투자(20.10.26)

- CJ ENM 1500억, 스튜디오드래곤 1500억

- 글로벌 시장 콘텐츠 경쟁력 보강

- 네이버 IP 기반 콘텐츠 제작 및 CJ 보유 콘텐츠를 활용한 유통 강화

- 별첨 3 참고


(4)YG엔터테인먼트(2017년), SM엔터테인먼트(2020년) 각각 1000억원 규모로 투자




카카오(kakao)


1. 서비스


총 9개

- 카카오페이지, 카카오TV, 카카오뮤직, 카카오프렌즈, Daum웹툰, 1boon, 멜론, 멜론티켓, 카카오게임


카카오 콘텐츠·게임 서비스 /카카오


2. 수익


비즈니스 모델

- 게임 : 채널링 또는 퍼블링을 통해 파트너와 제휴, 최근 직접 개발한 게임 서비스

- 뮤직 : 음악 콘텐츠 이용권 판매,  판매, 티켓 판매, 음원 유통

- 유료콘텐츠 : 웹툰, 웹소설 등 콘텐츠 이용권 판매, 외부 플랫폼에 원천 스토리 공급

- IP 비즈니스 : 카카오 프렌즈IP 활용한 캐릭터 상품 판매,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음반 유통, 영상 제작/판매

- 하단 별첨4 참고


카카오 콘텐츠 부문 매출(단위 : 원)

☞ 2020년 4분기(4Q20) : 5781억(전체 매출의 46.8%)

- 게임 1408억(YoY 33%↑, QoQ 6% ↓)

- 뮤직 1551억(YoY 1.2%↑, QoQ 0.4% ↓)

- 유료 콘텐츠 1636억(YoY 233%↑, QoQ 10% ↑)

- IP 비즈니스 기타 1186억(YoY 25%↑, QoQ 30% ↑)


☞ 2020년 3분기(3Q20) : 5460억(전체 매출의 47.8%)

- 게임 1504억

- 뮤직 1557억

- 유료 콘텐츠 1484억

- IP 비즈니스 기타 915억

- 하단 별첨5, 6 참고


3. 투자


(1)카카오게임즈, 개발사 투자 예정(21.02.08)

- 카카오게임즈 창사 이래 최대 매출(전년대비 26.7% ↑, 4955억원)

- 올해는 10개 이상의 신작 출시 준비

- 카카오게임즈 자회사 카카오VX, '스크린골프', '스마트홈트' 등 투자

- 인공지능(AI),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위치기반(LBS) 기술 접목

- 엑스엘게임즈(1180억원),넵튠(1900억원) 투자한 바 있음


(2)카카오페이지와 카카오M 합병(21.01.25)

- 원천 스토리 IP와 기획·제작 역량 한 곳에 모음

- 엔터테인먼트 산업 전 분야와 전 장르 아우르는 체계 구축

- 신규 합병법인명은 ‘카카오엔터테인먼트’

- 합병 비율은 카카오페이지와 카카오M 각 1대 1.31

- IP자산과 플랫폼 결합을 통해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도약

- 카카오페이지와 카카오M이 결합하면 연매출 1조원 전망

- 올 상반기 태국과 대만에 웹툰 플랫폼 정식 출시 예정(21.01.20)

- 하단 별첨7, 8 참고


(3)카카오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 투자(20.07.14)

- 2023년까지 총 240개 이상의 타이틀 제작 계획

- 김성수 카카오M 대표, "2023년까지 총 3000억원을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에 투자"

- "2023년에는 연간 4000억원 규모의 콘텐츠를 제작하는 스튜디오" 목표

- 공연제작사 '쇼노트' 인수(2019년)


별첨1. 네이버 2020년 4분기 실적보고서 PT 캡처

/네이버 2020년 4분기 실적보고서 PT


별첨2. 네이버 2020년 3분기 실적보고서 PT 캡처

/네이버 2020년 3분기 실적보고서 PT


별첨3. 네이버 2020년 3분기 실적보고서 PT 캡처

/네이버 2020년 3분기 실적보고서 PT


별첨4. 카카오 2020년 4분기 실적보고서 PT 콘텐츠 부문 발췌

/카카오 4분기 실적보고서 PT


별첨5. 카카오 2020년 3분기 실적보고서 발췌

/카카오 2020년 3분기 실적보고서


별첨6. 카카오 2020년 3분기 실적보고서 PT 콘텐츠 부문 캡처


별첨7. 카카오 2020년 4분기 실적보고서 PT 카카오M 부분 발췌

/카카오 4분기 실적보고서 PT


별첨8. 카카오 2020년 4분기 실적보고서 PT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부분 발췌

/카카오 4분기 실적보고서 PT



https://brunch.co.kr/@steelw2fo/33

매거진의 이전글 네이버NOW와 카카오TV 분석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