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스테르담 Sep 11. 2020

깨달음이 달갑지 않은 이유

깨우침이 축복인지 저주인지 나는 영 헷갈린다.

깨달음이 달갑지 않을 때가 있다.

그것은 대개 나의 못남으로부터 오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은가. 내가 만약 완벽한 존재라면 나는 무언가를 깨우칠 일이 없을 것이다.


물론, 깨달음엔 희열이 있다.

알지 못하던 걸 안다는 건 삶의 묘미다. 알고 있다고 생각했던 것에서도 깨달음은 오는데, 이럴 땐 희열이 배가 된다. 보이지 않던 게 보이고, 뻔해 보이던 것들이 반짝반짝 빛난다면 삶은 얼마나 즐거울까.


한 영화를 10번 넘게 본 적이 있다.

전체 줄거리를 꿰고 있음에도, 이전엔 알아채지 못했던 주인공들의 움직임과 그저 흘려 들어 잃어버릴 뻔한 의미 심장한 대사 속에서 나는 희열했다. 아마, 100번을 넘게 봤더라도 그 새로움과 깨달음은 계속해서 나왔을 것이다. 


어쩌면 삶은, 그렇게 영화를 반복해서 보는 것과 같다.

일상이라는 뻔한 줄거리를 이미 알고 있지만, 그 안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 우리는 다 알 수가 없고 그것들은 영 새롭다.


문제는 여기에 있다.

왜 한 번에 영화를 다 이해할 수 없는가. 왜 삶은 항상 알지 못하는 것들의 향연인가. 때로는 한 번에 이해되기도 하고, 또 때로는 일어날 일들에 대해 완벽하게 알고 갈 때도 있어야 하지 않는가. 무엇이 모자라 우리는 항상 깨우쳐야 하고, 무엇을 잘못해 우리는 부족하고 못남을 스스로 고백해야 하는가.


살아오는 동안, 깨달음이 늘면 늘었지 줄진 않는다는 걸 알았다.

나이를 삼키며 아는 것은 많아지는데, 깨달음은 늘어난다는 건 그 자체가 아이러니다.


그러니까, 깨우침이 축복인지 저주인지 나는 영 헷갈린다.




나는 가끔, 삶을 마치고 어느 초월적인 곳에서 내 인생을 TV로 보는 상상을 하곤 한다.

뒤로 돌리고, 앞으로 돌리고. 백 번, 천 번 보면서 웃고 울고 한탄하고 위로하고 후회하고 감동하며. 아마, 그 과정에서도 알지 못했던 장면과 대사는 생을 마감한 나에게조차 그 어떤 깨달음을 안겨 줄 것이다.


깨달음은 이 세상에 수감되지 아니하고, 저 세상에서도 유효할 거란 느낌적인 느낌.


때로, 깨달음이 달갑지 않은 이유다.




스테르담 글쓰기 클래스(VOD)

스테르담 글쓰기 클래스(오프라인/온라인라이브)

스테르담 인스타그램


[저서 모음]

'견디는 힘' (견디기는 역동적인 나의 의지!)

'직장내공' (나를 지키고 성장시키며 일하기!)

'오늘도 출근을 해냅니다' (생각보다 더 대단한 나!)

'아들에게 보내는 인생 편지' (이 땅의 모든 젊음에게!)

'진짜 네덜란드 이야기' (알지 못했던 네덜란드의 매력!)


매거진의 이전글 이제는 주위 사람들 잘 되는 게 참 좋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